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이륜행실도

  • 역주 이륜행실도
  • 이륜행실 형제도
  • 곽전분재(郭全分財)
메뉴닫기 메뉴열기

곽전분재(郭全分財)


24ㄱ

郭全分財

곽젼니 주001)
곽젼니:
곽젼(郭全, 인명)+-이(주격 조사). 곽전이. ‘곽젼니’는 중철 표기이다.
계모 주002)
계모(繼母):
의붓어머니.
 셤교  효도더니 계뫼 세 아 나하 주003)
나하:
낳-[生]+-아(연결 어미). 낳아.
졀머든 주004)
졀머든:
졂-[幼]+-엇-(완료 시상 선어말 어미)+-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어려서. 15세기 국어에서부터 ‘幼’(유)의 뜻으로 쓰인 형용사는 ‘졈다’였고 이 문헌에서도 줄곧 ‘졈다’형만 사용되고 있다. 그러다가 ‘졈다’에 ㄹ이 첨가된 ‘졂다’의 형태가 여기에 쓰였는데 ‘졂다’의 등장은 근대 국어 시기의 일이다. 그런데도 16세기의 이 문헌에서 ‘졂다’의 표기가 등장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라 하겠다. 그리고 표기에서도 ‘졀멋거든’에서 ㅅ을 다음 음절로 내려 적은 ‘졀머든’으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규장각본〉에는 여전히 ㄹ이 첨가되지 않은 ‘져머 잇늘’을 쓰고 있다.
젼니 녀름지 주005)
녀름지:
녀름[農事]+짓-[耕]+-어(연결 어미). 농사지어. 동사 어간 ‘짓-’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교체된다.
머기며 라거 주006)
라거:
라-[長成]+-거(종속적 연결 어미). 자라매.
다 겨집 얼이니 주007)
얼이니:
얼-[婚]+-이-(사동 접미사)+-니(종속적 연결 어미). 혼인시키니.
각각 화 주008)
화:
호-[分]+-아(연결 어미). 나누어. 이 문헌에서는 지금까지 경상도 방언형으로 보이는 ‘논호-’의 형태만 나타났다.
다티 주009)
다티:
달리. 따로. 이 문헌의 4ㄱ, 7ㄴ에는 ‘닫티’로 나타난다.
사쟈 주010)
사쟈:
살-[居]+-쟈(청유법 어미). 살자. 중세 국어에서 어간 말음 ㄹ은 ㅈ 앞에서 탈락한다.
커 젼니 말이다가 주011)
말이다가:
말-[止]+-이-(사동 접미사)+-다가(종속적 연결 어미). 말리다가. 그만두게 하다가.
몯여 바티며 주012)
바티며:
밭[田]+-이며(보조사). 밭이며.
집비며 주013)
집비며:
집[家]+-이며(보조사). 집이며. ‘집비며’는 중철 표기이다.
긔믈를 주014)
긔믈를:
긔믈(器物)+-을(모적격 조사). 기물을. 살림살이 도구를. ‘긔믈를’은 중철 표기이다.
사오나온 주015)
사오나온:
사오납-[荒]+-(관형사형 어미). 사나운. 거친. 좋지 않은.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사오나’으로 표기하고 있다. ‘사오나온’에 대해서 한문 원문에는 ‘荒瘠朽敗’(황척후패)라 하였는데, 荒瘠은 땅이 거칠고 메마르다는 뜻이고, 朽敗는 썩어 문드러짐을 나타내는 말이다.
거슬 가지고 어미 모셔 사로 주016)
사로:
살-[居]+-오-(삽입 모음)+-(설명법 연결 어미). 살되. 살아도.
됴 차반 주017)
차반:
맛있게 잘 차린 음식. 한문 원문에는 ‘차반’을 ‘甘旨’(감지)라는 말로 나타내었는데, ‘甘旨’는 맛이 좋은 음식을 가리키는 말이다.
업시 주018)
업시:
없-[無]+-이(부사 접미사). 없이. 빠뜨리지.
아니터라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24ㄴ

郭全 事繼母唐古氏 甚孝 繼母 生三子 皆幼 全窮耕以養 旣長娶婦 各求分財異居 全不能止 凡田廬器物 自取荒瘠朽敗者 奉唐古氏以居 甘旨無乏
喫著艱辛共備嘗 一朝分異可堪傷 薄田破器吾當取 甘旨無違奉後孃
薛包孝義世稱賢 豈料君身更兩全 靑史昭垂名不泯 又從圖畵上新編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곽전분재(郭全分財 : 곽전이 재산을 나누다) 원나라
곽전(郭全)이 의붓어머니를 극진한 효도로 섬겼다. 의붓어머니가 세 아들을 낳았는데 모두 어리므로 곽전이 농사를 지어 양육하였다. 세 아우가 장성하여 모두 장가를 들이니 저마다 재산을 나누어 따로 살자고 하매, 곽전이 말렸으나 듣지 않았다. 그리하여 곽전은 밭이며 집이며 살림살이 도구 중에서도 거칠고 낡고 못 쓰게 된 것을 가지고 의붓어머니를 모셔 살면서도 맛이 좋은 음식을 거르는 일이 없었다.
Ⓒ 역자 | 김문웅 / 2010년 10월 일

〈규장각본〉

24ㄱ

곽젼이 계모 장 효도더니 계뫼 세 아 나하 다 져머 잇늘 곽젼이 손조 녀름지어 머기며 라거 다 겨집 얼이니 각각 셰간 화 닷 사쟈 커 곽젼이 말니다가 못야 밧티며 지비며 긔믈 다 사오나온 거슬 가지고 계모 모셔 살오 됴 차반을 업시 아니터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곽젼니:곽젼(郭全, 인명)+-이(주격 조사). 곽전이. ‘곽젼니’는 중철 표기이다.
주002)
계모(繼母):의붓어머니.
주003)
나하:낳-[生]+-아(연결 어미). 낳아.
주004)
졀머든:졂-[幼]+-엇-(완료 시상 선어말 어미)+-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어려서. 15세기 국어에서부터 ‘幼’(유)의 뜻으로 쓰인 형용사는 ‘졈다’였고 이 문헌에서도 줄곧 ‘졈다’형만 사용되고 있다. 그러다가 ‘졈다’에 ㄹ이 첨가된 ‘졂다’의 형태가 여기에 쓰였는데 ‘졂다’의 등장은 근대 국어 시기의 일이다. 그런데도 16세기의 이 문헌에서 ‘졂다’의 표기가 등장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라 하겠다. 그리고 표기에서도 ‘졀멋거든’에서 ㅅ을 다음 음절로 내려 적은 ‘졀머든’으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규장각본〉에는 여전히 ㄹ이 첨가되지 않은 ‘져머 잇늘’을 쓰고 있다.
주005)
녀름지:녀름[農事]+짓-[耕]+-어(연결 어미). 농사지어. 동사 어간 ‘짓-’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교체된다.
주006)
라거:라-[長成]+-거(종속적 연결 어미). 자라매.
주007)
얼이니:얼-[婚]+-이-(사동 접미사)+-니(종속적 연결 어미). 혼인시키니.
주008)
화:호-[分]+-아(연결 어미). 나누어. 이 문헌에서는 지금까지 경상도 방언형으로 보이는 ‘논호-’의 형태만 나타났다.
주009)
다티:달리. 따로. 이 문헌의 4ㄱ, 7ㄴ에는 ‘닫티’로 나타난다.
주010)
사쟈:살-[居]+-쟈(청유법 어미). 살자. 중세 국어에서 어간 말음 ㄹ은 ㅈ 앞에서 탈락한다.
주011)
말이다가:말-[止]+-이-(사동 접미사)+-다가(종속적 연결 어미). 말리다가. 그만두게 하다가.
주012)
바티며:밭[田]+-이며(보조사). 밭이며.
주013)
집비며:집[家]+-이며(보조사). 집이며. ‘집비며’는 중철 표기이다.
주014)
긔믈를:긔믈(器物)+-을(모적격 조사). 기물을. 살림살이 도구를. ‘긔믈를’은 중철 표기이다.
주015)
사오나온:사오납-[荒]+-(관형사형 어미). 사나운. 거친. 좋지 않은.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사오나’으로 표기하고 있다. ‘사오나온’에 대해서 한문 원문에는 ‘荒瘠朽敗’(황척후패)라 하였는데, 荒瘠은 땅이 거칠고 메마르다는 뜻이고, 朽敗는 썩어 문드러짐을 나타내는 말이다.
주016)
사로:살-[居]+-오-(삽입 모음)+-(설명법 연결 어미). 살되. 살아도.
주017)
차반:맛있게 잘 차린 음식. 한문 원문에는 ‘차반’을 ‘甘旨’(감지)라는 말로 나타내었는데, ‘甘旨’는 맛이 좋은 음식을 가리키는 말이다.
주018)
업시:없-[無]+-이(부사 접미사). 없이. 빠뜨리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