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이륜행실도

  • 역주 이륜행실도
  • 이륜행실 형제도
  • 노조책려(盧操策驢)
메뉴닫기 메뉴열기

노조책려(盧操策驢)


17ㄱ

盧操策驢

로죄 주001)
로죄:
로조(盧操, 인명)+-ㅣ(주격 조사). 노조가.
계모 시 주002)
시:
장씨(張氏).
 셤교  주003)
:
가장. 매우. 크게.
효도더니 시 세 아 나하 주004)
나하:
낳-[産]+-아(연결 어미). 낳아.
두고 여 로조 마라 주005)
마라:
말-[掌]+-아(연결 어미). 관장하여. 거느려. 관리하여.
자 주006)
자:
밥 짓는 일.
여 아 위여 주007)
돗:
돗자리. ‘’이 휴지(休止) 앞에서 자음군의 단순화로 ‘돗’으로 되었다.
라 주008)
라:
-[鋪]+-라(명령법 어미). 깔으라.
여든 로죄 브즈러니 주009)
브즈러니:
부지런히.
여 게을이 주010)
게을이:
게으르-[怠]+-이(부사 접미사). 게을리.
아니터니 시 세 아 글 닐기라 주011)
닐기라:
닑-[讀]+-이-(사동 접미사)+-라(목적의 연결 어미). 〈글을〉 읽히러.
보낼 제 나괴 주012)
나괴:
나귀.
와 주013)
와:
-[乘]+-ㅣ오-(사동 접미사)+-아(연결 어미). 태워.
로죄 잇고 주014)
잇고:
-[牽]+-고(대등적 연결 어미). 이끌고. 〈규장각본〉에는 ‘잇고’[牽]로 되어 있다.
주015)
채:
채찍[鞭].
잡바 주016)
잡바:
잡-[執]+-아(연결 어미). 잡아. ‘잡바’는 중철 표기이다.
주017)
:
종[僕].
티 더라 세 아 주018)
아:
아[弟]+-ㅣ(주격 조사). 아우가.
수을 즐겨 먹고 주019)
:
남[他人].
사화 주020)
사화:
사호-[鬪]+-아(연결 어미). 싸워.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는 ‘싸호-’로 나타난다.
 주021)
:
‘사’[人]의 오각이다.
집븨 주022)
집븨:
집[家]+-의(처격 조사). 집에. ‘집븨’는 중철 표기이다.
와 어미 조쳐 주023)
조쳐:
겸하여. 아울러. 함께. ‘조쳐’는 기원적으로 동사 ‘조치-[隨]’에 연결 어미 ‘-어’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말로서 전성 부사의 용법을 갖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조차, -마저’와 같은 보조사로 쓰일 때도 있다.
구 주024)
구:
꾸중.
거 로죄 울오 주025)
울오:
울-[泣]+-고(대등적 연결 어미). 울고.
절여 말오라 주026)
말오라:
말-[止]+-고라(청원법 어미). 말아 달라.
대 그 들히 서르 닐우 너기디 주027)
너기디:
너기-[想]+-디(보조적 연결 어미). 생각하지.
아니호니 세 도미 주028)
도미:
도[盜]+[者]+-이(주격 조사). 도적놈이. ‘미’는 중철 표기이다.
이런 어딘 주029)
어딘:
어딜-[賢]+-ㄴ(관형사형 어미). 어진.
을 둘셔 주030)
둘셔:
두-[置]+-ㄹ셔(감탄법 어미). 두었구나.
우리

17ㄴ

운늬게
주031)
얼운늬게:
얼운[尊長]+-의게(처격 조사). 어른에게. 중철 표기이다.
무례호미 주032)
무례호미:
무례-[無禮]+-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무례함이.
올티 주033)
올티:
옳-[義]+-디(보조적 연결 어미). 옳지.
아니토다 주034)
아니토다:
‘아니도다’의 축약형.
고 서르 로조 절고 가니라 어미 죽거 세 아 머기며 주035)
머기며:
먹-[食]+-이-(사동 접미사)+-며(대등적 연결 어미). 먹이며.
쳐 주036)
쳐:
치-[敎]+-어(연결 어미). 가르치며.
랑호 주037)
호:
-[愛]+-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사랑하기를.
가지로 터라 주038)
가지로 터라:
〈규장각본〉(1727)에는 ‘가지로 더라’로 되어 있다.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17ㄴ

盧操 事繼母張氏 至孝 張生三子 溺愛之 命操 常執勤主炊 爲三弟設席 操服勤不倦 張 遣其子讀書 命操策驢隨之 操卽執鞭引繩如僮僕 三弟 嗜酒縱佚 抵忤於人 致人踵門 詬及其母 操卽涕泣 拜而解之 惡少 相謂 曰不意三賊 有此令兄 某干犯長者 不義也 相與拜操而去 母亡 訓養三弟 恩愛不衰
服勤爲弟事炊烹 爲是阿孃愛所鍾 又爲投師親執策 一心願弟免凡庸
如何三弟性難移 屢忤於人縱酒時 詬辱及親仍拜乞 能令惡少釋然歸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노조책려(盧操策驢 : 노조가 나귀를 채찍질하다) 수나라
노조(盧操)가 계모 장씨(張氏)를 섬기며 지극히 효도하였다. 장 씨는 아들 셋을 낳아 두고 그들은 사랑하면서 노조를 시켜서는 밥 짓는 일을 하게 하며 아우들을 위하여 돗자리를 깔라 하면 노조가 부지런히 하고 게을리 함이 없었다. 장씨가 세 아들을 글 읽히러 보낼 때 나귀에 태워 노조가 이끌고 채찍질하여 종같이 하게 하였다. 세 아우가 술을 즐겨 먹고는 다른 사람과 싸우니 그 사람들이 집에 와서 어머니에게조차 꾸짖으매 노조가 울고 절하면서 그러지 말라고 하니 그 사람들이 서로 이르기를, “생각지도 않았는데 세 도적놈이 이런 어진 형을 두었구나. 우리가 이 어른에게 무례하게 구는 것이 옳지 않도다.” 하고는 서로 노조에게 절하고 떠나갔다. 어머니가 돌아가매 세 아우를 먹이며 가르치고 사랑하기를 한가지로 하였다.
Ⓒ 역자 | 김문웅 / 2010년 10월 일

〈규장각본〉

17ㄱ

노죄 계모 댱시 셤교 장 효도더니 댱시 세 아 나하 두고 랑야 노조 샹시예 밥 지으라 야 세 아 위야 돗 라 야든 노죄 브즈러니 야 게을이 아니터니 댱시 세 아 글 닐그라 보낼 제 나괴 와 노조 잇고 채 자바 죵티 라 더라 세 아이 술 즐겨 먹고 과 싸화 그 사미 지븨 와 어미조차 죵거 노죄 울고 절야 말고라 대 그 사히 서르 닐오 너기디 아니더니 이 세 도적노미 이런 어딘 형을 둘샤 우리 얼운늬게 무례호미 올티

17ㄴ

아니토다 고 서르 노조의게 절고 가니라 어미 죽거 세 아 머기며 쳐 랑호 가지로 더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로죄:로조(盧操, 인명)+-ㅣ(주격 조사). 노조가.
주002)
시:장씨(張氏).
주003)
:가장. 매우. 크게.
주004)
나하:낳-[産]+-아(연결 어미). 낳아.
주005)
마라:말-[掌]+-아(연결 어미). 관장하여. 거느려. 관리하여.
주006)
자:밥 짓는 일.
주007)
돗:돗자리. ‘’이 휴지(休止) 앞에서 자음군의 단순화로 ‘돗’으로 되었다.
주008)
라:-[鋪]+-라(명령법 어미). 깔으라.
주009)
브즈러니:부지런히.
주010)
게을이:게으르-[怠]+-이(부사 접미사). 게을리.
주011)
닐기라:닑-[讀]+-이-(사동 접미사)+-라(목적의 연결 어미). 〈글을〉 읽히러.
주012)
나괴:나귀.
주013)
와:-[乘]+-ㅣ오-(사동 접미사)+-아(연결 어미). 태워.
주014)
잇고:-[牽]+-고(대등적 연결 어미). 이끌고. 〈규장각본〉에는 ‘잇고’[牽]로 되어 있다.
주015)
채:채찍[鞭].
주016)
잡바:잡-[執]+-아(연결 어미). 잡아. ‘잡바’는 중철 표기이다.
주017)
:종[僕].
주018)
아:아[弟]+-ㅣ(주격 조사). 아우가.
주019)
:남[他人].
주020)
사화:사호-[鬪]+-아(연결 어미). 싸워.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는 ‘싸호-’로 나타난다.
주021)
:‘사’[人]의 오각이다.
주022)
집븨:집[家]+-의(처격 조사). 집에. ‘집븨’는 중철 표기이다.
주023)
조쳐:겸하여. 아울러. 함께. ‘조쳐’는 기원적으로 동사 ‘조치-[隨]’에 연결 어미 ‘-어’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말로서 전성 부사의 용법을 갖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조차, -마저’와 같은 보조사로 쓰일 때도 있다.
주024)
구:꾸중.
주025)
울오:울-[泣]+-고(대등적 연결 어미). 울고.
주026)
말오라:말-[止]+-고라(청원법 어미). 말아 달라.
주027)
너기디:너기-[想]+-디(보조적 연결 어미). 생각하지.
주028)
도미:도[盜]+[者]+-이(주격 조사). 도적놈이. ‘미’는 중철 표기이다.
주029)
어딘:어딜-[賢]+-ㄴ(관형사형 어미). 어진.
주030)
둘셔:두-[置]+-ㄹ셔(감탄법 어미). 두었구나.
주031)
얼운늬게:얼운[尊長]+-의게(처격 조사). 어른에게. 중철 표기이다.
주032)
무례호미:무례-[無禮]+-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무례함이.
주033)
올티:옳-[義]+-디(보조적 연결 어미). 옳지.
주034)
아니토다:‘아니도다’의 축약형.
주035)
머기며:먹-[食]+-이-(사동 접미사)+-며(대등적 연결 어미). 먹이며.
주036)
쳐:치-[敎]+-어(연결 어미). 가르치며.
주037)
호:-[愛]+-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사랑하기를.
주038)
가지로 터라:〈규장각본〉(1727)에는 ‘가지로 더라’로 되어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