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
  • 중생의 기원
  • 중생의 기원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중생의 기원 3


[중생의 기원 3]
 기르미 업거늘 버거 주001)
버거:
다음으로.
너추렛 주002)
너출:
넌출.
여르미 주003)
여름:
열매. 과일.
나니 버혀든 주004)
버히다:
베다.

월인석보 1:43ㄴ

 지니 흐르더라 버거 두 가지옴 주005)
가지옴:
가지씩, 「-옴」은 「-곰」의 변이형.
가진 葡萄 주006)
포도(葡萄):
언해 원문에는 葡가 莆로 되어 있는데, 葡는 蒲(부들)와 같은 글자이나, 葡와도 통용되었던 듯.
ㅣ 나니 마시  더니 그 머근 後에 우우 주007)
우우:
(웃음) 웃는 일.
나니라 葡萄 업거늘 粳米 주008)
갱미:
멥쌀. (=杭米, 갱미).
나 한 됴 마시 다 더니 주009)
다(←곳다):
갖다.
거플 주010)
거플:
거풀.
업고 기리 닐굽 치러니 그 머근 後에 보기 주011)
보기:
뒤보기.
 니 남진 겨지비 나니라
그 時節에 情欲

월인석보 1:44ㄱ

한 사미 겨지비 외야 情은 디니 情欲 매 나 貪欲이라】
그 주012)
그:
남이 보지 못하는 곳, 숨을 곳.
오 주013)
오:
만들고.
남진 려 드러 더러 이 거늘 衆生이 보고 더러쎠 주014)
더러쎠:
더럽구나.
엇데 이런 더러 일 거뇨 대 그 남지니 뉘으처 주015)
뉘웇다:
뉘우치다.
해 업더옛거늘 주016)
업더옛거늘:
(← 업데옛거늘), 엎드려 있거늘.
그 겨지비 밥 가져다가 머기고 자바 니르니 주017)
니르다:
일으키다.
그 後로 夫妻

월인석보 1:44ㄴ

라 혼 일후미 나니 그 노라 지 주018)
지:
짓는 일.
 처 니 그제 아기 나히 始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중생의 기원 3]
※ 넌출의 열매·포도·갱미가 차례로 나서, 그 뒤에야 뒤보기와 남녀가 생김.
땅 기름이 없으니, 다음으로 넌출의 열매가 나니, 베니 꿀 같은 진이 흐르더라. 다음으로 두 가지(나뭇가지)씩 가진 포도가 나니 맛이 또 달더니, 그 먹은 뒤에 웃음 웃을 일이 〈생겨〉나니라. 포도가 없으며 갱미가 나되 많은 좋은 맛이 다 갖더라. 거풀이 없고 길이가 일곱 치이더니, 그것을 먹은 뒤에야 뒤보기를 하니, 남자 계집이 나니라.
※ 부부가 생겨 나고, 집을 짓고, 아기를 낳기 시작.
그때에 정욕이 많은 사람이 계집이 되어【「정」은 뜻이니, 「정욕」은 마음에 일어나는 탐욕이다.】 숨을 곳을 만들고 남자를 데려 들어 더러운 일을 하거늘, 중생이 보고, “더럽구나 어찌 이런 더러운 일을 하느냐?” 한데, 그 남자가 뉘우쳐 땅에 엎드려 있거늘 그 계집이 밥 가져다가 먹이고 잡아 일으키니, 그 뒤로 부처
(남편·아내)
라 하는 이름이 나니, 숨을 데를 만드느라고 집 짓기를 처음 하니, 그때에야 아기 낳기를 시작하니라.
Ⓒ 역자 | 허웅 / 1992년 12월 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버거:다음으로.
주002)
너출:넌출.
주003)
여름:열매. 과일.
주004)
버히다:베다.
주005)
가지옴:가지씩, 「-옴」은 「-곰」의 변이형.
주006)
포도(葡萄):언해 원문에는 葡가 莆로 되어 있는데, 葡는 蒲(부들)와 같은 글자이나, 葡와도 통용되었던 듯.
주007)
우우:(웃음) 웃는 일.
주008)
갱미:멥쌀. (=杭米, 갱미).
주009)
다(←곳다):갖다.
주010)
거플:거풀.
주011)
보기:뒤보기.
주012)
그:남이 보지 못하는 곳, 숨을 곳.
주013)
오:만들고.
주014)
더러쎠:더럽구나.
주015)
뉘웇다:뉘우치다.
주016)
업더옛거늘:(← 업데옛거늘), 엎드려 있거늘.
주017)
니르다:일으키다.
주018)
지:짓는 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