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이륜행실도

  • 역주 이륜행실도
  • 이륜행실 사생도
  • 양시입설(楊時立雪)
메뉴닫기 메뉴열기

양시입설(楊時立雪)


이륜행실사생도 47ㄱ(옥산서원본)

楊時立雪

시 도주001)
도(明道):
중국 북송의 유학자인 정명도(程明道, 1032~1085)를 말함. 이름은 호(顥), 자는 백순(伯淳), 호는 명도(明道)이다. 아우 이(頤)와 함께 이정자(二程子)로 불리며, 도덕설을 주장하여 우주의 본성과 사람의 성(性)이 본래 동일하다고 보았다. 아우 이(頤)와 같이 주염계(周濂溪)의 문인(門人)이다. 저서에 ≪정성서(定性書)≫, ≪식인편(識仁篇)≫ 등이 있다.
션의게 도글주002)
도글:
도학(道學)+-을(목적격 조사). 유교 도덕에 관한 학문을. ‘도글’은 중철 표기이다.
화 갓다가 션이 죽닷 말주003)
죽닷 말:
죽었다는 말.
듣고 신위주004)
신위(神位):
신주(神主)의 이름을 적은 위패를 말함.
라 노코주005)
노코:
놓-[置]+-고(대등적 연결 어미). 놓고.
울오 듸주006)
듸:
한데. 함께.
호던 사름믜게 유무주007)
유무:
편지. 소식.
여 알외니라주008)
알외니라:
알-[知]+-외-(사동 접미사)+-니라(평서법 어미). 알렸다.
후에 유작기와주009)
유작기와:
유작(游酢, 인명)+-이(접미사)+-와(접속 조사). 유작(游酢)과. 접미사 ‘-이’는 받침 있는 이름자 밑에 붙어 어조를 고르게 하는 접미사이다. ‘유작기와’는 ‘유작이와’의 중철 표기이다.
주010)
:
함께. 15세기 문헌의 ‘’[一時]가 16세기 문헌에서 ‘’로 나타나는데, 이때 ‘’의 ㄴ이 ㅁ이 된 것은 ‘’의 ㅂ에 영향 받은 것이다.
이쳔주011)
이쳔(伊川):
중국 북송의 유학자인 정이천(程伊川, 1033~1107)을 말함. 이름은 이(頤), 자는 정숙(正叔), 호는 이천(伊川)이다. 최초로 이기(理氣)의 철학을 내세우고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하여, 형인 정명도와 함께 이정자(二程子)로 불린다. 저서에 ≪이천선생문집(伊川先生文集)≫, 공저인 ≪이정전서(二程全書)≫가 있다.
션을 뵈더니 이쳔주012)
이쳔니:
이쳔(伊川, 인명)+-이(주격 조사). 이천 선생이. ‘이쳔니’는 중철 표기이다.
눈 고 안젓거주013)
안젓거:
앉-[坐]+-엇-(과거 시상 선어말 어미)+-거(종속적 연결 어미). 앉아 있기에. 선어말 어미 ‘-앗-’이 쓰여야 할 자리에 ‘-엇-’을 쓰고 있다.
두울히주014)
두울히:
두울ㅎ[二人]+-이(주격 조사). 두 사람이. 〈규장각본〉(1727)에는 ‘둘히’로 쓰였다.
뫼셔 셧더니 여주015)
여:
-[覺]+-여(연결 어미). 깨어. 눈을 떠서.
닐우듸 그디내주016)
그디내:
그디[汝]+-내(복수 접미사). 그대들.
그저 겨시더니 오늘리주017)
오늘리:
오늘[今日]+-이(주격 조사). 오늘이. ‘오늘리’는 중철 표기이다.
졈그니주018)
졈그니:
졈글-[暮]+-니(종속적 연결 어미). 저무니. ‘졈글-’의 어간 말음 ㄹ이 ㄴ 앞에서 탈락하였다.
쉬어(?)샤주019)
쉬어(?)샤:
쉬라고 하시어. 정확한 어형을 분별해 내기가 어렵다. 그리하여 후세의 이본을 확인한 결과 〈규장각본〉(1727)에는 “쉬라 샤”(47ㄱ)로 되어 있고, ≪오륜행실도≫(1797)에는 “쉬라 시거”(5:27ㄱ)로 되어 있어 참고가 된다.
문 밧긔 나니 눈 기픠주020)
기픠:
깊-[深]+-의(명사 접미사)+ø(zero 주격 조사). 깊이가.
 자히러라주021)
 자히러라:
[一]+자ㅎ[尺]+-이-(서술격 조사)+-더라(과거 시상 평서법 어미). 한 자였다. ‘-더라’가 서술격 조사 ‘이’ 아래에서 ‘-러라’로 교체되었다.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이륜행실사생도 47ㄴ(옥산서원본)

楊時明道之傳而歸 及聞其卒 設位哭寢門 而以書訃告同學者 後與游酢 同見伊川 伊川瞑目而坐 二子侍立旣覺 謂曰賢輩尙在此乎 今旣晩 且休矣 及出門外 雪深一尺矣
學道歸來道已東 山頹梁毁恨難窮 寢門慟擗知天喪 爲訃諸生共哭從
吾師之弟亦吾師 却與游君共事之 偶値先生瞑目坐 雪深一膝不知疲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양시입설(楊時立雪 : 양시가 눈 위에 서다) 송나라
양시(楊時)정명도(程明道) 선생에게 도학(道學)을 배우고 돌아갔다가 선생이 별세하셨다는 부음(訃音)을 듣고는 자기 방에 위패(位牌)를 만들어 놓고 울었다. 그리고 함께 배우던 사람에게 편지하여 그의 별세를 알렸다. 그 뒤에 유작(游酢)과 함께 가서 이천(伊川) 선생을 뵈었으나 이천 선생이 눈을 감고 앉아 있기에 두 사람이 모시고 서 있으니, 선생이 눈을 떠서 이르기를, “그대들이 여태까지 그냥 있었는데, 오늘은 저물었으니 가서 쉬게나.”라고 하여 두 사람이 문 밖에 나서니 눈이 쌓여 깊이가 한 자나 되었다.
Ⓒ 역자 | 김문웅 / 2010년 10월 일

〈규장각본〉

이륜행실사생도 47ㄱ(규장각본)

양시란 션 명도 션의게 도을 화 왓가 션이 죽단 말 듯고 허위 라 노코 울고  호던 사의게 유무여 알외니라 후에 유작이와  가 이쳔 션을 뵈더니 이쳔 션이 눈 고 안잣거 둘히 뫼셔 셧더니 여 닐오 그 그저 겨시더니 오이 졈그러시니 가 쉬라 샤 문 밧긔 나니 눈이 싸혀  자히러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도(明道):중국 북송의 유학자인 정명도(程明道, 1032~1085)를 말함. 이름은 호(顥), 자는 백순(伯淳), 호는 명도(明道)이다. 아우 이(頤)와 함께 이정자(二程子)로 불리며, 도덕설을 주장하여 우주의 본성과 사람의 성(性)이 본래 동일하다고 보았다. 아우 이(頤)와 같이 주염계(周濂溪)의 문인(門人)이다. 저서에 ≪정성서(定性書)≫, ≪식인편(識仁篇)≫ 등이 있다.
주002)
도글:도학(道學)+-을(목적격 조사). 유교 도덕에 관한 학문을. ‘도글’은 중철 표기이다.
주003)
죽닷 말:죽었다는 말.
주004)
신위(神位):신주(神主)의 이름을 적은 위패를 말함.
주005)
노코:놓-[置]+-고(대등적 연결 어미). 놓고.
주006)
듸:한데. 함께.
주007)
유무:편지. 소식.
주008)
알외니라:알-[知]+-외-(사동 접미사)+-니라(평서법 어미). 알렸다.
주009)
유작기와:유작(游酢, 인명)+-이(접미사)+-와(접속 조사). 유작(游酢)과. 접미사 ‘-이’는 받침 있는 이름자 밑에 붙어 어조를 고르게 하는 접미사이다. ‘유작기와’는 ‘유작이와’의 중철 표기이다.
주010)
:함께. 15세기 문헌의 ‘’[一時]가 16세기 문헌에서 ‘’로 나타나는데, 이때 ‘’의 ㄴ이 ㅁ이 된 것은 ‘’의 ㅂ에 영향 받은 것이다.
주011)
이쳔(伊川):중국 북송의 유학자인 정이천(程伊川, 1033~1107)을 말함. 이름은 이(頤), 자는 정숙(正叔), 호는 이천(伊川)이다. 최초로 이기(理氣)의 철학을 내세우고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하여, 형인 정명도와 함께 이정자(二程子)로 불린다. 저서에 ≪이천선생문집(伊川先生文集)≫, 공저인 ≪이정전서(二程全書)≫가 있다.
주012)
이쳔니:이쳔(伊川, 인명)+-이(주격 조사). 이천 선생이. ‘이쳔니’는 중철 표기이다.
주013)
안젓거:앉-[坐]+-엇-(과거 시상 선어말 어미)+-거(종속적 연결 어미). 앉아 있기에. 선어말 어미 ‘-앗-’이 쓰여야 할 자리에 ‘-엇-’을 쓰고 있다.
주014)
두울히:두울ㅎ[二人]+-이(주격 조사). 두 사람이. 〈규장각본〉(1727)에는 ‘둘히’로 쓰였다.
주015)
여:-[覺]+-여(연결 어미). 깨어. 눈을 떠서.
주016)
그디내:그디[汝]+-내(복수 접미사). 그대들.
주017)
오늘리:오늘[今日]+-이(주격 조사). 오늘이. ‘오늘리’는 중철 표기이다.
주018)
졈그니:졈글-[暮]+-니(종속적 연결 어미). 저무니. ‘졈글-’의 어간 말음 ㄹ이 ㄴ 앞에서 탈락하였다.
주019)
쉬어(?)샤:쉬라고 하시어. 정확한 어형을 분별해 내기가 어렵다. 그리하여 후세의 이본을 확인한 결과 〈규장각본〉(1727)에는 “쉬라 샤”(47ㄱ)로 되어 있고, ≪오륜행실도≫(1797)에는 “쉬라 시거”(5:27ㄱ)로 되어 있어 참고가 된다.
주020)
기픠:깊-[深]+-의(명사 접미사)+ø(zero 주격 조사). 깊이가.
주021)
 자히러라:[一]+자ㅎ[尺]+-이-(서술격 조사)+-더라(과거 시상 평서법 어미). 한 자였다. ‘-더라’가 서술격 조사 ‘이’ 아래에서 ‘-러라’로 교체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