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8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8
  • 목(木)
  • 정국공 엄무의 섬돌 아래 새 솔, 점(霑)자를 얻다[嚴鄭公堦下新松得霑字]
메뉴닫기 메뉴열기

정국공 엄무의 섬돌 아래 새 솔, 점(霑)자를 얻다[嚴鄭公堦下新松得霑字]


嚴鄭公 주001)
엄정공(嚴鄭公)
정국공(鄭國公) 엄무(嚴武)를 말한다. 엄정국공(嚴鄭國公)을 줄여 말한 것이다. 엄무는 현종(玄宗) 개원(開元) 13년(725) 생으로, 두보의 절친한 친구이고 후원자였다. 약관일 때에는 그늘에서 이름을 얻으려 하였으나, 용우(隴右) 절도사 가서한(哥敍翰)의 진언으로 판관(判官)이 되고 다시 시어사(侍御史)가 되었다. 이후 경조소윤(京兆少尹), 절도사, 어사대부(御史大夫), 태자빈객, 성도윤(成都尹), 어사중승(御史中丞), 검남(劍南) 절도사 등의 벼슬을 하였다. 광덕 2년(764)에는 정국공에 봉해졌다. 대종(代宗) 영태(永泰) 원년(765) 4월 질병으로 사망하였는데, 이때의 나이가 40이었다. 안녹산의 난 때 두보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堦下 주002)
계하(階下)
섬돌 아래.
新松得霑字
주003)
엄정공계하신송득점자(嚴鄭公堦下新松得霑字)
정국공 엄무의 섬돌 아래 새 솔(소나무), 점(霑)자를 얻다. 이 시는 대종(代宗) 광덕(廣德) 2년(764) 가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엄무(嚴武)의 변방 지휘 군막인 막부(幕府)에 있었다. 두보는 만 52세로 초봄에는 가족을 이끌고, 재주(梓州)에서 협곡을 빠져나와 먼저 도착한 곳이 낭주(閬州)였다. 낭주에서 조정의 공조참군(功曹參軍)을 만났으나, 부름에 나아가지 않았다. 낭주를 떠나 동쪽으로 갔는데, 엄무가 장차 촉 땅으로 다시 진주하리라는 소식을 듣는다. 크게 기뻐하며, 계획을 바꾸어 성도(成都)로 갈 계획을 세웠다. 3월에 성도로 돌아왔다, 성도의 완화초당으로 돌아왔을 때, 엄무의 천거에 의하여 두보는 검교공부원외랑(檢校工部員外郞)의 벼슬을 하게 된다.

엄정공계하신송 득점자
(정국공 엄무의 섬돌 아래 새 솔, 점(霑)자를 얻다)

弱質豈自負 移根方爾瞻

바라온 주004)
바라온
바랍[危, 弱]-+- (조모음)-+- ㄴ(관형사형 어미). 위태로운.
읏드믄 주005)
읏드믄
읏듬[株, 莖, 質]+은(보조사). 줄기는. ¶남 읏드믄 幹이라 고 프릐 읏드믄 莖이라 니(나무의 줄기는 ‘간(幹)’이라 하고, 풀의 줄기는 ‘경(莖)’이라 하니)〈월석 13:47ㄱ〉.
엇뎨 주006)
엇뎨
어찌[豈].
제 가져시리오 주007)
제 가져시리오
저[自]+이(주격 조사)#가지[持, 負]-+- 어(연결 어미).#시[有]-+- 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고(의문 어미). 스스로가 가지고 있으리오. 스스로 가지고 있을 것인가. 제가 가지고 있을 것인가.
옮겨 심군 주008)
옮겨 심군
옮[移]-+-기(사동 파생 접미사)-+- 어(연결 어미)#*[植]-+-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옮겨 심은.
불휘 주009)
불휘
불휘[根]+(대격 조사). 뿌리를.
뵈야로 주010)
뵈야로
바야흐로[方].
너를 보노라
주011)
옮겨 심군 불휘 뵈야로 너를 보노라
옮겨 심은 뿌리는 바야흐로 너를 보노라. 이곳에 옮겨온 뿌리는(나는) 바야흐로 너를 보노라. ‘불휘를’의 ‘를’은 ‘는’의 잘못인 것으로 보인다. ‘을///를’ 등이 주제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나, 여기에 이를 적용하기는 어렵다. 그럴 경우 의미론적으로 ‘너를’과 관련되나, ‘불휘’는 ‘나’와 관련된다. ‘옮겨 심은 뿌리’는 두보가 막부에 와서 제공받은 직책을 가리킨다. 그것은 두보의 직책이다. 그가 바라보는 것은 엄무이다. 엄무는 ‘너’로 되어 있다.

【한자음】 약질기자부 이근방이첨
【언해역】 위태로운(=약한) 줄기는 어찌 스스로 가지고(=지탱하고) 있을 것인가? 옮겨 심은 뿌리를〈는〉 바야흐로 너를 보노라.

細聲聞玉帳 踈翠近珠簾

 소리 주012)
 소리
[細]-+-ㄴ(관형사형 어미)#소리[聲]+(대격 조사). 가는 소리를.
玉帳애셔 주013)
옥장(玉帳)애셔
옥장(玉帳)+애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옥장에서. 여기서 ‘옥장’은 엄무의 막부(幕府), 즉 군막을 가리킨다.
드르리로소니 주014)
드르리로소니
듣[聞]-+-으(조음소)-+-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소니(연결 어미). 들으리니. 들을 것이니.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리-’는 ‘-ㄹ(미래 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에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이다.
섯긘 주015)
섯긘
섯긔[踈]-+-ㄴ(관형사형 어미). 성긴. ¶구룸  하해 오히려 어긔르츠니 곳부리 오히려 섯긔도다(구름 낀 하늘에 오히려 (기대가, 형제의 만남이) 어그러지니, 꽃부리 오히려 드문드문하도다.)〈두시(초) 8:43ㄱ〉.
프른 비츤 주016)
프른 비츤
프르[靑, 翠(취:비치색)]-+-ㄴ(관형사형 어미)#빛[色]+은(보조사). 푸른 빛은. 푸른 색은. 푸른 잎은(푸른 빛은 잎을 말함).
珠簾 주017)
주렴(珠簾)
구슬을 꿰어서 만든 발.
갓갑도다 주018)
갓갑도다
갓갑[近]-+-도다(감탄 어미). 가깝도다.

【한자음】 세성문옥장 소취근주렴
【언해역】 가는 소리를 군막에서 들을 것이니, 성긴 푸른 빛(잎)은 주렴에 가깝도다.

未見紫煙集 虛蒙淸露霑【이 소남 크디 몯호 니니라】

블근  주019)
블근 
븕[赤, 紫]-+-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煙]. 붉은 내. 붉은 연기. ¶머리셔 ᄂᆡᄅᆞᆯ 보고 블 잇ᄂᆞᆫ ᄃᆞᆯ 가ᄌᆞᆯ벼 아ᄃᆞᆺᄒᆞ니(멀리서 연기를 보고 불 있는 것을 비교하여 알 듯하니)〈월석 12:14ㄴ〉.
모도 주020)
모도
몯[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모임을. 모이는 것을.
보디 몯리로소니 주021)
보디 몯리로소니
보[見]-+-디(연결 어미)#몯[不能]+-(동사 파생 접미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소니(연결 어미). 보지 못하리니. 보지 못할 것이니.
 이스릐 주022)
 이스릐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이슬[露]+의(관형격 조사). 맑은 이슬의.
져쥬믈 주023)
저쥬믈
젖[霑]-+-이(사동 파생 접미사)-+-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젖게 함을. 젖게 하는 것을. ¶시 니 곳다온 낛바 드리우고 대 니 져근 園圃 믈 흘려 저쥬라(실을 이어 꽃다운 낚시밥을 드리우고, 대롱을 이어 작은 밭에 물 흘려 젖게 하다.)〈두시(초) 10:6ㄱ〉.
虛히 주024)
허(虛)히
허(虛)+-(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헛되게. 부질없이.
닙놋다 주025)
닙놋다
닙[被, 受.]-+-(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종결 어미). 입는구나. 받는구나.

【한자음】 미견자연집 허몽청로점【이는 소나무가 크지 못함을 이른 것이다.】
【언해역】 붉은 연기 모이는 것을 보지 못할 것이니, 맑은 이슬이 젖게 하는 것을 헛되게 입는구나.

何當一百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8:22ㄱ

丈 欹蓋擁高簷【謂松이 狀如偃盖也ㅣ라 】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어느 저긔 주026)
어느 저긔
어느[何]#적[時]+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어느 적에. 어느 제. 언제.
一百丈이 노파 주027)
일백장(一百丈)이 노파
일백(一百)#장(丈)+이(주격 조사)#높[高]-+-아(연결 어미). 일백 장(丈)이 높아. 일백 장이나 높아져. 일백 길이나 높아져. 일백 길만큼 높아져.
기운 盖 주028)
기운 개(盖)
기운 덮개. 기운 지붕. 소나무의 모양이 우산을 편 것과 같이, 가운데가 높고 양쪽으로 기울어진 모양을 말한다. 그것이 뚜껑이나 덮개와 같은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노 집 주029)
노 집
높[高]-+-(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집[家]. 높은 집.
기슬글 주030)
기슬글
기슭[簷(첨:처마)]+을(대격 조사). 기슭을. 처마를.
리려뇨 주031)
리려뇨
리[擁]-+-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거(대상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꾸리려는가. 감싸려는가. 에워싸려는가. 감싸려는 것인가. ¶ 리 도혀 서르 사호며 星辰이 조 모다 리놋다(해 달이 도리어 서로 싸우며, 별들이 자주 모여 에워싸는구나.)〈두시(초) 10:10ㄴ〉.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하당일백장 의개옹고첨【소나무가 모양이 기운 덮개와 같음을 이른 것이다.】
【언해역】 언제 일백 장이 높아(일백 길이나 높아져), 기운 지붕 높은 집 기슭(처마)을 감싸려는가?
Ⓒ 역자 | 임홍빈 / 2016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엄정공(嚴鄭公) : 정국공(鄭國公) 엄무(嚴武)를 말한다. 엄정국공(嚴鄭國公)을 줄여 말한 것이다. 엄무는 현종(玄宗) 개원(開元) 13년(725) 생으로, 두보의 절친한 친구이고 후원자였다. 약관일 때에는 그늘에서 이름을 얻으려 하였으나, 용우(隴右) 절도사 가서한(哥敍翰)의 진언으로 판관(判官)이 되고 다시 시어사(侍御史)가 되었다. 이후 경조소윤(京兆少尹), 절도사, 어사대부(御史大夫), 태자빈객, 성도윤(成都尹), 어사중승(御史中丞), 검남(劍南) 절도사 등의 벼슬을 하였다. 광덕 2년(764)에는 정국공에 봉해졌다. 대종(代宗) 영태(永泰) 원년(765) 4월 질병으로 사망하였는데, 이때의 나이가 40이었다. 안녹산의 난 때 두보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주002)
계하(階下) : 섬돌 아래.
주003)
엄정공계하신송득점자(嚴鄭公堦下新松得霑字) : 정국공 엄무의 섬돌 아래 새 솔(소나무), 점(霑)자를 얻다. 이 시는 대종(代宗) 광덕(廣德) 2년(764) 가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엄무(嚴武)의 변방 지휘 군막인 막부(幕府)에 있었다. 두보는 만 52세로 초봄에는 가족을 이끌고, 재주(梓州)에서 협곡을 빠져나와 먼저 도착한 곳이 낭주(閬州)였다. 낭주에서 조정의 공조참군(功曹參軍)을 만났으나, 부름에 나아가지 않았다. 낭주를 떠나 동쪽으로 갔는데, 엄무가 장차 촉 땅으로 다시 진주하리라는 소식을 듣는다. 크게 기뻐하며, 계획을 바꾸어 성도(成都)로 갈 계획을 세웠다. 3월에 성도로 돌아왔다, 성도의 완화초당으로 돌아왔을 때, 엄무의 천거에 의하여 두보는 검교공부원외랑(檢校工部員外郞)의 벼슬을 하게 된다.
주004)
바라온 : 바랍[危, 弱]-+- (조모음)-+- ㄴ(관형사형 어미). 위태로운.
주005)
읏드믄 : 읏듬[株, 莖, 質]+은(보조사). 줄기는. ¶남 읏드믄 幹이라 고 프릐 읏드믄 莖이라 니(나무의 줄기는 ‘간(幹)’이라 하고, 풀의 줄기는 ‘경(莖)’이라 하니)〈월석 13:47ㄱ〉.
주006)
엇뎨 : 어찌[豈].
주007)
제 가져시리오 : 저[自]+이(주격 조사)#가지[持, 負]-+- 어(연결 어미).#시[有]-+- 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고(의문 어미). 스스로가 가지고 있으리오. 스스로 가지고 있을 것인가. 제가 가지고 있을 것인가.
주008)
옮겨 심군 : 옮[移]-+-기(사동 파생 접미사)-+- 어(연결 어미)#*[植]-+-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옮겨 심은.
주009)
불휘 : 불휘[根]+(대격 조사). 뿌리를.
주010)
뵈야로 : 바야흐로[方].
주011)
옮겨 심군 불휘 뵈야로 너를 보노라 : 옮겨 심은 뿌리는 바야흐로 너를 보노라. 이곳에 옮겨온 뿌리는(나는) 바야흐로 너를 보노라. ‘불휘를’의 ‘를’은 ‘는’의 잘못인 것으로 보인다. ‘을///를’ 등이 주제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나, 여기에 이를 적용하기는 어렵다. 그럴 경우 의미론적으로 ‘너를’과 관련되나, ‘불휘’는 ‘나’와 관련된다. ‘옮겨 심은 뿌리’는 두보가 막부에 와서 제공받은 직책을 가리킨다. 그것은 두보의 직책이다. 그가 바라보는 것은 엄무이다. 엄무는 ‘너’로 되어 있다.
주012)
 소리 : [細]-+-ㄴ(관형사형 어미)#소리[聲]+(대격 조사). 가는 소리를.
주013)
옥장(玉帳)애셔 : 옥장(玉帳)+애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옥장에서. 여기서 ‘옥장’은 엄무의 막부(幕府), 즉 군막을 가리킨다.
주014)
드르리로소니 : 듣[聞]-+-으(조음소)-+-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소니(연결 어미). 들으리니. 들을 것이니.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리-’는 ‘-ㄹ(미래 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에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이다.
주015)
섯긘 : 섯긔[踈]-+-ㄴ(관형사형 어미). 성긴. ¶구룸  하해 오히려 어긔르츠니 곳부리 오히려 섯긔도다(구름 낀 하늘에 오히려 (기대가, 형제의 만남이) 어그러지니, 꽃부리 오히려 드문드문하도다.)〈두시(초) 8:43ㄱ〉.
주016)
프른 비츤 : 프르[靑, 翠(취:비치색)]-+-ㄴ(관형사형 어미)#빛[色]+은(보조사). 푸른 빛은. 푸른 색은. 푸른 잎은(푸른 빛은 잎을 말함).
주017)
주렴(珠簾) : 구슬을 꿰어서 만든 발.
주018)
갓갑도다 : 갓갑[近]-+-도다(감탄 어미). 가깝도다.
주019)
블근  : 븕[赤, 紫]-+-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煙]. 붉은 내. 붉은 연기. ¶머리셔 ᄂᆡᄅᆞᆯ 보고 블 잇ᄂᆞᆫ ᄃᆞᆯ 가ᄌᆞᆯ벼 아ᄃᆞᆺᄒᆞ니(멀리서 연기를 보고 불 있는 것을 비교하여 알 듯하니)〈월석 12:14ㄴ〉.
주020)
모도 : 몯[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모임을. 모이는 것을.
주021)
보디 몯리로소니 : 보[見]-+-디(연결 어미)#몯[不能]+-(동사 파생 접미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소니(연결 어미). 보지 못하리니. 보지 못할 것이니.
주022)
 이스릐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이슬[露]+의(관형격 조사). 맑은 이슬의.
주023)
저쥬믈 : 젖[霑]-+-이(사동 파생 접미사)-+-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젖게 함을. 젖게 하는 것을. ¶시 니 곳다온 낛바 드리우고 대 니 져근 園圃 믈 흘려 저쥬라(실을 이어 꽃다운 낚시밥을 드리우고, 대롱을 이어 작은 밭에 물 흘려 젖게 하다.)〈두시(초) 10:6ㄱ〉.
주024)
허(虛)히 : 허(虛)+-(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헛되게. 부질없이.
주025)
닙놋다 : 닙[被, 受.]-+-(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종결 어미). 입는구나. 받는구나.
주026)
어느 저긔 : 어느[何]#적[時]+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어느 적에. 어느 제. 언제.
주027)
일백장(一百丈)이 노파 : 일백(一百)#장(丈)+이(주격 조사)#높[高]-+-아(연결 어미). 일백 장(丈)이 높아. 일백 장이나 높아져. 일백 길이나 높아져. 일백 길만큼 높아져.
주028)
기운 개(盖) : 기운 덮개. 기운 지붕. 소나무의 모양이 우산을 편 것과 같이, 가운데가 높고 양쪽으로 기울어진 모양을 말한다. 그것이 뚜껑이나 덮개와 같은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주029)
노 집 : 높[高]-+-(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집[家]. 높은 집.
주030)
기슬글 : 기슭[簷(첨:처마)]+을(대격 조사). 기슭을. 처마를.
주031)
리려뇨 : 리[擁]-+-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거(대상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꾸리려는가. 감싸려는가. 에워싸려는가. 감싸려는 것인가. ¶ 리 도혀 서르 사호며 星辰이 조 모다 리놋다(해 달이 도리어 서로 싸우며, 별들이 자주 모여 에워싸는구나.)〈두시(초) 10:10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