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이륜행실도

  • 역주 이륜행실도
  • 이륜행실 붕우도
  • 이면환금(李勉還金)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면환금(李勉還金)


38ㄱ

李勉還金

니면니 주001)
니면니:
니면(李勉, 인명)+-이(주격 조사). 이면이. ‘니면니’는 중철 표기이다.
져믄 제 가난여 나내 주002)
나내:
나그네.
외여 주003)
외여:
되어. 이 문헌에서는 ‘외다’가 지금까지 ‘도다’ 일변도로 쓰이다시피 하였다.
션뵈와 주004)
션뵈와:
션뵈[士]+-(복수 접미사)+-와(접속 조사). 선비들과. 앞선 문헌에선 ‘션/션븨’로 나타난다. 복수 접미사 ‘-’은 ㅎ종성어이므로 ‘션뵈콰’로 표기되어야 하지만 여기서는 복수 접미사 ‘-ㅎ’의 ㅎ이 탈락되었음을 보여 준다.
쥬인네 주005)
쥬인네:
주인 집. 한문 원문을 보면 ‘쥬인네’에 해당하는 말이 ‘逆旅’(역려)로 되어 있다. 이로써 ‘쥬인네’는 여관집을 가리키는 말임을 알 수 있다.
잇더니  션뵈 여 주글 제 은늘 주006)
은늘:
은(銀)+-을(목적격 조사). 은을. ‘은늘’은 중철 표기이다.
니면니 주며 닐우듸 겨틧 주007)
겨틧:
곁[旁]+-읫(처소 관형격 조사). 곁엣. 곁에 있는.
사름미 모르니 그디 주008)
그디:
그대. 당신. 15세기에 ‘그디’와 ‘그듸/그’가 함께 등장한다.
이 은늘 날 애 고 주009)
고:
사용하고.
남거든 그듸 가졋셔 주010)
가졋서:
가져라. 〈규장각본〉(1727)에는 이 부분이 ‘가지라’로 되어 있다.
니면니 그리호려 주011)
그리호려:
그리-[許諾]+-오-(삽입 모음)+-려(의도법 어미). 그렇게 하려.
주012)
코:
‘고’의 축약형.
송 후에 가마니 주013)
가마니:
가만히. 이 문헌 22ㄱ에는 ‘마니’로 표기되어 있다.
그 은늘 주014)
곽:
관(棺).
아래 녀코 주015)
녀코:
녛-[入]+-고(대등적 연결 어미). 넣고.
가니 후에 제 집븨셔 니면닐 뵌대 주016)
뵌대:
뵈-[謁]+-ㄴ대(종속적 연결 어미). 찾아뵈니.
려 주017)
려:
리-[率]+-어(연결 어미). 데리고.
가 무덤 여러 은늘 내여 주니라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38ㄴ

李勉 少貧客梁宋 與諸生共逆旅 諸生疾且死 出白金曰左右無知者 幸君以此爲我葬 餘則君自取之 勉許諾 旣葬 密置餘金棺下 後其家謁勉 共啓墓 出金付之
逆旅同棲幾苦辛 臨終訣語忍堪聞 死生付托無相負 高義千秋孰似君
葬君餘是爲吾物 若取而歸是負心 密取餘金棺下置 此心皎皎彼蒼臨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이면환금(李勉還金 : 이면이 금을 돌려주다) 당나라
이면(李勉)이 젊었을 때 집이 가난하매 나그네 신세가 되어 선비들과 한 주인 집에 묵고 있었는데, 그 중 한 선비가 병이 들어 죽게 되자 은(銀)을 이면에게 주면서 이르기를, “곁엣 사람은 이것을 모르니, 그대는 이 은을 내 죽은 후 장사(葬事) 지내는 데 쓰고, 남거든 그대가 가지시오.”라고 하였다. 이면은 그리 하겠다 하고는 선비를 장사 지낸 후에 가만히 그 은을 관 밑에 넣고 갔다. 그 후에 그 집 사람들이 이면을 찾아뵈니 이면이 그 집 사람들을 데리고 가 무덤을 열고 은을 내어 주었다.
Ⓒ 역자 | 김문웅 / 2010년 10월 일

〈규장각본〉

38ㄱ

니면이 져믄 제 가난여 나가 되여셔 션뵈과  쥬인에 잇니  션뵈 병여 주글 제 은을 니면이 주며 닐오 겨틧 사이 모르니 그 이 은을 날 송장애 고 남거든 그 가지라 니면이 그리려 고 송장 후에 마니 그 은을 곽 아래 녀코 가니 후에 제 집 사이 니면이 뵈라 가니 니면이 려가 무덤 여러 은을 내여 주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면니:니면(李勉, 인명)+-이(주격 조사). 이면이. ‘니면니’는 중철 표기이다.
주002)
나내:나그네.
주003)
외여:되어. 이 문헌에서는 ‘외다’가 지금까지 ‘도다’ 일변도로 쓰이다시피 하였다.
주004)
션뵈와:션뵈[士]+-(복수 접미사)+-와(접속 조사). 선비들과. 앞선 문헌에선 ‘션/션븨’로 나타난다. 복수 접미사 ‘-’은 ㅎ종성어이므로 ‘션뵈콰’로 표기되어야 하지만 여기서는 복수 접미사 ‘-ㅎ’의 ㅎ이 탈락되었음을 보여 준다.
주005)
쥬인네:주인 집. 한문 원문을 보면 ‘쥬인네’에 해당하는 말이 ‘逆旅’(역려)로 되어 있다. 이로써 ‘쥬인네’는 여관집을 가리키는 말임을 알 수 있다.
주006)
은늘:은(銀)+-을(목적격 조사). 은을. ‘은늘’은 중철 표기이다.
주007)
겨틧:곁[旁]+-읫(처소 관형격 조사). 곁엣. 곁에 있는.
주008)
그디:그대. 당신. 15세기에 ‘그디’와 ‘그듸/그’가 함께 등장한다.
주009)
고:사용하고.
주010)
가졋서:가져라. 〈규장각본〉(1727)에는 이 부분이 ‘가지라’로 되어 있다.
주011)
그리호려:그리-[許諾]+-오-(삽입 모음)+-려(의도법 어미). 그렇게 하려.
주012)
코:‘고’의 축약형.
주013)
가마니:가만히. 이 문헌 22ㄱ에는 ‘마니’로 표기되어 있다.
주014)
곽:관(棺).
주015)
녀코:녛-[入]+-고(대등적 연결 어미). 넣고.
주016)
뵌대:뵈-[謁]+-ㄴ대(종속적 연결 어미). 찾아뵈니.
주017)
려:리-[率]+-어(연결 어미). 데리고.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