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간이벽온방

  • 역주 간이벽온방
  •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 십신탕(十神湯)
메뉴닫기 메뉴열기

십신탕(十神湯)


十神湯治時令不正瘟疫妄行感冒發熱
川芎 甘草灸 麻黃去根 乾葛 升麻

간이벽온방:7ㄱ

去蘆 白芷 陳皮 香附子炒去毛 赤芍藥 紫蘇葉各 四兩
右剉散每服三錢水一盞半薑五片煎七分去滓熱服不以時候
Ⓒ 편찬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十십神신湯은 時시令 주001)
時令(시령):
절기(節氣).
不블正 주002)
不正(부정):
정상(正常)이 아님.
야 덥단 이 간대로 주003)
간대로:
함부로. 마구.
行며 주004)
行(행)며:
유행(流行)하며.
感감冒모 주005)
感冒(감모):
감기.
로 發발熱열니 주006)
發熱(발열)니:
발열-+-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목적격 조사). 열(熱)이 나는 것을.
고티니라
川쳔芎 주007)
川芎(천궁):
우리나라 한랭한 산간 지방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강한 방향을 풍긴다. 땅속에 있는 덩어리 형태로 된 줄기뿌리를 천궁이라 하고 약용으로 하는데 짙은 방향을 풍긴다. 한방에서는 보혈, 활혈, 정혈제로 부인병에 많이 쓰는 대표적인 약재이다. 부록 참조.
甘감草초【굽고】 麻마黃 주008)
麻黃(마황):
다년생 초본(草本) 또는 소관목(小灌木)으로 높이가 10~30㎝ 가량 된다. 뿌리와 뿌리줄기가 굵고 길며 단단하고 홍갈색(紅褐色)이다. 줄기는 무더기로 솟아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부록 참조.
불휘 주009)
불휘[根]:
뿌리. ‘불휘’는 ‘불휘〉불위〉뿌리’의 과정을 거쳐 ‘뿌리’가 되었다. 여기에는 어두(語頭) 자음의 된소리화가 일어나 ‘ㅂ〉ㅃ’이 되었다. 이 밖에도 ‘불휘’의 변천 과정에서 ‘불희, 불회, 불’ 등의 여러 형태가 근대 국어에서 혼용된 것을 볼 수 있다.
업게 고】
乾건葛갈 주010)
乾葛(건갈):
칡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을 내리고 땀을 내는 데에나 갈증(渴症), 두통, 요통, 항강(項强) 따위에 쓴다. 부록 참조.
升麻마 주011)
升麻(승마):
끼절가리의 뿌리를 말하며, 끼절가리는 깊은 산의 숲속에서 볼 수 있다. 뿌리는 다소 비대하고 줄기는 곧으며 높이는 약 1m 정도이다. 외감·설사·하혈·빈혈·탈음·탈항 등의 약재로 쓴다. 부록 참조.
머리 주012)
머리:
인삼, 사삼(沙蔘), 도라지, 더덕 따위의 뿌리에서 싹이 나오는 대가리 부분, 즉 꼭지 부분을 말한다.
업게 고】
白芷지 주013)
白芷(백지):
미나리과의 두해 내지 세해살이 풀로서 향기를 뿜는 방향성 식물이다. 이른 봄에 부드러운 순을 뜯어서 나물로 먹기도 하는데 한방에서는 뿌리를 주된 약재로 쓰며 약명으로는 청결함이 스스로 극점까지 가서 그쳤다는 의미로 백지(白芷)라 한다. 부록 참조.

간이벽온방:7ㄴ

딘皮피 香附부子【봇가 터럭 업게 고】 赤젹芍쟉藥약 주014)
赤芍藥(적작약):
함박꽃을 말하며, 높이 약 80cm 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줄기 끝에 빨간색, 보라빨간색, 흰색인 한 개의 큰 꽃이 피며 꽃잎은 여러 겹이거나 외겹이다. 약용 작약에서 백작약과 적작약의 구별은 꽃 색깔로써 판단하는 것이 아니고, 뿌리를 잘라 붉은빛이 돌면 적작약이고, 흰빛이 돌며 흰 가루분이 나는 것을 백작약이라 한다. 부록 참조.
紫蘇소葉엽【各각 넉 량】
이 약 횩게 주015)
횩게:
횩-[小]+-게(부사형 어미). 작게. 잘게. 가늘게.
사라  복애 서 돈식 야 믈  사발 가옫 주016)
가옫:
가웃[半]. 중세국어에서 ‘가옫’과 ‘가온’는 어원이 같은 말이다.
 주017)
:
생강(生薑). 이는 같은 시대에 ‘’으로도 많이 쓰였다. 부록의 ‘생강’ 참조.
다 주018)
편(片):
저울에 달아 파는 약재의 낱개를 세는 단위.
녀허 달히니 닐굽 분이어든 즈 업게 고 더우니  혜디 말오 머그라
Ⓒ 언해 | 김순몽 외 / 1525년(중종 20) 월 일

십신탕(十神湯)은 절기(節氣)가 정상(正常)이 아니어서(고르지 못해서) 전염성 열병이 마구 유행하며, 감기로 열이 나는 것을 고친다.
〈십신탕의 약재로는〉 천궁(川芎), 감초(甘草) 구운 것, 뿌리를 제거한 마황(麻黃), 건갈(乾葛), 꼭지를 제거한 승마(升麻), 백지(白芷), 진피(陳皮), 볶아서 털을 제거한 향부자(香附子), 적작약(赤芍藥), 자소엽(紫蘇葉) 각각 넉 냥 등이다.
이상의 약들을 잘게 썰어서 한 번 복용할 때 서 돈씩 해서 여기에 물 한 사발 반과 생강 다섯 조각을 넣어 달인 것이 일곱 푼이 되거든 찌꺼기를 없게 하고 뜨거운 것을 때를 가리지 말고 먹어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時令(시령):절기(節氣).
주002)
不正(부정):정상(正常)이 아님.
주003)
간대로:함부로. 마구.
주004)
行(행)며:유행(流行)하며.
주005)
感冒(감모):감기.
주006)
發熱(발열)니:발열-+-ㄴ(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목적격 조사). 열(熱)이 나는 것을.
주007)
川芎(천궁):우리나라 한랭한 산간 지방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강한 방향을 풍긴다. 땅속에 있는 덩어리 형태로 된 줄기뿌리를 천궁이라 하고 약용으로 하는데 짙은 방향을 풍긴다. 한방에서는 보혈, 활혈, 정혈제로 부인병에 많이 쓰는 대표적인 약재이다. 부록 참조.
주008)
麻黃(마황):다년생 초본(草本) 또는 소관목(小灌木)으로 높이가 10~30㎝ 가량 된다. 뿌리와 뿌리줄기가 굵고 길며 단단하고 홍갈색(紅褐色)이다. 줄기는 무더기로 솟아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부록 참조.
주009)
불휘[根]:뿌리. ‘불휘’는 ‘불휘〉불위〉뿌리’의 과정을 거쳐 ‘뿌리’가 되었다. 여기에는 어두(語頭) 자음의 된소리화가 일어나 ‘ㅂ〉ㅃ’이 되었다. 이 밖에도 ‘불휘’의 변천 과정에서 ‘불희, 불회, 불’ 등의 여러 형태가 근대 국어에서 혼용된 것을 볼 수 있다.
주010)
乾葛(건갈):칡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열을 내리고 땀을 내는 데에나 갈증(渴症), 두통, 요통, 항강(項强) 따위에 쓴다. 부록 참조.
주011)
升麻(승마):끼절가리의 뿌리를 말하며, 끼절가리는 깊은 산의 숲속에서 볼 수 있다. 뿌리는 다소 비대하고 줄기는 곧으며 높이는 약 1m 정도이다. 외감·설사·하혈·빈혈·탈음·탈항 등의 약재로 쓴다. 부록 참조.
주012)
머리:인삼, 사삼(沙蔘), 도라지, 더덕 따위의 뿌리에서 싹이 나오는 대가리 부분, 즉 꼭지 부분을 말한다.
주013)
白芷(백지):미나리과의 두해 내지 세해살이 풀로서 향기를 뿜는 방향성 식물이다. 이른 봄에 부드러운 순을 뜯어서 나물로 먹기도 하는데 한방에서는 뿌리를 주된 약재로 쓰며 약명으로는 청결함이 스스로 극점까지 가서 그쳤다는 의미로 백지(白芷)라 한다. 부록 참조.
주014)
赤芍藥(적작약):함박꽃을 말하며, 높이 약 80cm 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줄기 끝에 빨간색, 보라빨간색, 흰색인 한 개의 큰 꽃이 피며 꽃잎은 여러 겹이거나 외겹이다. 약용 작약에서 백작약과 적작약의 구별은 꽃 색깔로써 판단하는 것이 아니고, 뿌리를 잘라 붉은빛이 돌면 적작약이고, 흰빛이 돌며 흰 가루분이 나는 것을 백작약이라 한다. 부록 참조.
주015)
횩게:횩-[小]+-게(부사형 어미). 작게. 잘게. 가늘게.
주016)
가옫:가웃[半]. 중세국어에서 ‘가옫’과 ‘가온’는 어원이 같은 말이다.
주017)
:생강(生薑). 이는 같은 시대에 ‘’으로도 많이 쓰였다. 부록의 ‘생강’ 참조.
주018)
편(片):저울에 달아 파는 약재의 낱개를 세는 단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