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간이벽온방

  • 역주 간이벽온방
  •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 설날 아침 오신(五辛)
메뉴닫기 메뉴열기

설날 아침 오신(五辛)


又方 元日食五辛 葱韭蒜薤薑名五辛
Ⓒ 편찬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한섯날 주001)
한섯날:
한[大]+설[元旦]+날[日]. 설날. 이 책 18ㄴ에는 ‘한설날’로 나타난다.
아 주002)
아:
아[朝]+-(처격 조사). 아침에.
주003)
파[葱]:
푸른 잎이 대롱 모양으로 속이 비고 길고, 독특한 냄새와 맛이 있어 양념으로 자주 쓰이는 채소. 부록 참조.
염규 주004)
염규:
부추[韭菜]. 잎이 가늘고 길며 독특한 냄새와 맛이 있는 채소. 부록의 ‘부추’ 참조.
마 주005)
마:
마늘. 여러 쪽의 뿌리 줄기가 둥글게 뭉쳐 있는 여러해살이 풀로, 맛이 맵고 독특한 냄새가 나서 양념과 반찬으로 쓰이는 채소. 부록 참조.

간이벽온방:16ㄱ

주006)
(薤菜):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꽃줄기의 높이는 30~60cm이며, 잎은 비늘줄기에서 모여 나고 속이 비어 있다. 가을에 자주색 꽃이 산형(繖形) 꽃차례로 피고 열매를 맺지 못한다. 잎은 절여서 먹으며, 중국 남부가 원산지이다. 부록의 ‘해채’ 참조.
 주007)
(生薑):
생강. ≪구급 간이방≫에는 ‘’으로 나타난다. 생강은 맛이 맵고 향기가 좋아서 차의 재료나 양념으로 쓰고 한약 재료로도 쓰는 우툴두툴한 굵은 뿌리를 말한다. 부록 참조.
과 머그라 일후미 五오辛신 주008)
五辛(오신):
매운맛을 내는 다섯 가지 양념을 말하는데, 지금은 마늘, 파, 생강, 겨자, 후추를 이르고 있다.
이라
Ⓒ 언해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또한 설날 아침에 파[葱]와 부추[韭菜]와 마늘[蒜]과 해채(薤菜)와 생강(生薑)을 먹어라. 이들의 이름이 오신(五辛)이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한섯날:한[大]+설[元旦]+날[日]. 설날. 이 책 18ㄴ에는 ‘한설날’로 나타난다.
주002)
아:아[朝]+-(처격 조사). 아침에.
주003)
파[葱]:푸른 잎이 대롱 모양으로 속이 비고 길고, 독특한 냄새와 맛이 있어 양념으로 자주 쓰이는 채소. 부록 참조.
주004)
염규:부추[韭菜]. 잎이 가늘고 길며 독특한 냄새와 맛이 있는 채소. 부록의 ‘부추’ 참조.
주005)
마:마늘. 여러 쪽의 뿌리 줄기가 둥글게 뭉쳐 있는 여러해살이 풀로, 맛이 맵고 독특한 냄새가 나서 양념과 반찬으로 쓰이는 채소. 부록 참조.
주006)
(薤菜):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꽃줄기의 높이는 30~60cm이며, 잎은 비늘줄기에서 모여 나고 속이 비어 있다. 가을에 자주색 꽃이 산형(繖形) 꽃차례로 피고 열매를 맺지 못한다. 잎은 절여서 먹으며, 중국 남부가 원산지이다. 부록의 ‘해채’ 참조.
주007)
(生薑):생강. ≪구급 간이방≫에는 ‘’으로 나타난다. 생강은 맛이 맵고 향기가 좋아서 차의 재료나 양념으로 쓰고 한약 재료로도 쓰는 우툴두툴한 굵은 뿌리를 말한다. 부록 참조.
주008)
五辛(오신):매운맛을 내는 다섯 가지 양념을 말하는데, 지금은 마늘, 파, 생강, 겨자, 후추를 이르고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