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부모의 은혜를 갚는 길을 물음
  • 갚을 수 없는 부모의 은혜 6
메뉴닫기 메뉴열기

갚을 수 없는 부모의 은혜 6


부모은중경언해:20ㄴ

假使有人 爲於爺孃 體掛身燈 供養如來 經百千劫 猶不能報 父母深恩

가 사미 부모 위야 모므로 주001)
모므로:
몸으로. 몸[身]+으로(도구의 부사격조사).
을 사마 주002)
을 사마:
등을 삼아. (燈)+을(목적격조사)#삼-[爲]+아. 명사 ‘등(燈)’은 「교학고어사전」 표제어에 한자 예문으로 돼 있고, 정음 표기는 「이조어사전」에 ‘이 문헌’의 이 대목을 들었음. 續命幡과 燈과 엇뎨 리고〈석상 9:32ㄱ〉. 동사 ‘삼-’은 그대로 현대어에 이어지는 것으로 그 용례는 많음. 沙彌 사모려 다 〈석상 6:2ㄱ〉. 刑罰 안 官員을 삼고〈석상 23:14ㄱ〉.
부텨 블 혀고 주003)
블 혀고:
불 켜고. 블[火]# 혀-[点火]+고. 혀는 블 는 블 메윤 돗귀 비 들 일우니〈월인 상:38ㄴ〉. 七層塔의 블 혀고〈석상 9:30ㄴ〉. 이 동사는 주로 ‘혀-’로 쓰였으나, 그 어원은 아무래도 ‘-’[引]에 있는 것으로 보여, 이에 끌려 다음 예문처럼 드물게 ‘점화(点火)’의 뜻으로 쓰인 것이 있음. 蘇油燈을   幡數에 맛게 고〈월석 10:119ㄴ〉. 燈  고 닛오며〈법화 3:58ㄱ〉. 열 귀우믈이  홈에 흘러 무가마로 켜 가든〈자소 11ㄴ〉. 현대어 ‘켜-’는 이 ‘-’와 관계되는 것임. ‘켜-’는 17세기 초엽 「연병지남(1612)」, 「동국신속삼강행실도(1617)」에 ‘’로 나타났다가 「신전자취염소방(1635)」에 ‘켜’로 나타나서 후반에는 많이 쓰인 것으로 봄. 主人아 등잔불 켜 오라(主人家点箇燈來)〈노해 상:22ㄴ〉.
쳔 겁 디내여도 브모의 주004)
브모의:
부모의. 부모(父母)+의(관형격조사). 여기의 ‘브’는 복각본들에는 ‘부’로 되어 있어 단순한 오자(誤字)로 보임.
기픈 은 갑디 몯리라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신심사본 대교 : 브모의-부모의.
가령, 사람이 부모를 위하여 몸으로 등을 삼아 부처님께 〈올려〉 불 켜고, 백천 겁을 지내어도 부모의 깊은 은혜를 갚지 못하리라.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모므로:몸으로. 몸[身]+으로(도구의 부사격조사).
주002)
을 사마:등을 삼아. (燈)+을(목적격조사)#삼-[爲]+아. 명사 ‘등(燈)’은 「교학고어사전」 표제어에 한자 예문으로 돼 있고, 정음 표기는 「이조어사전」에 ‘이 문헌’의 이 대목을 들었음. 續命幡과 燈과 엇뎨 리고〈석상 9:32ㄱ〉. 동사 ‘삼-’은 그대로 현대어에 이어지는 것으로 그 용례는 많음. 沙彌 사모려 다 〈석상 6:2ㄱ〉. 刑罰 안 官員을 삼고〈석상 23:14ㄱ〉.
주003)
블 혀고:불 켜고. 블[火]# 혀-[点火]+고. 혀는 블 는 블 메윤 돗귀 비 들 일우니〈월인 상:38ㄴ〉. 七層塔의 블 혀고〈석상 9:30ㄴ〉. 이 동사는 주로 ‘혀-’로 쓰였으나, 그 어원은 아무래도 ‘-’[引]에 있는 것으로 보여, 이에 끌려 다음 예문처럼 드물게 ‘점화(点火)’의 뜻으로 쓰인 것이 있음. 蘇油燈을   幡數에 맛게 고〈월석 10:119ㄴ〉. 燈  고 닛오며〈법화 3:58ㄱ〉. 열 귀우믈이  홈에 흘러 무가마로 켜 가든〈자소 11ㄴ〉. 현대어 ‘켜-’는 이 ‘-’와 관계되는 것임. ‘켜-’는 17세기 초엽 「연병지남(1612)」, 「동국신속삼강행실도(1617)」에 ‘’로 나타났다가 「신전자취염소방(1635)」에 ‘켜’로 나타나서 후반에는 많이 쓰인 것으로 봄. 主人아 등잔불 켜 오라(主人家点箇燈來)〈노해 상:22ㄴ〉.
주004)
브모의:부모의. 부모(父母)+의(관형격조사). 여기의 ‘브’는 복각본들에는 ‘부’로 되어 있어 단순한 오자(誤字)로 보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