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간이벽온방

  • 역주 간이벽온방
  •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 우물에 담근 붉은 팥 복용
메뉴닫기 메뉴열기

우물에 담근 붉은 팥 복용


又方新布袋盛赤小豆沉井二日擧家各服二十一介
Ⓒ 편찬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 새 주001)
뵈:
베[布]
주머니예 블근  주002)
:
[小豆]+-(목적격 조사). 팥을. 중세 국어에서 ‘’은 ‘’으로도 나타난다. “란 앗고”(구급방 언해 하:88ㄴ). “ 로니 시버”(구급방 언해 하:21ㄴ).
녀허 우므레 주003)
우므레:
우믈[井]+-에(처격 조사). 우물에.

간이벽온방:15ㄱ

이틀만 주004)
-만:
-쯤. -만큼. 정도.
가 주005)
가:
-[浸]+-아(연결 어미). 담가. 동사 ‘-’는 어간에 모음 어미가 연결 되면 어간 말음 ‘’가 줄고 ㄱ이 첨가되어 어간이 ‘-’으로 교체된다.
둣다가 주006)
둣다가:
두-[置]+-어(연결 어미)+잇-(완료의 보조 형용사)+-다가(종속적 연결 어미). 두어 있다가. 두었다가. 중세 국어에서 동사 어간에 연결 어미 ‘-어’와 상태의 보조 형용사 ‘잇-’을 연결하면 완료상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동사 ‘두다[置]’를 완료상으로 표시하면 ‘두어잇다’가 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두다’의 완료형이 중세 국어에서 ‘두어잇다’로 쓰인 일은 없고 ‘두어잇다’에서 연결 어미‘-어’가 생략된 ‘뒷다’나, ‘뒷다’에서 다시 반모음 j가 생략된 ‘둣다’로만 나타난다는 점이 여느 동사와 다르다. 여기서는 ‘둣다가’가 쓰였지만 ≪구급 간이방≫ 권7:41ㄴ에는 “붇을 조히 시서 초아 뒷다가”가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그 집 사히 各각各각 스므 주007)
스므:
스물한[二十一].
주008)
낫:
낱[箇]. ‘낯[箇]’이 휴지(休止)나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낫’으로 교체되었다.
식 라
Ⓒ 언해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또한 새 베로 만든 주머니에 붉은 팥을 넣어 우물에 이틀 정도 담가 두었다가 그 집 사람들이 각각 스물한 개씩 삼켜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뵈:베[布]
주002)
:[小豆]+-(목적격 조사). 팥을. 중세 국어에서 ‘’은 ‘’으로도 나타난다. “란 앗고”(구급방 언해 하:88ㄴ). “ 로니 시버”(구급방 언해 하:21ㄴ).
주003)
우므레:우믈[井]+-에(처격 조사). 우물에.
주004)
-만:-쯤. -만큼. 정도.
주005)
가:-[浸]+-아(연결 어미). 담가. 동사 ‘-’는 어간에 모음 어미가 연결 되면 어간 말음 ‘’가 줄고 ㄱ이 첨가되어 어간이 ‘-’으로 교체된다.
주006)
둣다가:두-[置]+-어(연결 어미)+잇-(완료의 보조 형용사)+-다가(종속적 연결 어미). 두어 있다가. 두었다가. 중세 국어에서 동사 어간에 연결 어미 ‘-어’와 상태의 보조 형용사 ‘잇-’을 연결하면 완료상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동사 ‘두다[置]’를 완료상으로 표시하면 ‘두어잇다’가 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두다’의 완료형이 중세 국어에서 ‘두어잇다’로 쓰인 일은 없고 ‘두어잇다’에서 연결 어미‘-어’가 생략된 ‘뒷다’나, ‘뒷다’에서 다시 반모음 j가 생략된 ‘둣다’로만 나타난다는 점이 여느 동사와 다르다. 여기서는 ‘둣다가’가 쓰였지만 ≪구급 간이방≫ 권7:41ㄴ에는 “붇을 조히 시서 초아 뒷다가”가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주007)
스므:스물한[二十一].
주008)
낫:낱[箇]. ‘낯[箇]’이 휴지(休止)나 자음 앞에서 8종성 제한 규칙에 따라 ‘낫’으로 교체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