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부모의 은혜를 잊고 불효
  • 기르고 가르친 은혜에 불효
메뉴닫기 메뉴열기

기르고 가르친 은혜에 불효


阿孃 懷子十月之中 起坐不安 如擎重擔 飮食不下 如長病人 月滿生時 受諸痛苦 須臾好惡 恐爲無常 如殺猪羊 血流遍地 受如是苦 生得

부모은중경언해:12ㄱ

此身 咽苦吐甘 抱持養育 洗濁不淨 不憚劬勞 忍熱忍寒 不詞辛苦 乾豦兒臥 濕豦母眠 三年之中 飮母白血 孆孩童子 乃至盛年 將敎禮義 婚嫁官學 備求資業 携賀艱辛 懃苦之終 不言恩紀 男女有病 父母病生 子若病愈 慈母方瘥 如斯養育 願早成人

어미 주001)
어미:
어머니가. 어미[母]+∅(주격조사).
식 여 주002)
여:
배어. 잉태하여. -[孕]+어. ‘여’는 ‘’의 ‘ㅣ’모음 순행동화로 ‘어’가 변동된 것임. 悉達太子 야 나하〈석상 23:27ㄱ-ㄴ〉.
열  이예 주003)
이예:
사이에. 이[間]+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예’는 ‘이’와 같이 ‘ㅣ’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쓰인 ‘-에/에’의 변이 형태임.
안나 니나 주004)
안나 니나:
앉으나 서나. 앉-[坐]+(/으)나(대등의 연결어미)#닐-[起]+나.
편티 주005)
편티:
편하지. 편(便)-+디. 綏 편 유〈광주천 41ㄱ〉.  브터 直宿호미 便니 버런 벼리 다 빗나도다(淸秋便寓直列宿頓輝光)〈두언 24:9ㄴ〉. 이 한자 표기가 정음 표기로 나타나는 것은 17세기 초엽의 「첩해신어」나 「병자일기」 등에서 보이는 것이 앞선 것이고, ‘이 문헌’의 이 대목은 그보다 훨씬 연대가 이른 것임을 알 수 있음.
아니여 므거운 주006)
므거운:
무거운. 므겁-[重](ㅂ불규칙)+(으)ㄴ(관형사형 어미).
주007)
멘:
멘. 메-[擔]+ㄴ(관형사형 어미). 보 뮨 술위예 象이 메더니〈월천 상:43ㄴ〉. 내 한아바비 棺 메지다〈월석 10:10ㄱ〉.
며 주008)
며:
듯하며. -(보조형용사)+며. ‘이 문헌’에서 이 보조형용사는 바로 이 장의 앞(12ㄱ) ‘며’와 뒤(12ㄴ)의 ‘ 돋 다힌 듯야’에 첫음절 ‘ㆍ’의 동요가 보임.
머근 거시 리디 주009)
리디:
내리지. 내려가지. 리-[降]+디.
아니여  주010)
:
앓는. (病)-+ㄴ(관형사형 어미). 이 동사는 한자 어근에 접미사 ‘-다’가 결합하여 파생된 것으로 쓰임은 15세기 중엽에도 보임. 믈읫 有情이 病야 이셔〈석상 9:7ㄱ〉. 東南門 노니샤매 늘그니 病니 보시고  내시니〈월인 상:16ㄴ〉. 여기 ‘-’는 어근이 한자로 된 것이어서 이도 표제어로 실어야 할 것임. 앞 〈7ㄴ〉에서 ‘ ’은 통사상으로 보아 ‘명사+동사’로 분석했으나, 여기서는 동사로 다루기로 함.
사 니 주011)
니:
같으니. -[如]+니.
리 주012)
리:
달이. [月]+이(주격조사).
주013)
차:
차. 차서. -[滿]+아. 닐웨 디 몯야〈월인 상:66ㄱ〉.  거늘〈석상 11:25ㄴ〉. 盈  영〈광주천 1ㄴ〉. 香내 世界예 차 펴디더니〈석상 23:38ㄱ〉.
나 제 주014)
나 제:
낳을 때. 낳-[産]+(관형사형 어미)#제[時](명사, 부사). 이는 명사·부사로 두루 쓰였음. 지브로 도라오 제(言歸于家)〈용가 18〉. 셔 使者 리샤 바 건너 제〈용가 19〉. 조  여슬 만히 머그면 즉제 제 노가 리라(數數多食白糖卽自消化)〈구간 6:20ㄱ〉.
슈괴 주015)
슈괴:
수고가. 고생이. 슈고(受苦)+ㅣ(주격조사). ‘슈고’는 이 한자 표기의 명사는 15세기 중엽 ‘불경 언해’에는 많이 쓰인 것으로 예문을 들 것도 없으나, 문제는 문헌 상으로 정음 표기는 언제부터 쓰인 것인가를 찾는 것인데, 빠른 것은 15세기 말엽 「두시언해」부터 16세기 말의 「소학언해」까지 계속 쓰였음. 그러다가 ‘현대의 국어사전’에서 본디 어원인 ‘수고(受苦)’ 한자는 빠지고 순 고유어인 양 표제어로 되었다가, 2009년에 와서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편 「한국어대사전」에 한자 ‘受苦’가 제대로 표기되었음. 네 가짓 受苦 여희여〈석상 6:4ㄱ〉. 죽사릿 受苦 아니거시니와〈월석 1:12ㄱ주〉. 슬른  머겨서 슈고로이 뇨 니노라〈두시 20:27ㄱ〉. 엇디 스스로 수고 이러시 뇨〈소학 6:73ㄱ〉.
그지업고 주016)
그지업고:
한이 없고. 끝이 없고. 긎[限]+이(주격조사)#없-[無]+고. ‘업’은 ‘없’의 8종성 표기임. 그지업서 몯내 혜 功과 德(無量功德)〈석보 서:1ㄴ〉.
됴며 주017)
됴며:
좋으며. 둏-[好]+()며.
구조미 주018)
구조미:
궂음이. 언짢고 나쁨이. 궂-[惡]+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믈읫 衆生이 됴며 구즌 이를 모고〈석상 9:11ㄴ〉.
잠 주019)
잠:
잠깐. 잠[乍]. 이 부사는 다음 예문에서처럼 두 가지 형태, ‘ㅅ’이 2음절 초성에 합용으로 쓰이기도 하고, 1음절의 종성으로 ‘ᇝ’으로 쓰이기도 했음. 이 정음 표기는 「석보상절」 이래인 바, 본시 한자 ‘暫+ㅅ+間’의 합성어라고 보는데 한자 표기는 보이지 않음. 잠도 듣디 아니〈석상 6:6ㄱ〉. 간 머리 수기거나〈석상 13:53ㄴ〉.
이

부모은중경언해:12ㄴ

인니 주020)
인니:
있으니. 잇-[有]++니. ‘인-’은 ‘’의 비음 ‘ㄴ’의 역행동화에 의한 것임.
 돋 주021)
 돋:
양과 돼지. (羊)#돝[猪]. ‘돋’은 ‘돝’의 8종성 표기임.
다힌 듯야 주022)
다힌 듯야:
잡은 듯하여. 다히-[屠]+ㄴ(관형사형 어미)#-[如]+아. ‘야’는 ‘-’에 후행하는 ‘-아’의 형태론적 이형태임.  갈로 쇼 다효(以一刀解牛)〈원각 하2의2:10ㄱ〉
피 흘러  주023)
:
땅에. ㅎ[地](ㅎ종성체언)+(처소의 부사격조사).
펴디니 주024)
펴디니:
펴지니. 펴-[伸/展]+(어)#디-(조동사)+니.
슈괴 이러니라 주025)
이러니라:
이러하다. 이러하니라. 이러-+니+라.
푸머셔 주026)
푸머셔:
품어서. 품-[抱]+어셔.
기 제 주027)
기 제:
기를 때. 기르-[育]+ㄹ(관형사형 어미)#제.
믈 주028)
믈:
힘듦을. -[勞]+옴/움(명사형어미)+을(목적격 조사). 여기서 명사형은 ‘-+옴/움’으로 ‘봄’이 될 것이나, 16세기 중엽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탈락된 어형이 나타난 것임.
탄티 주029)
탄티:
꺼리지. 두려워하지. 수고로워하지. 탄(憚)-+디. 이 형용사는 아주 드문 용례로 「고어사전」 표제어로 올릴만 함. 동음어인 ‘歎다’는 16세기 초엽 「번역소학」 등에 보임. 王涯 탄야 닐오 馮球ㅣ 가온 벼야셔〈번소 10:17ㄱ〉. 公이 탄야 닐오〈번소 10:30ㄴ〉.
아니며 더위 주030)
더위:
더위를. 더위[暑]+. 이는 ‘더’(명사)에서 순경음 소실 후의 어형 ‘더위’임. 더 치로 셜다가〈석상 9:9ㄴ〉.
며 주031)
며:
참으며. -[忍]+며.
치위 주032)
치위:
추위를. 치위[寒]+. 이 명사는 본시 ‘칩-[寒](ㅂ불규칙)’으로 쓰이다가 모음어미 위에서 ‘치, 치 …’과 같이 쓰여 명사 파생어는 ‘치’로, 이것이 ‘ㅸ’ 소실 후 ‘치위’로 변한 것임. 치 므리 어렛다가 더면 노가 므리 외니라〈월석 9:23ㄴ〉. 치 사미 블 얻며〈월석 18:51ㄱ〉. 한 치위와 구든 어르미〈능엄 8:82ㄱ〉.
고 슈고뢰여도 주033)
슈고뢰여도:
수고로워도. 슈고(受苦)뢰-(형용사)+어도. ‘-여도’는 ‘-어도’가 앞의 ‘ㅣ’ 모음의 순행동화로 ‘-여도’로 변동된 것임. 15세기 중엽 당시 체언이 붙는 파생접미사 중에 같은 기능의 ‘-(외)-/-(외)-, --/--, --/--’이 있었는데, 그 쓰이는 조건이 상보적으로 복잡했음. 먼저 ① 체언 말음이 순수자음이면 접미사 두음이 ‘ㄷ’, 체언 말음이 모음이면 ‘ㄹ’로 교체되고, ② 어미의 두음이 ‘-아/어, -옴/움, -(/으)니’ 등 모음이면 ‘--/--’, 어미의 두음이 모음인 파생접미사 ‘-이’이면 ‘--/--’으로 교체되었음. 利益 일〈석상 9:40ㄱ〉. 受苦요미 地獄두고 더으니〈월석 1:21ㄴ주〉. 쥬변고  쥬변외니(自由更自由니)〈금삼 5:34ㄴ〉. 受苦도 즐겁도〈월석 1:35ㄴ주〉. 病 너기시니라〈월석 13:27ㄱ〉. 受苦 딕희여〈월석 9:29ㄱ〉. 이 대목에서는 ‘슈고-→슈고외-→슈고뢰-’가 어간으로 쓰인 것임. 〈월인석보〉의 ‘受苦요미’가 있으므로 ‘슈고다’로 표제어를 올려야 하겠음.
슬흐여 주034)
슬흐여:
싫어하여. 슬희-[厭]+어(보조적 연결어미). 여기 ‘슬흐여’는 곧 음절 경계를 어떻게 끊는가에 달려 ‘슬희+어’와 ‘슬흐+여’로 나뉘는 것으로 봄. 生死 슬희여 여희오〈원각 상1의2:18ㄱ〉. 「원각경언해」에 ‘슬희여 -’도 보임. 가야이 너기며 슬희여 〈원각 상1의1:90ㄴ〉.
아니니라 삼년 이예 어믜 주035)
어믜:
어머니의. 어미의. 어미[母]+의(관형격조사). ‘ㅣ’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관형격조사 ‘-/의’가 결합되면 체언의 ‘ㅣ’ 모음이 줆. 아리 아 쳔 믈러 가쥬미 〈석상 13:18ㄴ주〉.
주036)
:
흰. 하얀. -[白]+ㄴ(관형사형 어미).
피 먹고 라나거든 주037)
라나거든:
자라나거든. 라나-[生長]+거든(연결어미). ‘라나-’는 ‘라-+-아(연결어미)#나-’의 통사적 합성어임.
녜도 주038)
녜도:
예의와 법도. 녜도(禮度). ⟶ 76쪽. ‘녜도다’.
치며 주039)
치며:
가르치며. 치-[敎]+며.
혼인며 주040)
혼인며:
혼인하며. 결혼하며. 혼인(婚姻)-+며.
주041)
글:
글. 글을. 글[文]+을(목적격조사)/∅(목적격).
치며 여러 가짓 주042)
여러가짓:
여러 가지의. 여러#가지+ㅅ(관형격조사).
초와 주043)
초와:
갖추어. 구비하여. 초-[具]+아.
신고호 주044)
신고호:
어려운 일을 당하여 몹시 애쓰되. 고생하되. 신고(辛苦)-+오(연결어미). 이는 ‘이 문헌’의 용례가 유일하게 고어사전에 실린 것은, 한자어가 아닌 것으로는 처음이나, ‘이 문헌’보다 앞서는 다음 용례를 보면 15세기 중엽에도 쓰였음. 내 獄中에 이셔 罪 니버 辛苦야  골거든 쇳무저글 기고〈월석 23:87ㄱ〉. 시혹 악예 러디면  신고며  슈고고〈초발-야운40ㄴ〉.
내의 주045)
내의:
나중의. 내[終]+의(관형격조사).
은 니디 주046)
니디:
이르지. 말하지. 니-[云]+디.
아니니라 주047)
아니니라:
아니한다. 아니-+(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라.
시기 면 주048)
면:
앓으면. 병들면. 병(病)-+면.
부뫼 주049)
부뫼:
부모가. 부모+ㅣ(주격조사).
이 나니 주050)
나니:
나니. 나-[生]+(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
그 이 됴케 주051)
됴케:
좋아져야. 둏-[愈](동사)+게(보조적 연결어미)+(강세의 보조사). 이는 형용사와 같은 어형이나 ‘좋아지다(동사)’로 씌었음. 깃거 제 가져가아 니 됴커시〈월석 2:9ㄴ〉. 세 번 시수믈 디나디 아니야 됻니라(不過三洗効)〈구급 상:8ㄱ〉. 病이 져기 됸다(病微瘳)〈두초 10:30ㄱ〉.
부모도 편니라 주052)
편니라:
편하다. 편(便)-++니+라.
이러시 주053)
이러시:
이렇듯이. 이렇-+(비교형어미)+이(부사파생접미사).
주054)
쳐:
키워. 치-[養]+어. 畜生 사 지븨셔 치 이라〈월석 1:46ㄴ주〉. 居士  節介 녜브터 치고(居士淸節養素)〈법화 7:77ㄴ〉. 이 동사는 현대어에서 의미가 축소되어, 주로 ‘짐승을 기르다’ 뜻이 되고, 사람과 관계되는 것으로는 ‘하숙을 치다. 손님을 치다.’로 한정하게 됨.
주055)
일:
일찍. 일[早]. 다음 예문에서 보는 것처럼 부사 ‘일’과 ‘일즉’은 15세기에 같이 씌었다고 보이며, ‘일’이 단형(短形)이어서 ‘일즉’에 밀려 쓰이지 않게 되고, 이 ‘일즉’은 ‘일쯕’으로도 나타나고, 19세기에는 2음절 모음 ‘ㅡ’의 전모음화(前母音化)로 ‘일직’이 되고 현대어 ‘일찍’에 이어진 것임. 先生이 일 昏蒙호 텨리니라(先生早擊蒙)〈두언 9:6ㄴ〉. 나힌 열다신 제 남진의 지븨가 일 홀어미외여(年十五歸曹門早寡)〈속삼강 열:14ㄱ〉. 부톄 니샤 大王아 네 일즉 업디 아니야셔 엇뎨 업수믈 아다〈능엄 2:4ㄴ〉. 王生이 일 일즉 안색 절하니(王生早曾拜顔色)〈두언 25:11ㄱ〉.
사 되와댜 주056)
사되와댜:
사람이 되고자. 사#되-[爲]+댜/와댜~과뎌/와뎌(희망, 의도의 연결어미). 사이 수이 알과댜 야(欲人易曉)〈선조 소언 범례1〉. 닷가 나가리 번드기 쉬이 알와뎌 라노니(庶修進者 煥然易悟耳)〈능엄 8:44ㄴ〉. 衆生이 다 解脫 得과뎌 願노다〈월석 21:8ㄱ〉.
원니라 주057)
원니라:
원한다. 원(願)-++니+라.
※ 신심사본은 ‘12ㄱ,ㄴ’의 책판이 유실되어 〈초역본〉의 복사본으로 보충했음.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어머니가 자식을 배어 열 달 사이에 앉으나 서나 편하지 않아, 무거운 것을 멘 듯하며 먹은 것이 내려가지 않아 병든 사람 같으니, 달이 차서 낳을 때 고통이 끝이 없고 좋으며 궂음이 잠깐 사이에 있으니
(=동안이니)
, 양과 돼지를 잡은 듯하여 피가 흘러 땅에 퍼지니 고생이 이러하다. 품어서 기를 때 힘듦을 탄하지 아니하며 더위를 참으며 추위를 참고 고생스러워도 싫어하지 않는다. 삼년 사이에 어미의 흰 피
(=젖)
를 먹고 자라나거든 예의도 가르치며 혼인하며 글 가르치며 여러 가지의 일을 갖추어 고생하되 나중에 은혜를 말하지 않는다. 자식이 병들면 부모가 병이 나니 그 병이 좋아져야 부모도 편안하다. 이렇듯이 길러 일찍이 사람 되기를 원하느니라.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미:어머니가. 어미[母]+∅(주격조사).
주002)
여:배어. 잉태하여. -[孕]+어. ‘여’는 ‘’의 ‘ㅣ’모음 순행동화로 ‘어’가 변동된 것임. 悉達太子 야 나하〈석상 23:27ㄱ-ㄴ〉.
주003)
이예:사이에. 이[間]+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예’는 ‘이’와 같이 ‘ㅣ’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쓰인 ‘-에/에’의 변이 형태임.
주004)
안나 니나:앉으나 서나. 앉-[坐]+(/으)나(대등의 연결어미)#닐-[起]+나.
주005)
편티:편하지. 편(便)-+디. 綏 편 유〈광주천 41ㄱ〉.  브터 直宿호미 便니 버런 벼리 다 빗나도다(淸秋便寓直列宿頓輝光)〈두언 24:9ㄴ〉. 이 한자 표기가 정음 표기로 나타나는 것은 17세기 초엽의 「첩해신어」나 「병자일기」 등에서 보이는 것이 앞선 것이고, ‘이 문헌’의 이 대목은 그보다 훨씬 연대가 이른 것임을 알 수 있음.
주006)
므거운:무거운. 므겁-[重](ㅂ불규칙)+(으)ㄴ(관형사형 어미).
주007)
멘:멘. 메-[擔]+ㄴ(관형사형 어미). 보 뮨 술위예 象이 메더니〈월천 상:43ㄴ〉. 내 한아바비 棺 메지다〈월석 10:10ㄱ〉.
주008)
며:듯하며. -(보조형용사)+며. ‘이 문헌’에서 이 보조형용사는 바로 이 장의 앞(12ㄱ) ‘며’와 뒤(12ㄴ)의 ‘ 돋 다힌 듯야’에 첫음절 ‘ㆍ’의 동요가 보임.
주009)
리디:내리지. 내려가지. 리-[降]+디.
주010)
:앓는. (病)-+ㄴ(관형사형 어미). 이 동사는 한자 어근에 접미사 ‘-다’가 결합하여 파생된 것으로 쓰임은 15세기 중엽에도 보임. 믈읫 有情이 病야 이셔〈석상 9:7ㄱ〉. 東南門 노니샤매 늘그니 病니 보시고  내시니〈월인 상:16ㄴ〉. 여기 ‘-’는 어근이 한자로 된 것이어서 이도 표제어로 실어야 할 것임. 앞 〈7ㄴ〉에서 ‘ ’은 통사상으로 보아 ‘명사+동사’로 분석했으나, 여기서는 동사로 다루기로 함.
주011)
니:같으니. -[如]+니.
주012)
리:달이. [月]+이(주격조사).
주013)
차:차. 차서. -[滿]+아. 닐웨 디 몯야〈월인 상:66ㄱ〉.  거늘〈석상 11:25ㄴ〉. 盈  영〈광주천 1ㄴ〉. 香내 世界예 차 펴디더니〈석상 23:38ㄱ〉.
주014)
나 제:낳을 때. 낳-[産]+(관형사형 어미)#제[時](명사, 부사). 이는 명사·부사로 두루 쓰였음. 지브로 도라오 제(言歸于家)〈용가 18〉. 셔 使者 리샤 바 건너 제〈용가 19〉. 조  여슬 만히 머그면 즉제 제 노가 리라(數數多食白糖卽自消化)〈구간 6:20ㄱ〉.
주015)
슈괴:수고가. 고생이. 슈고(受苦)+ㅣ(주격조사). ‘슈고’는 이 한자 표기의 명사는 15세기 중엽 ‘불경 언해’에는 많이 쓰인 것으로 예문을 들 것도 없으나, 문제는 문헌 상으로 정음 표기는 언제부터 쓰인 것인가를 찾는 것인데, 빠른 것은 15세기 말엽 「두시언해」부터 16세기 말의 「소학언해」까지 계속 쓰였음. 그러다가 ‘현대의 국어사전’에서 본디 어원인 ‘수고(受苦)’ 한자는 빠지고 순 고유어인 양 표제어로 되었다가, 2009년에 와서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편 「한국어대사전」에 한자 ‘受苦’가 제대로 표기되었음. 네 가짓 受苦 여희여〈석상 6:4ㄱ〉. 죽사릿 受苦 아니거시니와〈월석 1:12ㄱ주〉. 슬른  머겨서 슈고로이 뇨 니노라〈두시 20:27ㄱ〉. 엇디 스스로 수고 이러시 뇨〈소학 6:73ㄱ〉.
주016)
그지업고:한이 없고. 끝이 없고. 긎[限]+이(주격조사)#없-[無]+고. ‘업’은 ‘없’의 8종성 표기임. 그지업서 몯내 혜 功과 德(無量功德)〈석보 서:1ㄴ〉.
주017)
됴며:좋으며. 둏-[好]+()며.
주018)
구조미:궂음이. 언짢고 나쁨이. 궂-[惡]+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믈읫 衆生이 됴며 구즌 이를 모고〈석상 9:11ㄴ〉.
주019)
잠:잠깐. 잠[乍]. 이 부사는 다음 예문에서처럼 두 가지 형태, ‘ㅅ’이 2음절 초성에 합용으로 쓰이기도 하고, 1음절의 종성으로 ‘ᇝ’으로 쓰이기도 했음. 이 정음 표기는 「석보상절」 이래인 바, 본시 한자 ‘暫+ㅅ+間’의 합성어라고 보는데 한자 표기는 보이지 않음. 잠도 듣디 아니〈석상 6:6ㄱ〉. 간 머리 수기거나〈석상 13:53ㄴ〉.
주020)
인니:있으니. 잇-[有]++니. ‘인-’은 ‘’의 비음 ‘ㄴ’의 역행동화에 의한 것임.
주021)
 돋:양과 돼지. (羊)#돝[猪]. ‘돋’은 ‘돝’의 8종성 표기임.
주022)
다힌 듯야:잡은 듯하여. 다히-[屠]+ㄴ(관형사형 어미)#-[如]+아. ‘야’는 ‘-’에 후행하는 ‘-아’의 형태론적 이형태임.  갈로 쇼 다효(以一刀解牛)〈원각 하2의2:10ㄱ〉
주023)
:땅에. ㅎ[地](ㅎ종성체언)+(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4)
펴디니:펴지니. 펴-[伸/展]+(어)#디-(조동사)+니.
주025)
이러니라:이러하다. 이러하니라. 이러-+니+라.
주026)
푸머셔:품어서. 품-[抱]+어셔.
주027)
기 제:기를 때. 기르-[育]+ㄹ(관형사형 어미)#제.
주028)
믈:힘듦을. -[勞]+옴/움(명사형어미)+을(목적격 조사). 여기서 명사형은 ‘-+옴/움’으로 ‘봄’이 될 것이나, 16세기 중엽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탈락된 어형이 나타난 것임.
주029)
탄티:꺼리지. 두려워하지. 수고로워하지. 탄(憚)-+디. 이 형용사는 아주 드문 용례로 「고어사전」 표제어로 올릴만 함. 동음어인 ‘歎다’는 16세기 초엽 「번역소학」 등에 보임. 王涯 탄야 닐오 馮球ㅣ 가온 벼야셔〈번소 10:17ㄱ〉. 公이 탄야 닐오〈번소 10:30ㄴ〉.
주030)
더위:더위를. 더위[暑]+. 이는 ‘더’(명사)에서 순경음 소실 후의 어형 ‘더위’임. 더 치로 셜다가〈석상 9:9ㄴ〉.
주031)
며:참으며. -[忍]+며.
주032)
치위:추위를. 치위[寒]+. 이 명사는 본시 ‘칩-[寒](ㅂ불규칙)’으로 쓰이다가 모음어미 위에서 ‘치, 치 …’과 같이 쓰여 명사 파생어는 ‘치’로, 이것이 ‘ㅸ’ 소실 후 ‘치위’로 변한 것임. 치 므리 어렛다가 더면 노가 므리 외니라〈월석 9:23ㄴ〉. 치 사미 블 얻며〈월석 18:51ㄱ〉. 한 치위와 구든 어르미〈능엄 8:82ㄱ〉.
주033)
슈고뢰여도:수고로워도. 슈고(受苦)뢰-(형용사)+어도. ‘-여도’는 ‘-어도’가 앞의 ‘ㅣ’ 모음의 순행동화로 ‘-여도’로 변동된 것임. 15세기 중엽 당시 체언이 붙는 파생접미사 중에 같은 기능의 ‘-(외)-/-(외)-, --/--, --/--’이 있었는데, 그 쓰이는 조건이 상보적으로 복잡했음. 먼저 ① 체언 말음이 순수자음이면 접미사 두음이 ‘ㄷ’, 체언 말음이 모음이면 ‘ㄹ’로 교체되고, ② 어미의 두음이 ‘-아/어, -옴/움, -(/으)니’ 등 모음이면 ‘--/--’, 어미의 두음이 모음인 파생접미사 ‘-이’이면 ‘--/--’으로 교체되었음. 利益 일〈석상 9:40ㄱ〉. 受苦요미 地獄두고 더으니〈월석 1:21ㄴ주〉. 쥬변고  쥬변외니(自由更自由니)〈금삼 5:34ㄴ〉. 受苦도 즐겁도〈월석 1:35ㄴ주〉. 病 너기시니라〈월석 13:27ㄱ〉. 受苦 딕희여〈월석 9:29ㄱ〉. 이 대목에서는 ‘슈고-→슈고외-→슈고뢰-’가 어간으로 쓰인 것임. 〈월인석보〉의 ‘受苦요미’가 있으므로 ‘슈고다’로 표제어를 올려야 하겠음.
주034)
슬흐여:싫어하여. 슬희-[厭]+어(보조적 연결어미). 여기 ‘슬흐여’는 곧 음절 경계를 어떻게 끊는가에 달려 ‘슬희+어’와 ‘슬흐+여’로 나뉘는 것으로 봄. 生死 슬희여 여희오〈원각 상1의2:18ㄱ〉. 「원각경언해」에 ‘슬희여 -’도 보임. 가야이 너기며 슬희여 〈원각 상1의1:90ㄴ〉.
주035)
어믜:어머니의. 어미의. 어미[母]+의(관형격조사). ‘ㅣ’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관형격조사 ‘-/의’가 결합되면 체언의 ‘ㅣ’ 모음이 줆. 아리 아 쳔 믈러 가쥬미 〈석상 13:18ㄴ주〉.
주036)
:흰. 하얀. -[白]+ㄴ(관형사형 어미).
주037)
라나거든:자라나거든. 라나-[生長]+거든(연결어미). ‘라나-’는 ‘라-+-아(연결어미)#나-’의 통사적 합성어임.
주038)
녜도:예의와 법도. 녜도(禮度). ⟶ 76쪽. ‘녜도다’.
주039)
치며:가르치며. 치-[敎]+며.
주040)
혼인며:혼인하며. 결혼하며. 혼인(婚姻)-+며.
주041)
글:글. 글을. 글[文]+을(목적격조사)/∅(목적격).
주042)
여러가짓:여러 가지의. 여러#가지+ㅅ(관형격조사).
주043)
초와:갖추어. 구비하여. 초-[具]+아.
주044)
신고호:어려운 일을 당하여 몹시 애쓰되. 고생하되. 신고(辛苦)-+오(연결어미). 이는 ‘이 문헌’의 용례가 유일하게 고어사전에 실린 것은, 한자어가 아닌 것으로는 처음이나, ‘이 문헌’보다 앞서는 다음 용례를 보면 15세기 중엽에도 쓰였음. 내 獄中에 이셔 罪 니버 辛苦야  골거든 쇳무저글 기고〈월석 23:87ㄱ〉. 시혹 악예 러디면  신고며  슈고고〈초발-야운40ㄴ〉.
주045)
내의:나중의. 내[終]+의(관형격조사).
주046)
니디:이르지. 말하지. 니-[云]+디.
주047)
아니니라:아니한다. 아니-+(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라.
주048)
면:앓으면. 병들면. 병(病)-+면.
주049)
부뫼:부모가. 부모+ㅣ(주격조사).
주050)
나니:나니. 나-[生]+(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
주051)
됴케:좋아져야. 둏-[愈](동사)+게(보조적 연결어미)+(강세의 보조사). 이는 형용사와 같은 어형이나 ‘좋아지다(동사)’로 씌었음. 깃거 제 가져가아 니 됴커시〈월석 2:9ㄴ〉. 세 번 시수믈 디나디 아니야 됻니라(不過三洗効)〈구급 상:8ㄱ〉. 病이 져기 됸다(病微瘳)〈두초 10:30ㄱ〉.
주052)
편니라:편하다. 편(便)-++니+라.
주053)
이러시:이렇듯이. 이렇-+(비교형어미)+이(부사파생접미사).
주054)
쳐:키워. 치-[養]+어. 畜生 사 지븨셔 치 이라〈월석 1:46ㄴ주〉. 居士  節介 녜브터 치고(居士淸節養素)〈법화 7:77ㄴ〉. 이 동사는 현대어에서 의미가 축소되어, 주로 ‘짐승을 기르다’ 뜻이 되고, 사람과 관계되는 것으로는 ‘하숙을 치다. 손님을 치다.’로 한정하게 됨.
주055)
일:일찍. 일[早]. 다음 예문에서 보는 것처럼 부사 ‘일’과 ‘일즉’은 15세기에 같이 씌었다고 보이며, ‘일’이 단형(短形)이어서 ‘일즉’에 밀려 쓰이지 않게 되고, 이 ‘일즉’은 ‘일쯕’으로도 나타나고, 19세기에는 2음절 모음 ‘ㅡ’의 전모음화(前母音化)로 ‘일직’이 되고 현대어 ‘일찍’에 이어진 것임. 先生이 일 昏蒙호 텨리니라(先生早擊蒙)〈두언 9:6ㄴ〉. 나힌 열다신 제 남진의 지븨가 일 홀어미외여(年十五歸曹門早寡)〈속삼강 열:14ㄱ〉. 부톄 니샤 大王아 네 일즉 업디 아니야셔 엇뎨 업수믈 아다〈능엄 2:4ㄴ〉. 王生이 일 일즉 안색 절하니(王生早曾拜顔色)〈두언 25:11ㄱ〉.
주056)
사되와댜:사람이 되고자. 사#되-[爲]+댜/와댜~과뎌/와뎌(희망, 의도의 연결어미). 사이 수이 알과댜 야(欲人易曉)〈선조 소언 범례1〉. 닷가 나가리 번드기 쉬이 알와뎌 라노니(庶修進者 煥然易悟耳)〈능엄 8:44ㄴ〉. 衆生이 다 解脫 得과뎌 願노다〈월석 21:8ㄱ〉.
주057)
원니라:원한다. 원(願)-++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