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진언권공언해

  • 역주 진언권공언해
  • 작법 절차(作法節次)
  • 할화(喝花)
메뉴닫기 메뉴열기

할화(喝花)


진언권공:13ㄴ

·할화

喝花【三삼咽인噵:도如上:】

·모란화함:묘 :샤·약금:예·톄분 :함담련:: :·국:후신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牧丹花王含妙香 芍藥金蕊體芬芳 菡萏紅蓮同染淨 更生黃菊霜後新

牧·모丹란 花화王· 微미妙:묘 香· 머·구멧·고 주001)
머구멧고:
머굼-ㅓ-잇-고. 머금어 있고. 머금었고.
芍:샤藥·약 金금 여·의 주002)
여의:
꽃술.
· 體·톄

진언권공:14ㄱ

ㅣ 옷곳·도·다 函:함萏담 紅蓮련·이 :더러·움 ·조호·미 주003)
조호미:
좋-ㅗ-ㅁ-ㅣ. “좋다”는 지금말로 “깨끗하다”와 같으므로 “조호미”는 ‘깨끗함이’라는 뜻임.
同·니 · 黃菊·국·을 :내·야 서·리 後:후·에 ·도·다 주004)
도다:
씩씩하도다. “다”는 본디 “씩씩하다”의 옛말인 “싁싁하다”의 작은말이었으나 둘의 차이가 없어졌음.
牧·모丹란 芍:샤藥·약·애 蓮련花화ㅣ 尊존貴:귀커· 주005)
모란 샤약애 련화ㅣ 존귀커:
모란 작약보다 연꽃이 존귀하거늘. 여기서 “샤약애”의 토씨 “애”는 “에”와 같은 것으로서 견줌 토씨 ‘보다’의 뜻이 있었음을 알 수 있음. “련화ㅣ”의 토씨 “ㅣ”는 지금말에서 “가”로 바뀌는 임자 토씨임. “존귀커”은 “존귀거”의 줄임꼴로서 ‘존귀하거늘/ 존귀하거니와/ 존귀한데’ 등을 뜻함.
:엇·뎨 주006)
엇뎨:
어찌.
牧·모丹란· 花화王·이라 ··고 주007)
고:
하는가. “고”의 “-고”는 물음말 “어찌, 무엇, 왜, 누구” 등이 있는 월에만 “-가”와 같은 뜻으로 쓰임.
:녜 주008)
녜:
예. 예전.
:님그·미 주009)
님그미:
님금+ㅣ. 임금이.
주010)
곳:
“곶”의 다른 표기. 지금말 “꽃”으로 변함.
심·거 주011)
심거:
심ㄱ-ㅓ. 심어. 이 말의 줄기는 “-다, -고, -” 등처럼 닿소리로 시작하는 씨끝과 “-ㄹ, -리” 등에는 주로 “시므-/ 시-”의 꼴로, “-ㅓ, -ㅗ/ㅜ, -은” 등처럼 홀소리로 시작하는 씨끝에는 “심ㄱ-”의 꼴로 바뀌어 쓰였으나 지금 표준말에서는 “심-”으로 통일된 것임.
·두시·고 곳 보·길 ·즐·기샤· 주012)
즐기샤:
즐기-샤-. 즐기시되.
牧·모丹란· ·츼·여 주013)
츼여:
츼-여. 치우쳐.
··샤 주014)
샤:
+-샤. 사랑하사.
牧·모丹란· 주015)
한:
하-ㄴ. 많은.
곳 中·에 爲위頭·두·타 주016)
위두타:
위두+ㅎ-다. “위두다”의 줄임. ‘우두머리 되다, 으뜸가다’를 뜻함.
·시·니 그·럴· 주017)
그럴:
그러-ㄹ. 그러므로.
일·후·믈 주018)
일후믈:
일훔+을. 이름을.
花화王·이라 ·도·다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할화【세 번 외되 위와 같이 한다.】

“모란화왕함묘향 작약금예체분방 함담홍련동염정 갱생황국상후신”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꽃의 왕 모란은 미묘한 향을 머굼어 있고, 작약의 금빛 꽃술은 몸이 향기롭도다. 봉오리 아름다운 홍련은 더러움이나 깨끗함이 같고, 또 황국을 내어 서리 뒤에 씩씩하도다.【모란 작약보다 연꽃이 존귀한데, 어찌 모란을 화왕이라 하는가? 예전 한 임금이 꽃 심어 두시고 꽃 보길 즐기시되 모란을 치우쳐 사랑하사 ‘모란은 많은 꽃 중에 으뜸간다’ 하시니, 그러므로 이름을 꽃의 왕이라 하도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函:함萏담紅蓮련同染:淨:·이라 ·호· 주019)
호:
ㅎ-ㅗ-ㅁ+. 함은.
古:고德·덕 ·이 닐·오 주020)
닐오:
닐-오-. 이르되. 말하되. “닐-”은 “니르다/ 니다”의 “니르-/ 니-”가 바뀐 꼴임.
 주021)
:
+-ㄴ. 나직한. 낮은.
져·즌 주022)
져즌:
졎-은. 젖은.
· 주023)
:
+. 데라야.
蓮련花화ㅣ ·나·니·라 ·시·니 ·이 淸淨: ·미 주024)
미:
+ㅣ. 마음이.
世:셰間간·애 이·쇼 주025)
이쇼:
이시-ㅗ-. 있으되.
:덞·디 주026)
덞디:
덞-디. 물들지.
아·니·호· ··비[니]

진언권공:14ㄴ

·라
주027)
가비니라:
가비-니-라. 견주는/ 비교하는 것이다.
紅蓮련·은 妙:묘淨:明心심□ [져]즌 ·· 無무明業·업識·식·이·니 同染:淨:·이라 ·호· 妙:묘心심·이 業·업識·식·과 一·일體·톄외요· 주028)
일톄외요:
일톄+외-요-ㅁ+. 일체로움을. “일톄”는 ‘한 몸, 하나’의 뜻으로 “일체”로 변함. “~외-”는 지금말 “참되다”의 “~되-”나 “흥미롭다”의 “~롭-”과 같음.
니·시·고 주029)
니시고:
니-시-고. 이르시고. 말하시고.
黃菊·국·이 霜後:후新신·이라 ·샤 · 주030)
샤:
-샤-ㅁ+. 하심은.
此·心심·이 三삼毒·독 六·륙賊·적·의 惱:노亂:란· 니 ·버·도 주031)
니버도:
닙-ㅓ도. 입어도.
明明 性:·은 改:變:변·티 아·니·호· 니 ·시도·다 주032)
니시도다:
니-시-도다. 이르시도다.

‘봉오리 아름다운 홍련은 더러움이나 깨끗함이 같다’ 함은 옛 큰 어른이 이르되 ‘낮고 젖은 데라야 연꽃이 나는 것이다’ 하시니 이것은 깨끗한 마음이 세상에 있으나 물들지 아니함을 견주는 것이다. 홍련은 미묘하고 깨끗하고 밝은 마음이며(?), 젖은 데는 밝지 못한 업식이니, ‘더러움이나 깨끗함이 같다’ 함은 미묘한 마음이 업식과 하나 같음을 이르시고, ‘황국이 서리 뒤에 새롭다’ 하심은 이 마음이 세 독과 여섯 적의 어지럽힘을 입어도 밝은 본성은 바뀌지 않음을 이르시도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머구멧고:머굼-ㅓ-잇-고. 머금어 있고. 머금었고.
주002)
여의:꽃술.
주003)
조호미:좋-ㅗ-ㅁ-ㅣ. “좋다”는 지금말로 “깨끗하다”와 같으므로 “조호미”는 ‘깨끗함이’라는 뜻임.
주004)
도다:씩씩하도다. “다”는 본디 “씩씩하다”의 옛말인 “싁싁하다”의 작은말이었으나 둘의 차이가 없어졌음.
주005)
모란 샤약애 련화ㅣ 존귀커:모란 작약보다 연꽃이 존귀하거늘. 여기서 “샤약애”의 토씨 “애”는 “에”와 같은 것으로서 견줌 토씨 ‘보다’의 뜻이 있었음을 알 수 있음. “련화ㅣ”의 토씨 “ㅣ”는 지금말에서 “가”로 바뀌는 임자 토씨임. “존귀커”은 “존귀거”의 줄임꼴로서 ‘존귀하거늘/ 존귀하거니와/ 존귀한데’ 등을 뜻함.
주006)
엇뎨:어찌.
주007)
고:하는가. “고”의 “-고”는 물음말 “어찌, 무엇, 왜, 누구” 등이 있는 월에만 “-가”와 같은 뜻으로 쓰임.
주008)
녜:예. 예전.
주009)
님그미:님금+ㅣ. 임금이.
주010)
곳:“곶”의 다른 표기. 지금말 “꽃”으로 변함.
주011)
심거:심ㄱ-ㅓ. 심어. 이 말의 줄기는 “-다, -고, -” 등처럼 닿소리로 시작하는 씨끝과 “-ㄹ, -리” 등에는 주로 “시므-/ 시-”의 꼴로, “-ㅓ, -ㅗ/ㅜ, -은” 등처럼 홀소리로 시작하는 씨끝에는 “심ㄱ-”의 꼴로 바뀌어 쓰였으나 지금 표준말에서는 “심-”으로 통일된 것임.
주012)
즐기샤:즐기-샤-. 즐기시되.
주013)
츼여:츼-여. 치우쳐.
주014)
샤:+-샤. 사랑하사.
주015)
한:하-ㄴ. 많은.
주016)
위두타:위두+ㅎ-다. “위두다”의 줄임. ‘우두머리 되다, 으뜸가다’를 뜻함.
주017)
그럴:그러-ㄹ. 그러므로.
주018)
일후믈:일훔+을. 이름을.
주019)
호:ㅎ-ㅗ-ㅁ+. 함은.
주020)
닐오:닐-오-. 이르되. 말하되. “닐-”은 “니르다/ 니다”의 “니르-/ 니-”가 바뀐 꼴임.
주021)
:+-ㄴ. 나직한. 낮은.
주022)
져즌:졎-은. 젖은.
주023)
:+. 데라야.
주024)
미:+ㅣ. 마음이.
주025)
이쇼:이시-ㅗ-. 있으되.
주026)
덞디:덞-디. 물들지.
주027)
가비니라:가비-니-라. 견주는/ 비교하는 것이다.
주028)
일톄외요:일톄+외-요-ㅁ+. 일체로움을. “일톄”는 ‘한 몸, 하나’의 뜻으로 “일체”로 변함. “~외-”는 지금말 “참되다”의 “~되-”나 “흥미롭다”의 “~롭-”과 같음.
주029)
니시고:니-시-고. 이르시고. 말하시고.
주030)
샤:-샤-ㅁ+. 하심은.
주031)
니버도:닙-ㅓ도. 입어도.
주032)
니시도다:니-시-도다. 이르시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