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간이벽온방

  • 역주 간이벽온방
  •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 전염병 처치 방법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전염병 처치 방법 1


간이벽온방:13ㄱ

又方家染時疫卽初病人衣服浣洗令淨飯甑中蒸之卽無傳染之患
Ⓒ 편찬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지븨 주001)
지븨:
집[家]+-의(처격 조사). 집에.
모딘 병이 들어든 주002)
들어든:
들-[入]+-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들거든. 옮아오거든. 어간 말음 ㄹ 다음에서 어미의 첫소리 ㄱ이 탈락하였다.
즉재 처 주003)
처:
처음.
 주004)
:
병든. 병에 걸린.
사 오 주005)
오:
옷[衣]+-(목적격 조사). 옷을.
라 주006)
라:
-[洗]+-아(연결 어미). 빨아. 세탁하여.
조케 주007)
조케:
좋-[淨]+-게(부사형 어미). 깨끗하게.
야 밥  주008)
:
-[蒸]+-(관형사형 어미). 〈솥에〉 찌는. ‘다〉다〉찌다’(구개음화).
시예 주009)
시예:
시[甑]+-예(처격 조사). 시루에. 중세 국어에서 명사 ‘시’는 원래 그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가 연결되면 명사의 끝모음 ‘’가 탈락하고 ㄹ은 앞 음절의 받침으로 붙어 명사의 어형이 ‘실’로 교체되는 변동이 일어난다. ≪구급 간이방≫권1:66ㄱ에 “실의  덥게 야(甑中蒸熱)”로 표기되어 ‘시루에’의 뜻으로 ‘실의’가 쓰인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처럼 ‘[粉], 노[獐], [津]’ 등과 같이 끝 음절이 ‘/르’로 끝나는 명사들은 대개 이런 교체 현상을 보여 준다. 다만 모음의 조사라도 접속 조사 ‘-와’ 앞에서는 변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시’에 모음의 조사가 연결되었지만 ‘시예’에서 보듯이 특수한 교체 현상은 보여 주지 않고 있다. 처격 조사의 연결에서도 ‘-예’가 쓰일 환경은 아닌데 ‘-예’가 연결되어 혼란을 보이고 있다.
면 곧 이 傳뎐染염티 아니니라
Ⓒ 언해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또한 집에 전염병이 옮아오거든 즉시 처음 병에 걸린 사람의 옷을 빨아 깨끗하게 하여 밥을 찌는 시루에 찌면 곧 병이 전염되지 않는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지븨:집[家]+-의(처격 조사). 집에.
주002)
들어든:들-[入]+-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들거든. 옮아오거든. 어간 말음 ㄹ 다음에서 어미의 첫소리 ㄱ이 탈락하였다.
주003)
처:처음.
주004)
:병든. 병에 걸린.
주005)
오:옷[衣]+-(목적격 조사). 옷을.
주006)
라:-[洗]+-아(연결 어미). 빨아. 세탁하여.
주007)
조케:좋-[淨]+-게(부사형 어미). 깨끗하게.
주008)
:-[蒸]+-(관형사형 어미). 〈솥에〉 찌는. ‘다〉다〉찌다’(구개음화).
주009)
시예:시[甑]+-예(처격 조사). 시루에. 중세 국어에서 명사 ‘시’는 원래 그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가 연결되면 명사의 끝모음 ‘’가 탈락하고 ㄹ은 앞 음절의 받침으로 붙어 명사의 어형이 ‘실’로 교체되는 변동이 일어난다. ≪구급 간이방≫권1:66ㄱ에 “실의  덥게 야(甑中蒸熱)”로 표기되어 ‘시루에’의 뜻으로 ‘실의’가 쓰인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처럼 ‘[粉], 노[獐], [津]’ 등과 같이 끝 음절이 ‘/르’로 끝나는 명사들은 대개 이런 교체 현상을 보여 준다. 다만 모음의 조사라도 접속 조사 ‘-와’ 앞에서는 변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시’에 모음의 조사가 연결되었지만 ‘시예’에서 보듯이 특수한 교체 현상은 보여 주지 않고 있다. 처격 조사의 연결에서도 ‘-예’가 쓰일 환경은 아닌데 ‘-예’가 연결되어 혼란을 보이고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