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부모의 은혜를 갚는 길을 물음
  • 제자들이 물음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자들이 물음


爾時 大衆聞佛所說 父母恩德 擧身投地 渾堆自撲身 毛孔中 悉皆流血 悶絶躃地 良久乃蘇 高聲唱言 苦哉痛哉 我等今者 深是罪人 從來未覺 冥若夜遊 今悟知非 心膽俱碎 惟願世尊 哀愍救拔 云何報得 父母深恩

뎨 주001)
뎨:
제자가. 뎨(弟子)+ㅣ(주격조사).
주002)
다:
모두. 다.
부텨의 주003)
부텨의:
부처님의. 부텨[佛]+의(관형격조사). 15세기라면, 관형격조사 ‘ㅅ’이 쓰여야 할 것임. → 53쪽. ‘관형격조사’.
니시 주004)
니시:
이르신. 말하신. 니-[云]+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현재시상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 어미).
부모 은 듣고

부모은중경언해:17ㄴ

더디여
주005)
업더디여:
엎드리어. 엎드러져. 업더디-[伏]+어. 부텻 智力으로 魔王이 업더디니〈월인 상:27ㄴ〉. 大衆히  업더디여 그울며 우니〈석상 23:21ㄴ〉.
제 모믈 주006)
제 모믈:
자기 몸을. 제[自己]#몸[身]+/을(목적격조사).
티니 털구무 주007)
구무:
구멍. 모음 조사와 결합될 때, 다음과 같이 ‘’이 됨. 道理ㅅ 굼글 다마〈월석 서:21ㄱ〉. 바믈  굼긔 드러 이셔〈석상 13:10ㄴ〉. 내 모미 하 커 수물 굼기 업서〈월석 2:51ㄱ〉. → 37쪽. ‘비자동적 교체의 체언’.
마다 주008)
털 구무마다:
털구멍마다. 털[毛]#구무[穴]+마다(보조사). 이 명사는 ‘터럭, 터리’가 쌍형으로 쓰였으나, 어원적으로 보면 이들은 ‘털’에서 파생됐다고[털+악/억(접미사), 털+이(접미사)] 보이는데, 정작 ‘털’은 연대적으로는 좀 늦은 「구급간이방」에 처음 보이는 것으로 되어 있음. 낱 머릿 터러글〈월천 상:33ㄴ〉. 내 바래  터리 몯 무으리니〈석상 6:27ㄱ〉. 붇 털 그로 두 곳굼글(筆毛刺兩鼻中)〈구간 1:83ㄴ〉.
피 흐고 긔졀여 주009)
긔졀여:
기절하여. 긔졀(氣絶)-+여. 이 동사는 「고어사전」에 표제어로 다 실려 있으나, 한자 용례는 「구급방언해(1466)」의 것이고, 정음 표기 용례는 ‘이 문헌’보다 좀 늦은 「소학언해」의 것이므로 연대로는 ‘이 문헌’의 용례가 앞서므로 이를 앞에 두는 것이 바람직함.
이슥게 주010)
이슥게:
이슥하여야. 한참 지나야. 이슥-[久]+게(보조적 연결어미)+(강세 보조사). ‘이슥게’는 어근의 무성자음과 무성자음어미 사이에서 ‘’가 탈락한 것임. 이 형용사는 「고어사전」에 다 실려 있으나, 조금씩 다른 점이 있어서 소개해 둠. 「이조어사전」에는 ‘이·슥·다’로 뜻은 ‘오래지 아니하다’로 하고, 참조 표시로 ‘이다’와 ‘이다’를 표제어로 하여 뜻도 같이 했으며, 「교학고어사전」에는 표제어로 ‘이슥다’(형)와 그 파생부사인 ‘이슥히〈번소 10:26〉’를 올리고 ‘이슥다’는 찾을 수가 없으며, 「우리말큰사전」에도 ‘이다’(용례는 ‘이 문헌’의 것)에 ‘이슥다’를 가 보라 하고, 뜻은 ‘때가 좀 지난 듯 하다’. 용례는 「구급간이방언해」의 것을 올려 놓았음. 이야 살리라(不過良久卽活)〈구간 1:46ㄴ〉. 필자의 바람은 ‘이슥다’가 표제어로 실려야 함을 강조한 것임.
여 주011)
여:
깨어. -[覺]+어. 므로셔  야〈석상 9:31ㄱ〉.
닐오 주012)
닐오:
이르되. 말하되. 니르/-니-[云]+오/우(연결어미).
셜운댜 주013)
셜운댜:
괴로운 것이야. 괴로운 것이구나. 셟-[苦](ㅂ불규칙)+(/으)ㄴ댜(감탄법 종결어미). 「고어사전」에는 다 같이 이 예문을 표제어 ‘-ㄴ댜’의 첫 번째로 놓고 후대의 용례를 들어 놓았음.
우리 이제 죄인니로쇠이다 주014)
죄인니로쇠이다:
죄인이로소이다. 죄인이올시다. 죄인입니다. 죄인(罪人)+이(서술격조사)+롯(감탄법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감탄법의 ‘-돗-’은 시상 선어말어미 ‘-리-’나 서술격조사 뒤에서 ‘-롯-’으로 변동되고, 그 ‘ㅅ’종성은 매개모음에 연철되어 ‘오’ 모음의 동화로 ‘-로소-’, ‘ㆁ’ 소실, ‘-이-’의 역행동화로 ‘-로쇠이다’로 나타남. ‘니’는 ‘죄인’의 ‘ㄴ’이 중철된 표기임.
이져 주015)
이져:
이전에. 이젼(以前)+(부사격조사). 이젼에 고 뎌근 것 다 백이 혜져〈번노 하:72ㄴ〉.
아디 몯야 바 노 더니 주016)
더니:
듯하더니. -[如]+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 彩色로  그룐 더니〈월석 4:33ㄱ〉.
이제 주017)
이제:
이제야. 이제[今](명사)+(강세보조사). 이제 일우샨 優陁耶ㅣ 니다〈월천 상:42〉. 이제  내 아 려가려 시니〈석상 6:5ㄴ〉.
아오니 주018)
아오니:
아오니. 아니. 알-[知]++(/으)니. 어간말 ‘ㄹ’은 ‘ㄴ, ㄷ, ㅿ’ 등 자음어미 앞에서 탈락했음.
가미 주019)
가미:
가슴이. 가[胸]+이(주격조사). 이 명사는 15세기 중엽 표기는 ‘가’이나, 여기 2음절의 반치음 ‘ㅿ’ 표기는 「고어사전」에 모두 표제어로 실었는데, 그 예문은 ‘이 문헌’이 전부이니, 이는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에 걸친 ‘ㅿ’의 소실과 관련되어 일어난 오기의 결과이거나, 혹은 과도교정이 아닌가 함. → 32쪽. ‘ㅿ’ 표기.
사디 주020)
사디:
부서지는. 깨지는. -[碎]+아(연결어미)#디-(보조동사)++(/으)ㄴ. 이 동사는 「월인석보」 이래 쓰이는바, ‘다’와 ‘다’ 쌍형으로 쓴 것으로 보임.  리 온 栴檀沈水香 비흐며〈월석 17:29ㄴ〉. 내 모 엇뎨 드틀티 디 몯관 내 아리 목수믈 일케 야뇨〈월석 21:219ㄴ〉. 여기 ‘사디’은 「고어사전」 용례의 유일한 것으로 ‘-’에서 비어두음절의 ‘ㆍ’가 동요되면서 일찌감치 ‘ㆍ〉아’로 바뀐 용례로 보임. 따라서 ‘사-+디+’은 다음 〈18ㄴ〉 ‘-+내+며’와 같이 분석함.
여이다 주021)
여이다:
듯합니다. 듯하여이다. -[如]+여(강조의 선어말어미)+이(상대존대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이’는 ‘’의 변화형으로 봄.
셰존하 주022)
셰존하:
세존이시여. 셰존(世尊)+하(존칭의 호격조사).
엇뎨여 주023)
엇뎨여:
어찌해야. 어떻게 해야. 엇뎨-+여(연결어미)+(강세의 보조사). 내 이제 엇뎨야 地獄 잇 해 가리고〈월석 21:25ㄱ〉. 이 동사가 예문과 다른 점은 어미 ‘-야’가 ‘-여’로 된 것임.
부모의 은 갑소오리잇고 주024)
갑소오리잇고:
갚겠습니까? 갚-/갑-[報](ㅂ불규칙)+(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잇(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의문법 종결어미). ‘소오’는 ‘’의 변화형임. ‘+/으리→리→오리→소오리’로 원순모음 역행동화를 입은 것임. 이 동사는 15세기 중엽 당시 다음과 같이 한 문헌에 두 가지 어형이 쓰였으니, 여기서와 같이 자음어미 앞에는 ‘갑-’이, 용례와 같이 모음어미 앞에서는 ‘갚-’으로 쓰였으니, 이는 8종성법과 관련된 표기임. → 60쪽. 상대높임 ‘-이/잇-’.
※ 신심사본 대교 : 몯야-믇야.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제자들이 다 부처님의 이르시는 부모의 은혜를 듣고 엎드려 제 몸을 치니 털구멍마다 피 흐르고 기절하여 이슥해야 깨어 이르되 서럽구나! 우리는 이제 죄인이로소이다. 이전에 알지 못하여 밤에 노는 듯하더니 이제야 아오니 가슴이 부서지는 듯합니다. 세존이시여 어떡해야 부모의 은혜를 갚겠습니까?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뎨:제자가. 뎨(弟子)+ㅣ(주격조사).
주002)
다:모두. 다.
주003)
부텨의:부처님의. 부텨[佛]+의(관형격조사). 15세기라면, 관형격조사 ‘ㅅ’이 쓰여야 할 것임. → 53쪽. ‘관형격조사’.
주004)
니시:이르신. 말하신. 니-[云]+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현재시상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 어미).
주005)
업더디여:엎드리어. 엎드러져. 업더디-[伏]+어. 부텻 智力으로 魔王이 업더디니〈월인 상:27ㄴ〉. 大衆히  업더디여 그울며 우니〈석상 23:21ㄴ〉.
주006)
제 모믈:자기 몸을. 제[自己]#몸[身]+/을(목적격조사).
주007)
구무:구멍. 모음 조사와 결합될 때, 다음과 같이 ‘’이 됨. 道理ㅅ 굼글 다마〈월석 서:21ㄱ〉. 바믈  굼긔 드러 이셔〈석상 13:10ㄴ〉. 내 모미 하 커 수물 굼기 업서〈월석 2:51ㄱ〉. → 37쪽. ‘비자동적 교체의 체언’.
주008)
털 구무마다:털구멍마다. 털[毛]#구무[穴]+마다(보조사). 이 명사는 ‘터럭, 터리’가 쌍형으로 쓰였으나, 어원적으로 보면 이들은 ‘털’에서 파생됐다고[털+악/억(접미사), 털+이(접미사)] 보이는데, 정작 ‘털’은 연대적으로는 좀 늦은 「구급간이방」에 처음 보이는 것으로 되어 있음. 낱 머릿 터러글〈월천 상:33ㄴ〉. 내 바래  터리 몯 무으리니〈석상 6:27ㄱ〉. 붇 털 그로 두 곳굼글(筆毛刺兩鼻中)〈구간 1:83ㄴ〉.
주009)
긔졀여:기절하여. 긔졀(氣絶)-+여. 이 동사는 「고어사전」에 표제어로 다 실려 있으나, 한자 용례는 「구급방언해(1466)」의 것이고, 정음 표기 용례는 ‘이 문헌’보다 좀 늦은 「소학언해」의 것이므로 연대로는 ‘이 문헌’의 용례가 앞서므로 이를 앞에 두는 것이 바람직함.
주010)
이슥게:이슥하여야. 한참 지나야. 이슥-[久]+게(보조적 연결어미)+(강세 보조사). ‘이슥게’는 어근의 무성자음과 무성자음어미 사이에서 ‘’가 탈락한 것임. 이 형용사는 「고어사전」에 다 실려 있으나, 조금씩 다른 점이 있어서 소개해 둠. 「이조어사전」에는 ‘이·슥·다’로 뜻은 ‘오래지 아니하다’로 하고, 참조 표시로 ‘이다’와 ‘이다’를 표제어로 하여 뜻도 같이 했으며, 「교학고어사전」에는 표제어로 ‘이슥다’(형)와 그 파생부사인 ‘이슥히〈번소 10:26〉’를 올리고 ‘이슥다’는 찾을 수가 없으며, 「우리말큰사전」에도 ‘이다’(용례는 ‘이 문헌’의 것)에 ‘이슥다’를 가 보라 하고, 뜻은 ‘때가 좀 지난 듯 하다’. 용례는 「구급간이방언해」의 것을 올려 놓았음. 이야 살리라(不過良久卽活)〈구간 1:46ㄴ〉. 필자의 바람은 ‘이슥다’가 표제어로 실려야 함을 강조한 것임.
주011)
여:깨어. -[覺]+어. 므로셔  야〈석상 9:31ㄱ〉.
주012)
닐오:이르되. 말하되. 니르/-니-[云]+오/우(연결어미).
주013)
셜운댜:괴로운 것이야. 괴로운 것이구나. 셟-[苦](ㅂ불규칙)+(/으)ㄴ댜(감탄법 종결어미). 「고어사전」에는 다 같이 이 예문을 표제어 ‘-ㄴ댜’의 첫 번째로 놓고 후대의 용례를 들어 놓았음.
주014)
죄인니로쇠이다:죄인이로소이다. 죄인이올시다. 죄인입니다. 죄인(罪人)+이(서술격조사)+롯(감탄법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감탄법의 ‘-돗-’은 시상 선어말어미 ‘-리-’나 서술격조사 뒤에서 ‘-롯-’으로 변동되고, 그 ‘ㅅ’종성은 매개모음에 연철되어 ‘오’ 모음의 동화로 ‘-로소-’, ‘ㆁ’ 소실, ‘-이-’의 역행동화로 ‘-로쇠이다’로 나타남. ‘니’는 ‘죄인’의 ‘ㄴ’이 중철된 표기임.
주015)
이져:이전에. 이젼(以前)+(부사격조사). 이젼에 고 뎌근 것 다 백이 혜져〈번노 하:72ㄴ〉.
주016)
더니:듯하더니. -[如]+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 彩色로  그룐 더니〈월석 4:33ㄱ〉.
주017)
이제:이제야. 이제[今](명사)+(강세보조사). 이제 일우샨 優陁耶ㅣ 니다〈월천 상:42〉. 이제  내 아 려가려 시니〈석상 6:5ㄴ〉.
주018)
아오니:아오니. 아니. 알-[知]++(/으)니. 어간말 ‘ㄹ’은 ‘ㄴ, ㄷ, ㅿ’ 등 자음어미 앞에서 탈락했음.
주019)
가미:가슴이. 가[胸]+이(주격조사). 이 명사는 15세기 중엽 표기는 ‘가’이나, 여기 2음절의 반치음 ‘ㅿ’ 표기는 「고어사전」에 모두 표제어로 실었는데, 그 예문은 ‘이 문헌’이 전부이니, 이는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에 걸친 ‘ㅿ’의 소실과 관련되어 일어난 오기의 결과이거나, 혹은 과도교정이 아닌가 함. → 32쪽. ‘ㅿ’ 표기.
주020)
사디:부서지는. 깨지는. -[碎]+아(연결어미)#디-(보조동사)++(/으)ㄴ. 이 동사는 「월인석보」 이래 쓰이는바, ‘다’와 ‘다’ 쌍형으로 쓴 것으로 보임.  리 온 栴檀沈水香 비흐며〈월석 17:29ㄴ〉. 내 모 엇뎨 드틀티 디 몯관 내 아리 목수믈 일케 야뇨〈월석 21:219ㄴ〉. 여기 ‘사디’은 「고어사전」 용례의 유일한 것으로 ‘-’에서 비어두음절의 ‘ㆍ’가 동요되면서 일찌감치 ‘ㆍ〉아’로 바뀐 용례로 보임. 따라서 ‘사-+디+’은 다음 〈18ㄴ〉 ‘-+내+며’와 같이 분석함.
주021)
여이다:듯합니다. 듯하여이다. -[如]+여(강조의 선어말어미)+이(상대존대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이’는 ‘’의 변화형으로 봄.
주022)
셰존하:세존이시여. 셰존(世尊)+하(존칭의 호격조사).
주023)
엇뎨여:어찌해야. 어떻게 해야. 엇뎨-+여(연결어미)+(강세의 보조사). 내 이제 엇뎨야 地獄 잇 해 가리고〈월석 21:25ㄱ〉. 이 동사가 예문과 다른 점은 어미 ‘-야’가 ‘-여’로 된 것임.
주024)
갑소오리잇고:갚겠습니까? 갚-/갑-[報](ㅂ불규칙)+(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잇(상대높임 선어말어미)+고(의문법 종결어미). ‘소오’는 ‘’의 변화형임. ‘+/으리→리→오리→소오리’로 원순모음 역행동화를 입은 것임. 이 동사는 15세기 중엽 당시 다음과 같이 한 문헌에 두 가지 어형이 쓰였으니, 여기서와 같이 자음어미 앞에는 ‘갑-’이, 용례와 같이 모음어미 앞에서는 ‘갚-’으로 쓰였으니, 이는 8종성법과 관련된 표기임. → 60쪽. 상대높임 ‘-이/잇-’.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