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진언권공언해

  • 역주 진언권공언해
  • 염향(拈香)
  • 헌전물(獻奠物) 명발(鳴鈸) 독소(讀䟽)
메뉴닫기 메뉴열기

헌전물(獻奠物) 명발(鳴鈸) 독소(讀䟽)


진언권공:37ㄴ

·:헌:뎐·믈 ··발 ··독소

次獻奠物 次鳴鈸 次讀䟽

슈라·렬:시·쥬건 ·욕구:지쥬원 슈:가디지:변:화 :유삼:보·특:가디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香羞羅列施主虔誠 欲求供養之周圓 須仗加持之變化 仰惟三寶特賜加持

:됴 供養: ·버·리·오· 주001)
버리오:
벌+ㅣ-오-ㅁ~. 벌이옴은.
施:시主·쥬·의 眞진實실ㅅ 精誠·이·니 供養:이

진언권공:38ㄱ

두루 圓원滿:만·케 ·호려 주002)
호려:
ㅎ-ㅗ-려. 하려.
·홀디·면 주003)
홀 디면:
할 것이면.
모·로·매 주004)
모로매:
모름지기.
加가持디 주005)
가지:
부처가 중생을 보호함.
變:변化:화· 븓·오릴· 주006)
븓오릴:
븓-오-리-ㄹ. “븓-”은 “븥다”의 “븥-”을 달리 적은 꼴임. 여기서 “븥다”(〉붙다)는 ‘의지하다’를 뜻함.
三삼寶:보· :울워·러 ··노·니 特·특別·별·히 加가持디· ·주쇼·셔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남무·십·불 남무·십·법 남무·십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南無十方佛 南無十方法 南無十方僧【三삼遍:변】

차헌전물 차명발 차독소

“향수라렬시주건성 욕구공양지주원 수장가지지변화 앙유삼보특사가지”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좋은 공양 벌이옴은 시주의 진실한 정성이니 공양이 두루 원만하게 하려 할 것이며 모름지기 가지 변화를 의지하올 것이므로 삼보를 우러러 생각하옵나니 특별히 가지를 주소서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남무십방불 남무십방법 남무십방승”【세 번 왼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버리오:벌+ㅣ-오-ㅁ~. 벌이옴은.
주002)
호려:ㅎ-ㅗ-려. 하려.
주003)
홀 디면:할 것이면.
주004)
모로매:모름지기.
주005)
가지:부처가 중생을 보호함.
주006)
븓오릴:븓-오-리-ㄹ. “븓-”은 “븥다”의 “븥-”을 달리 적은 꼴임. 여기서 “븥다”(〉붙다)는 ‘의지하다’를 뜻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