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이륜행실도

  • 역주 이륜행실도
  • 이륜행실 붕우도
  • 사도경탁(査道傾橐)
메뉴닫기 메뉴열기

사도경탁(査道傾橐)


40ㄱ

査道傾橐

주001)
(宋):
송(宋, 960년~1279년)은 중국의 옛 왕조이다. 960년 조광윤이 오대십국(五代十國) 시대 오대 최후의 왕조 후주로부터 선양을 받아 개봉에 도읍하여 나라를 세웠다. 국호는 송(宋)이었으나, 춘추시대의 송, 남북조 시대의 송 등과 구별하기 위해 황실의 성씨를 따라 조송(趙宋)이라고도 부른다. 통상 1127년 금나라의 확장에 밀려 장강 이남으로 옮기기 전을 북송, 이후 임안(지금의 항저우)에 도읍을 옮긴 것을 남송이라고 불러 구분하였다. 북송·남송 모두 합쳐 송, 송 왕조라고도 한다. 수도는 개봉(開封, 또는 변경), 남쪽으로 옮긴 후 실질적인 수도는 임안(臨安)이다. 훗날 원나라에게 멸망당한다. 세계 최초로 지폐를 발행한 정권이며, 상비 해군을 설치한 최초의 중국 왕조이다. 문치주의 국가로 사대부 사명 의식이 있었다. 또한 이전의 왕조들과는 달리 철권폭정을 하지 않고 문화 정치를 폈다.
시절 차되 주002)
차되:
차도(査道, 인명)+-ㅣ(주격 조사). 사도(査道)가. 인명인 ‘査道’를 언해문에서는 ‘차도’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규장각본〉(1727)에는 ‘사도’로 표기되어 있다.
 주003)
(東堂):
식년과. 증광시. 식년과(式年科)는 식년(子, 卯, 午, 酉의 간지가 들어 있는 해)마다 보이던 과거를 통틀어 이르던 말이고, 증광시(增廣試)는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실시하던 임시 과거 시험을 말한다.
갈 제 가난여 길 나디 주004)
길 나디:
길[路]+나-[登]+-디(보조적 연결 어미). 길에 오르지. 길을 나서지.
몯여 커 아히 돈 삼만 모도아 주005)
모도아:
모도-[集]+-아(연결 어미). 모아.
주니 길 나가다가 아븨 주006)
아븨:
아비[父]+-의(관형격 조사). 아버지의. 명사 ‘아비’의 말음 ㅣ가 관형격 조사 ‘-의’ 앞에서 탈락하였다.
벋 려옹의 집븨 디나 주007)
디나:
디나-[過]+-아(연결 어미). 지나면서.
드니 주008)
드니:
들-[入]+-니(종속적 연결 어미). 들어가니.
려이 주거셔  몯여 그  주009)
:
[女息]+-(목적격 조사). 딸을. ‘’은 중철 표기이다.
라 주010)
라:
-[賣]+-아(연결 어미). 팔아서.
호려 커 차되 제 쟐읫 주011)
쟐읫:
쟈[袋]+-읫(처소 관형격 조사). 자루에 있는. 중세 국어에서 명사 ‘쟈’는 그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연결되면 명사의 형태가 ‘쟐’로 교체된다. 그리하여 ‘쟈’에 ‘-이, -, -/의’ 등의 조사가 연결되면 각각 ‘쟐이, 쟐, /쟐의’ 등으로 나타난다. 단, 모음의 조사라도 접속 조사 ‘-와’ 앞에서는 ‘쟈’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돈늘 주012)
돈늘:
돈[錢]+-을(목적격 조사). 돈을. ‘돈늘’은 중철 표기이다.
다 내여 주고  그  남진 얼이게 주013)
얼이게:
얼-[婚]+-이-(사동 접미사)+-게(부사형 어미). 혼인하게.
니라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40ㄴ

査道 淳化中 初赴擧 貧不能上道 親族 裒錢三萬遺之 道出滑州 過父友呂翁家 翁喪無以葬 母兄將鬻其女 以辦襄事 道 傾橐中錢悉與之 又嫁其女
義重財輕見最明 貧難赴選亦無營 却將親戚裒錢橐 都爲先人執友傾
元振今亡可奈何 唯謀鬻女不謀他 橐錢傾與供襄事 葬母埋兄濟一家
Ⓒ 편찬 | 김안국 / 1518년(중종 13)

사도경탁(査道傾橐 : 사도가 자루를 털다) 송나라
송나라 사람 사도(査道)가 과거보러 갈 때 가난하여 길을 나서지 못해하므로 친척들이 돈 삼만(三萬)을 모아 주니 마침내 과거길을 떠나게 되었다. 가다가 아버지의 벗 여옹(呂翁)의 집을 지나면서 들르니 여옹이 죽었는데도 장사(葬事)를 치르지 못하여 그 딸을 팔아서 장사를 치르려 하므로 사도가 자기 자루에 있는 돈을 다 내어 주고 또 그 딸을 남자와 혼인까지 하게 하였다.
Ⓒ 역자 | 김문웅 / 2010년 10월 일

〈규장각본〉

40ㄱ

송나라 사 사되 동당갈 제 가난여 길 나디 못엿 권당히 돈 삼만 모도와 주니 길 나가다가 아븨 벗 녀옹의 집의 디나 드니 녀옹이 주거셔 송장 못여 그  라 호려 커 사되 제 쟐늿 돈을 다 내여 주고  그  남진 얼이게 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宋):송(宋, 960년~1279년)은 중국의 옛 왕조이다. 960년 조광윤이 오대십국(五代十國) 시대 오대 최후의 왕조 후주로부터 선양을 받아 개봉에 도읍하여 나라를 세웠다. 국호는 송(宋)이었으나, 춘추시대의 송, 남북조 시대의 송 등과 구별하기 위해 황실의 성씨를 따라 조송(趙宋)이라고도 부른다. 통상 1127년 금나라의 확장에 밀려 장강 이남으로 옮기기 전을 북송, 이후 임안(지금의 항저우)에 도읍을 옮긴 것을 남송이라고 불러 구분하였다. 북송·남송 모두 합쳐 송, 송 왕조라고도 한다. 수도는 개봉(開封, 또는 변경), 남쪽으로 옮긴 후 실질적인 수도는 임안(臨安)이다. 훗날 원나라에게 멸망당한다. 세계 최초로 지폐를 발행한 정권이며, 상비 해군을 설치한 최초의 중국 왕조이다. 문치주의 국가로 사대부 사명 의식이 있었다. 또한 이전의 왕조들과는 달리 철권폭정을 하지 않고 문화 정치를 폈다.
주002)
차되:차도(査道, 인명)+-ㅣ(주격 조사). 사도(査道)가. 인명인 ‘査道’를 언해문에서는 ‘차도’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규장각본〉(1727)에는 ‘사도’로 표기되어 있다.
주003)
(東堂):식년과. 증광시. 식년과(式年科)는 식년(子, 卯, 午, 酉의 간지가 들어 있는 해)마다 보이던 과거를 통틀어 이르던 말이고, 증광시(增廣試)는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실시하던 임시 과거 시험을 말한다.
주004)
길 나디:길[路]+나-[登]+-디(보조적 연결 어미). 길에 오르지. 길을 나서지.
주005)
모도아:모도-[集]+-아(연결 어미). 모아.
주006)
아븨:아비[父]+-의(관형격 조사). 아버지의. 명사 ‘아비’의 말음 ㅣ가 관형격 조사 ‘-의’ 앞에서 탈락하였다.
주007)
디나:디나-[過]+-아(연결 어미). 지나면서.
주008)
드니:들-[入]+-니(종속적 연결 어미). 들어가니.
주009)
:[女息]+-(목적격 조사). 딸을. ‘’은 중철 표기이다.
주010)
라:-[賣]+-아(연결 어미). 팔아서.
주011)
쟐읫:쟈[袋]+-읫(처소 관형격 조사). 자루에 있는. 중세 국어에서 명사 ‘쟈’는 그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연결되면 명사의 형태가 ‘쟐’로 교체된다. 그리하여 ‘쟈’에 ‘-이, -, -/의’ 등의 조사가 연결되면 각각 ‘쟐이, 쟐, /쟐의’ 등으로 나타난다. 단, 모음의 조사라도 접속 조사 ‘-와’ 앞에서는 ‘쟈’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주012)
돈늘:돈[錢]+-을(목적격 조사). 돈을. ‘돈늘’은 중철 표기이다.
주013)
얼이게:얼-[婚]+-이-(사동 접미사)+-게(부사형 어미). 혼인하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