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간이벽온방

  • 역주 간이벽온방
  •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 측백나무 말린 잎 가루
메뉴닫기 메뉴열기

측백나무 말린 잎 가루


又方側栢東向葉採取乾正細末或湯或酒服之
Ⓒ 편찬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側측栢 주001)
側栢(측백):
측백나무를 말하며, 바늘잎이 옆으로 납작하게 달려서 측백이라 불린다. 소나무와 더불어 선비의 절개와 기상을 나타내는 대표적 나무로 알려져 있다. 측백나무는 장수목일 뿐 아니라 그 수지(樹指) 성분이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한다는 이유로 사당이나 묘지, 절, 정원 등에 즐겨 심었다. 부록의 ‘측백나무’ 참조.
東녁 向 니플 주002)
니플:
닢[葉]+-을(목적격 조사). 잎을.
외여 주003)
외여:
-[乾]+-외-(사동 접미사)+-아(연결 어미). 말려. 사동 접미사로 쓰인 ‘-외-’는 같은 접미사 ‘-오-’의 변형으로 보이며 ‘-외-’는 일부 용언에 한해서 쓰였다.(예, 알외다) 어간 ‘-’는 사동 접미사 ‘-외-’ 앞에서 어간 말음 ‘’가 탈락함으로써 어간이 ‘-’로 교체되었다. 다른 문헌에서는 ‘다’에 사동 접미사 ‘-오-’가 연결된 예를 보이기도 한다. 바로 ≪구급방 언해≫에 사동형으로 ‘오다’가 쓰인 것이 나타난다. “믯믜즌 것 업게 야 브레 오고”(하:85ㄱ).
라 주004)
라:
-[硏, 磨]+-아(연결 어미). 갈아.
쉬예나 주005)
쉬예나:
쉬[漿]+-예(처격 조사)+-나(보조사). 당수에나. 당수는 쌀, 좁쌀, 보리, 녹두 따위의 곡식을 물에 불려서 간 가루나 마른 메밀가루에 술을 조금 넣고 물을 부어 미음같이 쑨 것을 말한다.
수우레나 주006)
수우레나:
수울[酒]+-에(처격 조사)+-나(보조사). 술에나.
프러 주007)
프러:
플-[合]+어(연결 어미). 풀어. 타서. ‘플다〉풀다’(원순모음화).
머그라
Ⓒ 언해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또한 측백나무의 동쪽으로 향한 잎을 따서 말린 다음 갈아서 당수나 술에 풀어서 먹어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側栢(측백):측백나무를 말하며, 바늘잎이 옆으로 납작하게 달려서 측백이라 불린다. 소나무와 더불어 선비의 절개와 기상을 나타내는 대표적 나무로 알려져 있다. 측백나무는 장수목일 뿐 아니라 그 수지(樹指) 성분이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한다는 이유로 사당이나 묘지, 절, 정원 등에 즐겨 심었다. 부록의 ‘측백나무’ 참조.
주002)
니플:닢[葉]+-을(목적격 조사). 잎을.
주003)
외여:-[乾]+-외-(사동 접미사)+-아(연결 어미). 말려. 사동 접미사로 쓰인 ‘-외-’는 같은 접미사 ‘-오-’의 변형으로 보이며 ‘-외-’는 일부 용언에 한해서 쓰였다.(예, 알외다) 어간 ‘-’는 사동 접미사 ‘-외-’ 앞에서 어간 말음 ‘’가 탈락함으로써 어간이 ‘-’로 교체되었다. 다른 문헌에서는 ‘다’에 사동 접미사 ‘-오-’가 연결된 예를 보이기도 한다. 바로 ≪구급방 언해≫에 사동형으로 ‘오다’가 쓰인 것이 나타난다. “믯믜즌 것 업게 야 브레 오고”(하:85ㄱ).
주004)
라:-[硏, 磨]+-아(연결 어미). 갈아.
주005)
쉬예나:쉬[漿]+-예(처격 조사)+-나(보조사). 당수에나. 당수는 쌀, 좁쌀, 보리, 녹두 따위의 곡식을 물에 불려서 간 가루나 마른 메밀가루에 술을 조금 넣고 물을 부어 미음같이 쑨 것을 말한다.
주006)
수우레나:수울[酒]+-에(처격 조사)+-나(보조사). 술에나.
주007)
프러:플-[合]+어(연결 어미). 풀어. 타서. ‘플다〉풀다’(원순모음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