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간이벽온방

  • 역주 간이벽온방
  •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 모진 병의 증세[疫癘病候]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모진 병의 증세[疫癘病候] 2


疫之所興或溝渠不泄其穢惡薰蒸而成者

간이벽온방:2ㄱ

或地多死氣鬱發而成者或官吏枉抑怨讟而成者世謂獄溫傷溫墓溫廟溫社溫山溫海溫家溫竈溫歲溫天溫地溫等不可不究古法用屠蘇酒務成子螢火元李子建殺鬼煎老君神明散皆辟法惟劉根別傳令於州治大歲六合處穿地深三尺闊亦如之取淨沙三斛實之以醇酒三升沃其上俾使君祝之此亦消除疫氣之良術所謂大歲六合者歲泄氣之所在故以壓禳
Ⓒ 편찬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간이벽온방:2ㄴ

모딘  니러나 주001)
니러나:
니러남[興]+-(보조사). 일어남은.
쉬 주002)
쉬:
시궁창.
주003)
처:
츠-[除, 淨]+-어(연결 어미). 쳐서.
흘리디 아니야 그 더러운 모딘 거시 여 주004)
여:
-[熏]+-이-(피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쐬여.
외며 해 주005)
해:
ㅎ[地]+-애(처격 조사). 땅에. ‘ㅎ’는 ㅎ끝소리 명사이다.
사이 해 주근 주006)
주근:
죽-[死]+-은(관형사형 어미). 죽은.
긔운이 鬱울發발 주007)
鬱發(울발):
왕성하게 일어남.
야 외며 官관吏리 枉抑억 주008)
枉抑(왕억):
억압.
야 원슈로 외니 이리 닐온 주009)
닐온:
이른바. 말하자면.
獄옥溫온 傷溫온 墓묘溫온 廟묘溫온 社샤溫온 山산溫온 海溫온 家가溫온 竈조溫온 歲셰溫온 天텬溫온 地디溫온히니 주010)
히니:
ㅎ(복수 접미사)+-이니(서술격 조사). ~들이니.
업게  법은 屠도蘇소酒쥬와 螢火화元원과 殺살

간이벽온방:3ㄱ

鬼귀煎젼과 神신明散솬
주011)
屠蘇酒(도소주), 螢火元(형화원), 殺鬼煎(살귀전), 神明散(신명산):
처방 약. 이들 약에 대한 구체적인 처방법은 뒤에 나온다.
주012)
神明散(신명산)괘:
神明散+-과(접속 조사)+-ㅣ(주격 조사). 신명산(약 이름)이. 중세 국어에서는 두 개 이상의 체언 항목을 접속 조사 ‘-과/와’로써 열거할 때, 열거되는 맨 끝의 항목에도 ‘-과/와’를 붙인 다음 다시 필요한 조사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문법 질서에 따라 앞의 “屠蘇酒와 螢火元과 殺鬼煎과 神明散괘”에서도 끝 항목의 ‘神明散’ 에 ‘-과’를 붙이고서 다시 주격 조사 ‘-ㅣ’를 연결하였다. 그러나 여기서처럼 마지막 항목에 붙인 접속 조사는 문법적으로 잉여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중세 국어에서도 이러한 질서가 다소 유동적이어서 끝 항목에 ‘-과/와’를 첨가하지 않은 예도 자주 볼 수 있다. 물론 현대 국어에서는 접속 조사의 이런 용법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다 업게  법이어니와 오직 劉류根근의 別별傳뎐에 올셔 주013)
올셔:
올ㅎ[邑, 鄕]+-셔(보조사). 고을에서. ‘올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나 ㅅ 앞에서는 ㅎ끝소리가 나타나지 않는다. 보조사 ‘-셔’는 여기서처럼 체언에 직접 연결된 경우는 흔치 않고 대개 처격, 여격, 조격 등의 조사와 부사 및 연결 어미 ‘-아/어’에 연결되어 쓰인 예들이 많다. 예, ‘-에셔, -의그셔, -로셔, 갓가이셔, -아셔/-어셔’ 등.
다리 주014)
다리:
다리-[治]+-(관형사형 어미). 다스리는.
大대歲셰 주015)
大歲(대세):
그 해.
 四方 가온 주016)
가온:
가운데.
  주017)
:
-[穿]+-(종속적 연결 어미). 〈땅을〉 파되. 중세 국어에서 어미 ‘-’는 그 앞에 삽입 모음 ‘-오/우-’의 첨가가 필수적이어서 ‘포’가 되어야 함에도 여기서는 삽입 모음이 배제된 형태가 쓰였다. 이는 삽입 모음이 16세기에 들어서 동요되기 시작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기 주018)
기:
깊-[深]+-(명사 접미사)+∅(zero 주격 조사). 깊이가.
석 자히오 주019)
석 자히오:
석[三]+자ㅎ[尺]+-이고(서술격 조사). 석 자이고. 자음 ㄹ이나 모음 i, j 다음에서 ㄱ이 탈락하는 현상에 의해 ‘-이고’가 ‘-이오’로 되었다.
너븨 주020)
너븨:
넙-[廣]+-의(명사 접미사). 넓이. 너비.
도 티 고 조 주021)
조:
좋-[淨]+-(관형사형 어미). 깨끗한.
몰애 주022)
몰애:
모래[沙].
주023)
셤:
섬[石].
몌오고 주024)
몌오고:
몌오-[塡]+-고(대등적 연결 어미). 메우고. 채우고.
됴 주025)
됴:
둏-[好]+-(관형사형 어미). 좋은.
수울 주026)
수울:
술[酒].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는 ‘수을’로 나타난다.
서 되 그 우희 주027)
우희: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위에. ‘우ㅎ’는 ㅎ끝소리 명사이다.
븟고 주028)
븟고:
븟-[注]+-고(대등적 연결 어미). 붓고. ‘븟다〉붓다’(원순모음화).
그 올 주029)
원:
수령(守令).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
으로 빌라 이도  모딘 긔운을 더 주030)
더:
덜-[除]+-(관형사형 어미). 덜게 하는. 적게 하는. 어간 말음 ㄹ은 ㄴ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탈락한다.
됴 術슐 주031)
術(술):
방술(方術). 방사(方士)가 행하는 신선의 술법.
이라 大대歲셰 六륙合합 歲셰ㅅ 긔운 泄셜호미 주032)
泄(설)호미:
泄-[洗, 散]+-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씻어냄이. 새어서 날아감이.
인 주033)
인:
잇-[有]+-(관형사형 어미). 있는. ㅅ[t]이 ㄴ 위에서 ㄴ으로 동화되는 현상을 표기에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 주034)
:
[所]+-ㅣ(서술격 조사)+-ㄹ(종속적 연결 어미). 곳이므로.
 주035)
:
양재(禳災). 신령에게 빌어서 재앙을 물리침.
니라

간이벽온방:3ㄴ

【六륙合합은 天텬地디와 四方이라】
Ⓒ 언해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전염병이 일어남은 시궁창을 쳐서 흘려 보내지 않아 그 더러운 나쁜 것이 〈사람에게〉 쐬여 〈병이〉 되며, 땅에 많은 사람이 죽은 기운이 왕성하게 일어나 〈병이〉 되며, 벼슬아치가 〈백성을〉 억압하여 원수가 됨으로 인해 〈병이〉 되니, 이리하여 〈생긴 병을〉 이르면, 감옥에서 생긴 온역, 시장에서 생긴 온역, 무덤에서 생긴 온역, 사당에서 생긴 온역, 신사에서 생긴 온역, 산에서 생긴 온역, 바다에서 생긴 온역, 집에서 생긴 온역, 부엌에서 생긴 온역, 날씨로 생긴 온역, 하늘에서 생긴 온역, 땅에서 생긴 온역 등이다. 이들을 없앨 처방법은 도소주(屠蘇酒)와 형화원(螢火元)과 살귀전(殺鬼煎)과 신명산(神明散)이 다 없게 할 처방법이거니와 다만 유근(劉根)의 별전(別傳)대로, 고을에서 다스리는 땅에서 그 해 사방의 가운데 땅을 파되 깊이가 석 자이고 너비도 같게 한 다음, 깨끗한 모래 석 섬으로 메우고 좋은 술 석 되를 그 위에 붓고는 그 고을 원님으로 하여금 빌게 하여라. 이것도 또한 악성 기운을 덜게 하는 좋은 방술(方術)이다. 그 해의 천지 사방은 그 해의 기운을 씻어낸 일육합(六合)은 천지(天地)와 사방(四方)이 있는 곳이므로 신령에게 빌어서 재앙을 물리치는 것이다.【이다.】
〈덧붙임〉
위의 한문 본문과 언해문에서는 시궁창의 더러운 기운과 죽은 사람들의 기운, 그리고 관리들의 억압 등으로 생긴 12가지의 병을 옥온(獄溫), 상온(傷溫), 묘온(墓溫), 묘온(廟溫), 사온(社溫), 산온(山溫), 해온(海溫), 가온(家溫), 조온(竈溫), 세온(歲溫), 천온(天溫), 지온(地溫) 등으로 나타내고 있어 그 증상에 대해서는 더 이상 알기가 어렵다. 그런데 ≪벽온신방(辟瘟新方)≫(1653)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기록을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증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한문〉 或溝渠不泄其穢惡不修薰蒸而成者或地多死氣鬱發而成者或官吏枉抑怨讟而成者其證使人痰盛煩熱頭痛身疼增寒壯熱項强睛疼甚至聲啞或赤眼口瘡腮腫喉痺咳嗽噴嚔(벽온신방 1ㄱ)
〈언해문〉 혹 쳔을 츠디 아녀 더러온 긔온이 사의게 이거나 그  사 주근 긔운이 만커나 관원이 사오나와 원망이 만하도 되니 그 증은 담이 셩며 답답며 머리 알며 몸이 알며 치우락 더우락며 목이 고며 눈망올이 알며 목이 쉬며 눈이 블그며 입이 헐며 볼이 브으며 목 안히 범븨며 기과 최옴을 니라(벽온신방 1ㄴ)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8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러나:니러남[興]+-(보조사). 일어남은.
주002)
쉬:시궁창.
주003)
처:츠-[除, 淨]+-어(연결 어미). 쳐서.
주004)
여:-[熏]+-이-(피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쐬여.
주005)
해:ㅎ[地]+-애(처격 조사). 땅에. ‘ㅎ’는 ㅎ끝소리 명사이다.
주006)
주근:죽-[死]+-은(관형사형 어미). 죽은.
주007)
鬱發(울발):왕성하게 일어남.
주008)
枉抑(왕억):억압.
주009)
닐온:이른바. 말하자면.
주010)
히니:ㅎ(복수 접미사)+-이니(서술격 조사). ~들이니.
주011)
屠蘇酒(도소주), 螢火元(형화원), 殺鬼煎(살귀전), 神明散(신명산):처방 약. 이들 약에 대한 구체적인 처방법은 뒤에 나온다.
주012)
神明散(신명산)괘:神明散+-과(접속 조사)+-ㅣ(주격 조사). 신명산(약 이름)이. 중세 국어에서는 두 개 이상의 체언 항목을 접속 조사 ‘-과/와’로써 열거할 때, 열거되는 맨 끝의 항목에도 ‘-과/와’를 붙인 다음 다시 필요한 조사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문법 질서에 따라 앞의 “屠蘇酒와 螢火元과 殺鬼煎과 神明散괘”에서도 끝 항목의 ‘神明散’ 에 ‘-과’를 붙이고서 다시 주격 조사 ‘-ㅣ’를 연결하였다. 그러나 여기서처럼 마지막 항목에 붙인 접속 조사는 문법적으로 잉여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중세 국어에서도 이러한 질서가 다소 유동적이어서 끝 항목에 ‘-과/와’를 첨가하지 않은 예도 자주 볼 수 있다. 물론 현대 국어에서는 접속 조사의 이런 용법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주013)
올셔:올ㅎ[邑, 鄕]+-셔(보조사). 고을에서. ‘올ㅎ’은 ㅎ끝소리 명사이나 ㅅ 앞에서는 ㅎ끝소리가 나타나지 않는다. 보조사 ‘-셔’는 여기서처럼 체언에 직접 연결된 경우는 흔치 않고 대개 처격, 여격, 조격 등의 조사와 부사 및 연결 어미 ‘-아/어’에 연결되어 쓰인 예들이 많다. 예, ‘-에셔, -의그셔, -로셔, 갓가이셔, -아셔/-어셔’ 등.
주014)
다리:다리-[治]+-(관형사형 어미). 다스리는.
주015)
大歲(대세):그 해.
주016)
가온:가운데.
주017)
:-[穿]+-(종속적 연결 어미). 〈땅을〉 파되. 중세 국어에서 어미 ‘-’는 그 앞에 삽입 모음 ‘-오/우-’의 첨가가 필수적이어서 ‘포’가 되어야 함에도 여기서는 삽입 모음이 배제된 형태가 쓰였다. 이는 삽입 모음이 16세기에 들어서 동요되기 시작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주018)
기:깊-[深]+-(명사 접미사)+∅(zero 주격 조사). 깊이가.
주019)
석 자히오:석[三]+자ㅎ[尺]+-이고(서술격 조사). 석 자이고. 자음 ㄹ이나 모음 i, j 다음에서 ㄱ이 탈락하는 현상에 의해 ‘-이고’가 ‘-이오’로 되었다.
주020)
너븨:넙-[廣]+-의(명사 접미사). 넓이. 너비.
주021)
조:좋-[淨]+-(관형사형 어미). 깨끗한.
주022)
몰애:모래[沙].
주023)
셤:섬[石].
주024)
몌오고:몌오-[塡]+-고(대등적 연결 어미). 메우고. 채우고.
주025)
됴:둏-[好]+-(관형사형 어미). 좋은.
주026)
수울:술[酒].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는 ‘수을’로 나타난다.
주027)
우희:우ㅎ[上]+-의(처소격 조사). 위에. ‘우ㅎ’는 ㅎ끝소리 명사이다.
주028)
븟고:븟-[注]+-고(대등적 연결 어미). 붓고. ‘븟다〉붓다’(원순모음화).
주029)
원:수령(守令). 각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
주030)
더:덜-[除]+-(관형사형 어미). 덜게 하는. 적게 하는. 어간 말음 ㄹ은 ㄴ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탈락한다.
주031)
術(술):방술(方術). 방사(方士)가 행하는 신선의 술법.
주032)
泄(설)호미:泄-[洗, 散]+-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씻어냄이. 새어서 날아감이.
주033)
인:잇-[有]+-(관형사형 어미). 있는. ㅅ[t]이 ㄴ 위에서 ㄴ으로 동화되는 현상을 표기에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주034)
:[所]+-ㅣ(서술격 조사)+-ㄹ(종속적 연결 어미). 곳이므로.
주035)
:양재(禳災). 신령에게 빌어서 재앙을 물리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