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간이벽온방

  • 역주 간이벽온방
  •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 수컷 여우 똥[雄狐糞]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컷 여우 똥[雄狐糞]


又方雄狐糞燒之去瘟疫糞在木石上尖頭堅者是
Ⓒ 편찬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수여 주001)
수여:
수ㅎ[雄]+여[狐]+-의(관형격 조사). 수컷 여우의. 15세기에 명사의 끝 음절이 ‘/’인 ‘아[弟], 여[狐]’ 등은 휴지(休止)나 자음 앞에서는 ‘아, 여’로 나타나지만, 모음의 조사 앞에서는 명사의 형태가 각각 ‘, ’으로 교체되어 ‘이, ,  …’ ‘이, 을, 의 …’ 등으로 쓰였다. 이때의 ‘의’가 여기서는 연철 형태로 바뀌어 ‘여’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을 퓌우면 덥단 모딘 을 업게 니라【은 나모 돌 우희 잇 머리 주002)
머리:
끝. 똑같은 한문 원문에 대해 다른 문헌에 쓰인 언해문이 참고가 된다. “귿 롣고 구드니 긔라(尖頭堅者是也)”〈분문 온역 이해방 7ㄱ〉.
롣고 주003)
롣고:
롣-[尖]+-고(대등적 연결 어미). 뾰족하고. ‘롣고’ 중의 ‘’가 폐쇄음 사이에서 탈락하였다.
구드니 주004)
구드니:
굳-[堅]+-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zero 주격 조사). 굳은 것이.
긔라 주005)
긔라:
그[其]+-ㅣ라(서술격 조사). 그것이다.
Ⓒ 언해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또한 수컷 여우의 똥을 불 피우면 열이 많이 나는 전염병을 없게 한다. 【똥은 나무나 돌 위에 있는, 끝이 뾰족하고 굳은 것을 가리킨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수여:수ㅎ[雄]+여[狐]+-의(관형격 조사). 수컷 여우의. 15세기에 명사의 끝 음절이 ‘/’인 ‘아[弟], 여[狐]’ 등은 휴지(休止)나 자음 앞에서는 ‘아, 여’로 나타나지만, 모음의 조사 앞에서는 명사의 형태가 각각 ‘, ’으로 교체되어 ‘이, ,  …’ ‘이, 을, 의 …’ 등으로 쓰였다. 이때의 ‘의’가 여기서는 연철 형태로 바뀌어 ‘여’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주002)
머리:끝. 똑같은 한문 원문에 대해 다른 문헌에 쓰인 언해문이 참고가 된다. “귿 롣고 구드니 긔라(尖頭堅者是也)”〈분문 온역 이해방 7ㄱ〉.
주003)
롣고:롣-[尖]+-고(대등적 연결 어미). 뾰족하고. ‘롣고’ 중의 ‘’가 폐쇄음 사이에서 탈락하였다.
주004)
구드니:굳-[堅]+-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zero 주격 조사). 굳은 것이.
주005)
긔라:그[其]+-ㅣ라(서술격 조사). 그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