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효경언해

  • 역주 효경언해
  • 경(經) 1장
  • (고문 제6장) 서인(庶人)
메뉴닫기 메뉴열기

(고문 제6장) 서인(庶人)


用용天텬之지道도며 因인地디之지利리야 謹근身신節절用용야 以이養양父부母모ㅣ 此ㅣ 庶셔人인之지孝효也야ㅣ라
Ⓒ 필자 | 공안국 /

6ㄴ

하 道도【봄에 내고 녀름에 길우고  염글오고 주001)
 염글오고:
가을에 여물게 하고. ‘’의 전 단계 전차형은 ‘’(금강경삼가해 2:6)이다. 그러므로 음운변천을 고려한 소리의 변천은 ‘〉〉〉가을’과 같다. 여기 ‘’은 재구형으로 문헌에는 없으나 아직도 경상도를 중심으로 한 남부 방언에서는 ‘가살, 가실, 가슬’ 계와 같은 중간 자음이 아직도 살아 쓰이고 있다. 중간 자음과 관련, 경상도의 방언 화자들이 표준어를 씀에 여러 가지 특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경북 방언에 대한 자료 조사와 발표를 통해서 경북 방언의 개념과 보편적인 특성과 그에 따르는 예시, 결론을 순서로 언어적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그 가운데 중간 자음에 대한 것을 주목 하고자 한다. 먼저, ㅅ과 ㅆ의 변별성이다. 살-쌀, 썩었다-석었다 에서처럼 ㅅ-ㅆ는 대구를 중심으로 낙동강 동쪽 지역에서 비변별적으로 나타난다. 17세기에 이미 ㅅ의 경음화로 ㅅ-ㅆ의 구별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어떤 과정을 거쳐 그 짧은 기간 내에 다시 ㅅ-ㅆ이 중화되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오늘날에는 학교 교육의 영향으로 세대간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고어 ‘ㅸ, ㅿ’와 중간 자음 ‘ㄱ-’의 분포를 살펴본다. ‘누부(누나), 매서〉매바서(매워서)’에서처럼 ㅸ의 경우 ㅸ〉ㅂ으로의 변화가 드러난다. 가실(〉가을)에서처럼 ㅿ의 경우, ㅿ〉ㅅ의 변화가 눈에 띤다. 몰개(모래), 멀구(머루)처럼 어중자음 ‘-ㄱ-’이 탈락하지 않은 것이 두드러진다. 한편, ‘염글오고’의 기본형은 ‘염글우다’(번역소학 9:108)인데 여기에 부사형 어미 ‘-고’가 통합된 형임. 여기 ‘-오-’는 ‘-우-’의 표기적인 이형으로 보면 된다.
겨을에 간 道도ㅣ라】
 며  利리【  즌  각각 맛당 곡셕을 시므 利리라】 因인야 몸 삼가며 기 존졀야 父부母모 침이 주002)
부모(父母) 침이:
부모를 봉양함이. ‘침’은 동사 ‘치다’의 명사형인데, ‘봉양하다, 육성하다, 배양하다, 양육하다, 사육하다, 기르다’ 등으로 두루 쓰던 말이다.
이 庶셔人인의 孝효ㅣ라
Ⓒ 역자 | 홍문관 / 1589년(선조 22)

〈제6장 서인(庶人)〉
하늘의 도(道)【봄에 내고 여름에 기르고 가을에 여물게 하고 겨울에 갈무리하는 도(섭리)이다.】를 쓰며 땅의 이로움【마른 데와 진 데를 따라 각각 마땅한 곡식을 심는 이로움이다.】으로 인하여 몸을 삼가고 쓰기를 절도 있게 함으로써 어버이를 봉양함이니, 이것은 보통 사람[庶人]의 효도하는 길이다.
Ⓒ 역자 | 정호완 / 2014년 3월 1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 염글오고:가을에 여물게 하고. ‘’의 전 단계 전차형은 ‘’(금강경삼가해 2:6)이다. 그러므로 음운변천을 고려한 소리의 변천은 ‘〉〉〉가을’과 같다. 여기 ‘’은 재구형으로 문헌에는 없으나 아직도 경상도를 중심으로 한 남부 방언에서는 ‘가살, 가실, 가슬’ 계와 같은 중간 자음이 아직도 살아 쓰이고 있다. 중간 자음과 관련, 경상도의 방언 화자들이 표준어를 씀에 여러 가지 특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경북 방언에 대한 자료 조사와 발표를 통해서 경북 방언의 개념과 보편적인 특성과 그에 따르는 예시, 결론을 순서로 언어적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그 가운데 중간 자음에 대한 것을 주목 하고자 한다. 먼저, ㅅ과 ㅆ의 변별성이다. 살-쌀, 썩었다-석었다 에서처럼 ㅅ-ㅆ는 대구를 중심으로 낙동강 동쪽 지역에서 비변별적으로 나타난다. 17세기에 이미 ㅅ의 경음화로 ㅅ-ㅆ의 구별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어떤 과정을 거쳐 그 짧은 기간 내에 다시 ㅅ-ㅆ이 중화되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오늘날에는 학교 교육의 영향으로 세대간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고어 ‘ㅸ, ㅿ’와 중간 자음 ‘ㄱ-’의 분포를 살펴본다. ‘누부(누나), 매서〉매바서(매워서)’에서처럼 ㅸ의 경우 ㅸ〉ㅂ으로의 변화가 드러난다. 가실(〉가을)에서처럼 ㅿ의 경우, ㅿ〉ㅅ의 변화가 눈에 띤다. 몰개(모래), 멀구(머루)처럼 어중자음 ‘-ㄱ-’이 탈락하지 않은 것이 두드러진다. 한편, ‘염글오고’의 기본형은 ‘염글우다’(번역소학 9:108)인데 여기에 부사형 어미 ‘-고’가 통합된 형임. 여기 ‘-오-’는 ‘-우-’의 표기적인 이형으로 보면 된다.
주002)
부모(父母) 침이:부모를 봉양함이. ‘침’은 동사 ‘치다’의 명사형인데, ‘봉양하다, 육성하다, 배양하다, 양육하다, 사육하다, 기르다’ 등으로 두루 쓰던 말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