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이륜행실도

  • 역주 이륜행실도
  • 이륜행실 형제도
  • 왕람쟁짐(王覽爭酖)
메뉴닫기 메뉴열기

왕람쟁짐(王覽爭酖)


10ㄱ

王覽爭酖

람미 주001)
왕람미:
람(王覽, 인명)+-이(주격 조사). 왕람이. ‘람미’는 중철 표기이다.
어미 다른  이와  더니 주002)
더니:
우애(友愛)가 있더니.
람믜 어미 쥬시 일 주003)
일:
(王祥, 인명)+-이(접미사)+-ㄹ(목적격 조사). 왕상을. 접미사 ‘-이’는 받침 있는 인명 뒤에 붙어 쓰이는, 다만 어조를 고르게 하는 접미사이다.
보차 주004)
보차:
보차-[惱]+-아(연결 어미). 성가시게 하여. 괴롭혀.
티거든 주005)
티거든:
티-[打]+-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치거든. 때리거든.
람미 너덧 주006)
너덧:
네댓[四五].
주007)
설:
살[歲]. 설[歲頭]. 중세 국어에서는 ‘설’이 나이를 말하는 ‘세(歲)’와 명절인 정월 초하루를 아울러 가리키는 낱말로 쓰였다. 그러다가 근대 국어에 와서 ‘설[歲頭]’과 ‘살[歲]’로 분화되었다.
머근 제 주008)
머근 제:
먹-[爲]+-은(관형사형 어미)+제(時, 의존 명사). 먹었을 때. 되었을 때.
보고 믄득 울우 주009)
울우:
울-[泣]+-구(대등적 연결 어미, -고). 울고. 〈규장각본〉(1727)에는 ‘울우’가 ‘울고’로 나타나 있다. 이 문헌의 1ㄱ에도 ‘울우’가 쓰였다. 그러나 17ㄱ에는 ‘울오’가 쓰였다.
븓안더라 주010)
븓안더라:
븥-[依]+안-[抱]+-더-(과거 시상 선어말 어미)+-라(평서법 어미). 붙안았다. 부둥켜 안았다. 동사 ‘븓안다’는 동사 ‘븥다’와 ‘안다’의 각 어간끼리 직접 결합하여 형성된 비통사적 합성 동사이다.
얼운 주011)
얼운:
어른.
도연 주012)
도연:
도-[成]+-여(연결 어미)+-ㄴ(보조사). 되어서는. ‘도다’는 15세기에 ‘외다’로 나타난다.
 주013)
:
매양. 늘. ‘’은 ‘’에서 ㅿ이 탈락한 표기이다.
어미를 간니 주014)
간니:
간-[諫]+-니(종속적 연결 어미). 간(諫)하니. 웃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하니.
그 어미 져기 주015)
져기:
젹-[少]+-이(부사 접미사). 적이. 조금.
모디로 주016)
모디로:
모딜-[惡]+-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모진 것을.
그치니라 주017)
그치니라:
긏-[止]+-이-(사동 접미사)+-니라(평서법 어미). 그쳤다.
그 어미 조 주018)
조:
자주.
몯 일 주019)
몯 일:
못할 일. 한문 원문에는 이를 ‘비리(非理)’로 나타내고 있다.
로 일 브리거든 주020)
브리거든:
브리-[使]+-거든(종속족 연결 어미). 부리거든. 시키면. ‘브리다〉부리다’ (원순모음화).
왕람미 조차 가 주021)
조차가:
좇-[從]+-아(연결 어미)+가-[去]+-아(연결 어미). 쫓아가.
며  몯 일로 의 겨집블 주022)
겨집블:
겨집[妻]+-을(목적격 조사). 아내를. ‘겨집블’은 중철 표기이다.
브리거든 람믜 겨집도 조차 가 니 그 어미 어려이 주023)
어려이:
어렵-[難]+-이(부사 접미사). 어렵게.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는 ‘어려’로 쓰였다.
너겨 주024)
너겨:
너기-[想]+-어(연결 어미). 여겨.
아니더라  그 어미 마니 주025)
마니:
가만히. 이 문헌 8ㄱ에는 중철 표기인 ‘만니’가 쓰였다.
프러 주026)
프러:
플-[入]+-어(연결 어미). 풀어. 타서. ‘플다〉풀다’ (원순모음화).
일 머기 주027)
머기:
먹-[食]+-이-(사동 접미사)+-려(의도법 어미). 먹이려. ‘머기’는 ‘머교려’의 오각이다. 의도법 어미 ‘-려’ 앞에는 삽입 모음 ‘-오-’의 첨가가 필수적이어서 ‘머기오려’가 될 것이고 이것이 축약되면 ‘머교려’가 된다.
커 주028)
커:
‘거’의 축약형이다.
람미 알오 주029)
알오:
알-[知]+-고(대등적 연결 어미). 알고. 중세 국어에서 어간 말음ㄹ 다음에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ㄱ은 탈락한다. 〈규장각본〉(1727)에는 ㄱ이 표기된 ‘알고’가 쓰였다.
라 가 주030)
라가:
-[走]+-아(연결 어미)+가-[去]+-아(연결 어미). 달려가. 동사 ‘다’는 ㄷ불규칙 동사에 해당하므로 어간 ‘-’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이 ‘-’로 교체된다.

10ㄴ

수을를 주031)
수을를:
수을[酒]+-을(목적격 조사). 술을. ‘수을를’은 중철 표기이다.
아대 주032)
아대:
앗-[奪]+-대(종속적 연결 어미). 빼앗으니. 중세 국어에서 조건을 나타내는 특이한 어미로 ‘-ㄴ대, -ㄴ댄, -ㄴ덴’이 쓰였다. 어간 ‘앗-’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으로 교체되었다.
이 약 픈 줄 주033)
픈 줄:
플-[入]+-ㄴ(관형사형 어미)+줄(것, 의존 명사). 푼 줄을. 푼 것을.
알오 가지고 주디 아니대 그 어미 제 가 아 주034)
아:
빼앗아.
러리니라 주035)
러리니라:
-[掃]+-어(연결 어미)+리-[棄]+-니라(평서법 어미). 쓸어 버렸다.
그 후애 어미 일 음식 주어든 람의식 주036)
의식:
매번. 다른 문헌에서는 ‘의식’에 대응하는 한자가 ‘필(必)’로 되어 있어 ‘반드시’로 풀이하고 있으나 이 문헌에서는 ‘첩(輒, 번번이 첩)’으로 대응되어 있어 ‘매번’으로 풀이함이 옳을 듯하다.
몬져 주037)
몬져:
먼저.
맛보니 어미 제 아 주038)
아:
아들.
주글가 주039)
주글가:
죽-[死]+-을가(의문법 어미). 죽을까.
여 아니터라 주040)
아니터라:
아니[不]+-더라(과거 시상 평서법 어미). 아니하였다. 여기서는 ‘아니더라’의 축약형인 ‘아니터라’가 쓰였지만 바로 앞 쪽의 10ㄱ에는 ‘아니더라’가 쓰여 축약은 수의적인 현상임을 알 수 있다.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10ㄴ

王覽 字玄通 與兄祥 友愛甚篤 母朱氏 遇祥無道 覽 年數歲 見祥被楚撻 輒涕泣抱持 至於成童 每諫其母 其母少止凶虐 朱 屢以非理使祥 覽輒與祥俱 又虐使祥妻 覽妻亦趍而共之 朱患之乃止 朱密使酖祥 覽知之 徑趍取酒 祥疑其有毒 爭而不與 朱遽奪覆之 自後 朱賜祥饌 覽輒先嘗 朱懼覽致斃 遂止
嚚母時時虐視兄 看兄被撻痛兒情 身同室婦代兄嫂 共服勤勞庶感誠
酖非好酒何宜飮 兄弟爭持母取翻 從此母殖兒輒試 周旋母子竟全恩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왕람쟁짐
(王覽爭酖 : 왕람이 다투어 독약을 마시려 하다)
진나라
왕람(王覽)이 배 다른 형인 왕상(王祥)과 매우 우애가 있는 사이였다. 왕람의 어머니 주씨(朱氏)왕상을 괴롭히고 때리면 왕람이 너덧 살 먹었을 때 보고 문득 울면서 쫓아가 부둥켜 안았다. 왕람이 어른이 되어서는 늘 어머니에게 그러지 말도록 말하니, 그 어머니가 모질게 하는 것을 조금 멈추었다. 그 어머니가 여러 번 못할 일을 왕상에게 시키면 왕람이 쫓아가 함께 하며, 또한 못할 일을 왕상의 처에게 시키면 왕람의 처도 쫓아가 함께 하니, 그 어머니가 안 되겠다고 여겨 하지 않았다. 또 그 어머니가 가만히 〈술에〉 독약을 풀어서 왕상을 먹이려 하므로 왕람이 알고 달려가 그 술을 빼앗으니 왕상이 그 술에 독약 푼 것을 알고는 가진 채 주지 아니하였다. 이를 본 어머니는 자기가 가서 빼앗아 쓸어버렸다. 그 후에 어머니가 왕상에게 음식을 주면 왕람이 매번 먼저 맛을 보니 어머니는 자기 아들이 죽을까 싶어 그런 일을 하지 않았다.
Ⓒ 역자 | 김문웅 / 2010년 10월 일

〈규장각본〉

10ㄱ

왕람이 어미 다 형 왕샹이와 장 랑더니 왕람의 어미 쥬시 왕샹이 보채야 티거든 왕람미 두어 설 머근 제 보고 믄득 울고 가 븟안더니 얼운 되야 양 어미 말니니 그 어미 져기 모디로미 그츠니라 그 어미 조 못 일로 왕샹이 브리거든 왕람이 조차 가 며  못 일로 왕샹의 겨집블 브리거든 왕람믜 겨집도 조차 가 니 그 어미 어려이 너겨셔 아니더라  그 어미 마니 술에 약 플어 왕샹이 머기려 커 왕람이 알고 라 가 그 수 아대 왕샹이 약 픈 줄

10ㄴ

알고 가지고 주디 아니대 그 어미 제 가 아사 업텨 리니라 그 후에 어미 왕샹이 음식 주어든 왕람이 의식 몬져 맛더니 어미 제 아 주글가 야 아니더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왕람미:람(王覽, 인명)+-이(주격 조사). 왕람이. ‘람미’는 중철 표기이다.
주002)
더니:우애(友愛)가 있더니.
주003)
일:(王祥, 인명)+-이(접미사)+-ㄹ(목적격 조사). 왕상을. 접미사 ‘-이’는 받침 있는 인명 뒤에 붙어 쓰이는, 다만 어조를 고르게 하는 접미사이다.
주004)
보차:보차-[惱]+-아(연결 어미). 성가시게 하여. 괴롭혀.
주005)
티거든:티-[打]+-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치거든. 때리거든.
주006)
너덧:네댓[四五].
주007)
설:살[歲]. 설[歲頭]. 중세 국어에서는 ‘설’이 나이를 말하는 ‘세(歲)’와 명절인 정월 초하루를 아울러 가리키는 낱말로 쓰였다. 그러다가 근대 국어에 와서 ‘설[歲頭]’과 ‘살[歲]’로 분화되었다.
주008)
머근 제:먹-[爲]+-은(관형사형 어미)+제(時, 의존 명사). 먹었을 때. 되었을 때.
주009)
울우:울-[泣]+-구(대등적 연결 어미, -고). 울고. 〈규장각본〉(1727)에는 ‘울우’가 ‘울고’로 나타나 있다. 이 문헌의 1ㄱ에도 ‘울우’가 쓰였다. 그러나 17ㄱ에는 ‘울오’가 쓰였다.
주010)
븓안더라:븥-[依]+안-[抱]+-더-(과거 시상 선어말 어미)+-라(평서법 어미). 붙안았다. 부둥켜 안았다. 동사 ‘븓안다’는 동사 ‘븥다’와 ‘안다’의 각 어간끼리 직접 결합하여 형성된 비통사적 합성 동사이다.
주011)
얼운:어른.
주012)
도연:도-[成]+-여(연결 어미)+-ㄴ(보조사). 되어서는. ‘도다’는 15세기에 ‘외다’로 나타난다.
주013)
:매양. 늘. ‘’은 ‘’에서 ㅿ이 탈락한 표기이다.
주014)
간니:간-[諫]+-니(종속적 연결 어미). 간(諫)하니. 웃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하니.
주015)
져기:젹-[少]+-이(부사 접미사). 적이. 조금.
주016)
모디로:모딜-[惡]+-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 모진 것을.
주017)
그치니라:긏-[止]+-이-(사동 접미사)+-니라(평서법 어미). 그쳤다.
주018)
조:자주.
주019)
몯 일:못할 일. 한문 원문에는 이를 ‘비리(非理)’로 나타내고 있다.
주020)
브리거든:브리-[使]+-거든(종속족 연결 어미). 부리거든. 시키면. ‘브리다〉부리다’ (원순모음화).
주021)
조차가:좇-[從]+-아(연결 어미)+가-[去]+-아(연결 어미). 쫓아가.
주022)
겨집블:겨집[妻]+-을(목적격 조사). 아내를. ‘겨집블’은 중철 표기이다.
주023)
어려이:어렵-[難]+-이(부사 접미사). 어렵게.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는 ‘어려’로 쓰였다.
주024)
너겨:너기-[想]+-어(연결 어미). 여겨.
주025)
마니:가만히. 이 문헌 8ㄱ에는 중철 표기인 ‘만니’가 쓰였다.
주026)
프러:플-[入]+-어(연결 어미). 풀어. 타서. ‘플다〉풀다’ (원순모음화).
주027)
머기:먹-[食]+-이-(사동 접미사)+-려(의도법 어미). 먹이려. ‘머기’는 ‘머교려’의 오각이다. 의도법 어미 ‘-려’ 앞에는 삽입 모음 ‘-오-’의 첨가가 필수적이어서 ‘머기오려’가 될 것이고 이것이 축약되면 ‘머교려’가 된다.
주028)
커:‘거’의 축약형이다.
주029)
알오:알-[知]+-고(대등적 연결 어미). 알고. 중세 국어에서 어간 말음ㄹ 다음에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ㄱ은 탈락한다. 〈규장각본〉(1727)에는 ㄱ이 표기된 ‘알고’가 쓰였다.
주030)
라가:-[走]+-아(연결 어미)+가-[去]+-아(연결 어미). 달려가. 동사 ‘다’는 ㄷ불규칙 동사에 해당하므로 어간 ‘-’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연결되면 어간이 ‘-’로 교체된다.
주031)
수을를:수을[酒]+-을(목적격 조사). 술을. ‘수을를’은 중철 표기이다.
주032)
아대:앗-[奪]+-대(종속적 연결 어미). 빼앗으니. 중세 국어에서 조건을 나타내는 특이한 어미로 ‘-ㄴ대, -ㄴ댄, -ㄴ덴’이 쓰였다. 어간 ‘앗-’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으로 교체되었다.
주033)
픈 줄:플-[入]+-ㄴ(관형사형 어미)+줄(것, 의존 명사). 푼 줄을. 푼 것을.
주034)
아:빼앗아.
주035)
러리니라:-[掃]+-어(연결 어미)+리-[棄]+-니라(평서법 어미). 쓸어 버렸다.
주036)
의식:매번. 다른 문헌에서는 ‘의식’에 대응하는 한자가 ‘필(必)’로 되어 있어 ‘반드시’로 풀이하고 있으나 이 문헌에서는 ‘첩(輒, 번번이 첩)’으로 대응되어 있어 ‘매번’으로 풀이함이 옳을 듯하다.
주037)
몬져:먼저.
주038)
아:아들.
주039)
주글가:죽-[死]+-을가(의문법 어미). 죽을까.
주040)
아니터라:아니[不]+-더라(과거 시상 평서법 어미). 아니하였다. 여기서는 ‘아니더라’의 축약형인 ‘아니터라’가 쓰였지만 바로 앞 쪽의 10ㄱ에는 ‘아니더라’가 쓰여 축약은 수의적인 현상임을 알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