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부모의 은혜를 잊고 불효
  • 10달을 품고 낳을 때의 은혜에 불효
메뉴닫기 메뉴열기

10달을 품고 낳을 때의 은혜에 불효


부모은중경언해:11ㄴ

佛告阿難 我觀衆生 雖紹人品 心行愚蒙 不思爺孃 有大恩德 不生恭敬 棄恩背德 無有仁慈 不孝不義

부톄 아란려 니샤 주001)
니샤:
이르시되. 니-[說]+시+오. ‘-시-’에 의도법의 ‘-오/우-’가 결합되면 ‘샤’로 변동됨.
사미 비록 인뉴의 주002)
인뉴의:
사람의 유(類)에. 인뉴(人類)+의(처소의 부사격조사). 여기 2음절 초성 ‘ㄴ’은 본시 ‘ㄹ’음이나 1음절 종성 비음 ‘ㄴ’의 동화로 ‘ㄴ’으로 변동된 표기임. ‘인뉴’는 인류(人類)에서 ‘ㄴㄹ’을 ‘ㄴㄴ’으로, ‘선릉(宣陵)’을 ‘선능’으로 적은 것과 같은 표기임. 이 대목의 한문은 ‘雖紹人品’인데 완역본인 용주사판본은 이를 ‘사람의 뉴 니으나’로 해 놓았음. 여기 ‘紹’ 자는 ‘잇다[繼], 받다[受]’의 뜻임. 〈용주 은중 25ㄱ〉.
이시나 주003)
이시나:
있으나. 이시-[有]+나. → 94쪽. ‘이실’.
믄 주004)
믄:
마음은. [心]+은. → 55쪽. 대조의 보조사 ‘-ㄴ/은//’.
어리니라 주005)
어리니라:
어리석은 것이다. 어리석으니라. 어리-[愚]+니+라.
부모의 큰 은더글 주006)
은더글:
은덕을. 은덕(恩德)+을(목적격조사). ‘글’은 ‘덕’의 ‘ㄱ’이 연철되어 표기된 것임.
티 주007)
티:
생각하지. -[思]+디. ‘+디’가 줄어 ‘티’로 한 음절로 축약됨.
아니여 주008)
아니여:
아니하여. 아니-[不行]+어. ‘아니-’가 조동사 ‘아니하-’의 뜻으로 쓰인 것임. → 77쪽. ‘아니다’.
 믈 아니며 주009)
아니며:
아니하며. 아니-[不行]+며. ‘아니-’가 동사 ‘아니-’의 뜻으로 쓰인 것임. 여기서는 ‘티 아니여(사랑하지 아니하여)’로 ‘아니여’가 조동사로 쓰였으나, 바로 아래는 ‘ 믈 아니며(공경할 마음을 아니하며)’로 본동사로 쓰인 셈이다. 이는 ‘아니-’와 ‘아니-’의 쌍형(용례는 조동사에 많이 쓰였으나, 본동사의 예는 드문 편임)일 가능성도 없지 않음.
은 주010)
은:
은혜를. 은(恩)+. ‘’은 ‘은’의 ‘ㄴ’이 중철된 표기임.
리며 주011)
리며:
버리며. 리-[棄]+며.
더글 주012)
더글:
덕을. 덕(德)+을. ‘글’은 ‘덕’의 ‘ㄱ’이 연철된 표기임.
더디고 주013)
더디고:
던지고. 더디-[投]+고. 이 ‘더디다’는 17세기 초엽에 ‘믈 드리우고 뵈야로 붇 더지고 時節 슬허 곧 기르마 브텃도다’〈두중 23:29ㄴ〉와 같이 ‘ㄷ’ 구개음화로 ‘더지고’로 바뀌기 시작했고, 19세기에 들어서는 1음절의 ‘더-’와 ‘ㄷ’ 구개음화된 2음절의 ‘지’ 사이에 ‘ㄴ’이 개입되어 ‘던지다’로 쓰게 됨. 손의 닐얼 거던 던지고 입에 음식얼 무러꺼던 토니라〈여소학 82〉. 계집 하인 물동우를 내 던지고 고셩으로 뎌긔 도적놈 간다고 니〈독립신문 8호〉.
브효니라 주014)
브효니라:
불효한다. 브효[不孝]-++니+라. ‘브효’는 본시 한자 표기에 동국정운 한자음(··)을 달았으나, 16세기 초엽, 정음 표기로 쓰이면서 부정의 ‘불(不)’ 자(字)에 ‘ㄷ, ㅈ’ 자음이 올 경우 ‘ㄹ’이 탈락되었으나, 여기서는 예외로 ‘ㅎ’음 앞에서 ‘ㄹ’이 탈락이 일어나, ‘블효’→‘브효’로 쓰이게 됨. 다가 有情히 不孝 거나〈석상 9:38ㄴ〉. 브효앳 이를 아니며〈번소 7:42ㄱ〉. 그 죄 브효만 크니 업스니라〈정속 2ㄴ〉. 이는 18세기에는 다시 ‘블효’로 쓰이다가 원순모음화로 현대어에 이어짐.⟶ 70쪽. ‘브효다’.
※ 신심사본 대교 : 다른 표기 없음.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이르시되, “사람이 비록 사람의 유(類)에 있으나(사람의 몸을 받았으나), 마음은 어리석은 것이다. 부모의 큰 은덕을 생각하지 아니하여 공경할 마음을 가지지 아니하며 은혜를 버리며 덕을 던지고
(=배신하고)
불효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샤:이르시되. 니-[說]+시+오. ‘-시-’에 의도법의 ‘-오/우-’가 결합되면 ‘샤’로 변동됨.
주002)
인뉴의:사람의 유(類)에. 인뉴(人類)+의(처소의 부사격조사). 여기 2음절 초성 ‘ㄴ’은 본시 ‘ㄹ’음이나 1음절 종성 비음 ‘ㄴ’의 동화로 ‘ㄴ’으로 변동된 표기임. ‘인뉴’는 인류(人類)에서 ‘ㄴㄹ’을 ‘ㄴㄴ’으로, ‘선릉(宣陵)’을 ‘선능’으로 적은 것과 같은 표기임. 이 대목의 한문은 ‘雖紹人品’인데 완역본인 용주사판본은 이를 ‘사람의 뉴 니으나’로 해 놓았음. 여기 ‘紹’ 자는 ‘잇다[繼], 받다[受]’의 뜻임. 〈용주 은중 25ㄱ〉.
주003)
이시나:있으나. 이시-[有]+나. → 94쪽. ‘이실’.
주004)
믄:마음은. [心]+은. → 55쪽. 대조의 보조사 ‘-ㄴ/은//’.
주005)
어리니라:어리석은 것이다. 어리석으니라. 어리-[愚]+니+라.
주006)
은더글:은덕을. 은덕(恩德)+을(목적격조사). ‘글’은 ‘덕’의 ‘ㄱ’이 연철되어 표기된 것임.
주007)
티:생각하지. -[思]+디. ‘+디’가 줄어 ‘티’로 한 음절로 축약됨.
주008)
아니여:아니하여. 아니-[不行]+어. ‘아니-’가 조동사 ‘아니하-’의 뜻으로 쓰인 것임. → 77쪽. ‘아니다’.
주009)
아니며:아니하며. 아니-[不行]+며. ‘아니-’가 동사 ‘아니-’의 뜻으로 쓰인 것임. 여기서는 ‘티 아니여(사랑하지 아니하여)’로 ‘아니여’가 조동사로 쓰였으나, 바로 아래는 ‘ 믈 아니며(공경할 마음을 아니하며)’로 본동사로 쓰인 셈이다. 이는 ‘아니-’와 ‘아니-’의 쌍형(용례는 조동사에 많이 쓰였으나, 본동사의 예는 드문 편임)일 가능성도 없지 않음.
주010)
은:은혜를. 은(恩)+. ‘’은 ‘은’의 ‘ㄴ’이 중철된 표기임.
주011)
리며:버리며. 리-[棄]+며.
주012)
더글:덕을. 덕(德)+을. ‘글’은 ‘덕’의 ‘ㄱ’이 연철된 표기임.
주013)
더디고:던지고. 더디-[投]+고. 이 ‘더디다’는 17세기 초엽에 ‘믈 드리우고 뵈야로 붇 더지고 時節 슬허 곧 기르마 브텃도다’〈두중 23:29ㄴ〉와 같이 ‘ㄷ’ 구개음화로 ‘더지고’로 바뀌기 시작했고, 19세기에 들어서는 1음절의 ‘더-’와 ‘ㄷ’ 구개음화된 2음절의 ‘지’ 사이에 ‘ㄴ’이 개입되어 ‘던지다’로 쓰게 됨. 손의 닐얼 거던 던지고 입에 음식얼 무러꺼던 토니라〈여소학 82〉. 계집 하인 물동우를 내 던지고 고셩으로 뎌긔 도적놈 간다고 니〈독립신문 8호〉.
주014)
브효니라:불효한다. 브효[不孝]-++니+라. ‘브효’는 본시 한자 표기에 동국정운 한자음(··)을 달았으나, 16세기 초엽, 정음 표기로 쓰이면서 부정의 ‘불(不)’ 자(字)에 ‘ㄷ, ㅈ’ 자음이 올 경우 ‘ㄹ’이 탈락되었으나, 여기서는 예외로 ‘ㅎ’음 앞에서 ‘ㄹ’이 탈락이 일어나, ‘블효’→‘브효’로 쓰이게 됨. 다가 有情히 不孝 거나〈석상 9:38ㄴ〉. 브효앳 이를 아니며〈번소 7:42ㄱ〉. 그 죄 브효만 크니 업스니라〈정속 2ㄴ〉. 이는 18세기에는 다시 ‘블효’로 쓰이다가 원순모음화로 현대어에 이어짐.⟶ 70쪽. ‘브효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