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간이벽온방

  • 역주 간이벽온방
  •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 순무 나박김치
메뉴닫기 메뉴열기

순무 나박김치


又方溫蕪菁葅汁合家大小並服不限多少
Ⓒ 편찬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쉰무 주001)
쉰무:
순무[蔓菁]. 무의 하나로 뿌리가 퉁퉁하며 물이 많고 흰색, 붉은색, 자주색을 띤다. 봄에 노란 꽃이 총상(總狀) 꽃차례로 피고 뿌리와 잎은 비타민을 많이 함유한 채소이다. 유럽이 원산지로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부록의 ‘순무’ 참조.
나박팀 주002)
나박팀:
나박김칫. 나박김치는 무를 얄팍하고 네모지게 썰어 절인 다음, 고추·파·마늘·미나리 따위를 넣고 국물을 부어 담근다. 김치를 가리키는 옛말로는 중세 국어에서 ‘딤’와 ‘팀’가 쓰였고, 이들이 근대 국어에 와서 각각 구개음화한 ‘짐’ ‘침’로 쓰이다가 현대 국어에 와서 ‘김치’로 단일화하였다.
구글 주003)
구글:
국[羹]+-을(목적격 조사). 국을. 여기서는 김칫국물을 가리킨다.
집안해 주004)
집안해:
집[家]+안ㅎ[內]+-애(처격 조사). 집안에.
얼운 주005)
얼운:
어른[大人].
이며 아히 주006)
아히:
아[兒]+-ㅎ(복수 접미사)+-이(주격 조사). 아이들이.
하나 주007)
하나:
하-[多]+-나(선택적 연결 어미). 많으나. 많든.
져그나 주008)
져그나:
젹-[少]+-으나(선택적 연결 어미). 적으나. 적든.
머그라
Ⓒ 언해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또한 순무로 담근 나박김칫 국물을 집안의 어른이나 아이들이 모두 많든 적든 먹어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쉰무:순무[蔓菁]. 무의 하나로 뿌리가 퉁퉁하며 물이 많고 흰색, 붉은색, 자주색을 띤다. 봄에 노란 꽃이 총상(總狀) 꽃차례로 피고 뿌리와 잎은 비타민을 많이 함유한 채소이다. 유럽이 원산지로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부록의 ‘순무’ 참조.
주002)
나박팀:나박김칫. 나박김치는 무를 얄팍하고 네모지게 썰어 절인 다음, 고추·파·마늘·미나리 따위를 넣고 국물을 부어 담근다. 김치를 가리키는 옛말로는 중세 국어에서 ‘딤’와 ‘팀’가 쓰였고, 이들이 근대 국어에 와서 각각 구개음화한 ‘짐’ ‘침’로 쓰이다가 현대 국어에 와서 ‘김치’로 단일화하였다.
주003)
구글:국[羹]+-을(목적격 조사). 국을. 여기서는 김칫국물을 가리킨다.
주004)
집안해:집[家]+안ㅎ[內]+-애(처격 조사). 집안에.
주005)
얼운:어른[大人].
주006)
아히:아[兒]+-ㅎ(복수 접미사)+-이(주격 조사). 아이들이.
주007)
하나:하-[多]+-나(선택적 연결 어미). 많으나. 많든.
주008)
져그나:젹-[少]+-으나(선택적 연결 어미). 적으나. 적든.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