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진언권공언해

  • 역주 진언권공언해
  • 육법공양(六法供養)
  • 향화게(香花偈)
메뉴닫기 메뉴열기

향화게(香花偈)


화:게

香花偈

:원·화:변·십 :이위미:묘

진언권공:60ㄱ

졔텬음·악텬:보
졔텬효:션텬:보의 ·블:가:의:묘·법딘 ·일·일딘·츌·일·쳬딘
·일·일딘·츌·일:쳬·법 션:뎐무:애:호엄 :변·지·일·쳬삼:보젼

진언권공:60ㄴ

:유:아신슈: ·십·법:계삼:보젼 ·일·일·실:변·법:계
:피:피무·잡무::애 :진:미:졔·작·불: :보훈·일·쳬졔:
훈·발보리심 ·무:·불·디 ::이귀:삼:보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願此香花徧十方 以爲微妙光明臺 諸天音樂天寶香
諸天餚饍天寶衣 不可思議妙法塵 一一塵出一切塵
一一塵出一切法 旋轉無碍互藏嚴 徧至一切三寶前
十方法界三寶前 皆有我身修供養 一一皆悉徧法界
彼彼無雜無障碍 盡未來際作佛事 普熏一切諸衆生
蒙熏皆發菩提心 同入無生證佛智【一·일拜:】供養已歸命三寶

향화게

“원차향화편십방 이위미묘광명대 제천음악천보향 제천효선천보의
불가사의묘법진 일일진출일체진 일일진출일체법 선전무애호장엄
편지일체삼보전 십방법계삼보전 개유아신수공양 일일개실편법계
피피무잡무장애 진미래제작불사 보훈일체제중생 몽훈개발보제심
동입무생증불지【일배】공양이귀명삼보”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진언권공:61ㄱ

願:원··오· ·이 香花화ㅣ 十·십方·애 ··야 微미妙:묘 光明臺ㅣ ·외·야 諸졔天텬ㅅ 音음樂·악·과 :보· 香·과 諸졔天텬ㅅ :됴 ·차반 주001)
차반:
음식.
·과 :보· ·옷·과 어·루 주002)
어루:
이루.
思量··야 주003)
야:
생각하여.
:혜·아리·디 주004)
혜아리디:
혜+알+ㅣ-디. 세어 알게 하지, 헤아리지.
:몯·홀 微미妙:묘 法·법·엣 듣글 주005)
듣글:
티끌.
·와 낫:낫 주006)
낫낫:
낫+낫. 낱낱이. “낫”은 “낯”(알)을 달리 적은 꼴임.
듣그·레·셔 一·일切·쳬ㅅ 듣그·를 :내·며 낫:낫 듣그·레·셔 一·일切·쳬ㅅ 法·법·을 :내·야 횟도 ·라 주007)
횟도라:
회+ㅅ+돌-ㅏ. 휘돌아, 휘어 돌아.
올·모·미 주008)
올모미:
옮-ㅗ-ㅁ~ㅣ. 옮음이.

진언권공:61ㄴ

·룜 주009)
룜:
리-ㅗ-ㅁ. 가림.
:업·서 서르 莊嚴엄··와 一·일切·쳬 三삼寶:보ㅅ 앏·과 주010)
앏과:
앏~과. 앞과. “앏”은 “앒”(〉앞)을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꼴임.
十·십方 法·법界:계·옛 三삼寶:보ㅅ 알· 주011)
알:
앒~. 앞에.
:다 니·르러 주012)
니르러:
니를-ㅓ. 이르러.
:다 내 ·모·미 ·가 供養:··오· 닷·가 주013)
닷가:
닷ㄱ-ㅏ. 닦아.
낫:나·치 :다 法·법界:계·예 ··오· ·뎌·와 ·뎌 ·왜 섯·굼 주014)
섯굼:
섯ㄱ-ㅜ-ㅁ. 섞음, 섞임.
:업스·며 ·룜 :업·서 未:미來ㅅ :· 다·게 주015)
다게:
다-게. 다하게.
佛·불事:· 니르와·다 주016)
니르와다:
닐+ㅡ+왇-ㅏ. 일으켜.
너·비 一·일切쳬·옛 여·러 衆:生· :·야 주017)
야:
-야. 쬐어.
:요· 주018)
요:
-요-ㅁ~. 쬠을.
니·버 주019)
니버:
닙-ㅓ. 입어.
:다

진언권공:62ㄱ

菩보提리心심·을 發·발··야 生滅·멸 :업슨 · 가·지·로 ·드·러 부텻 智·디· 證:·케 ·야 ·지·다【 번 ·저·오·라】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원하오되 이 향기로운 꽃이 시방에 가득하여 미묘한 광명대가 되어 뭇 하늘의 음악과 보배로운 향과 뭇 하늘의 좋은 음식과 보배로운 옷과 이루 생각하여 헤아리지 못할 미묘한 법의 티끌과 낱낱의 티끌에서 일체의 티끌을 내며 낱낱의 티끌에서 일체의 법을 내어 휘돌아 옮음이 가림 없어 서로 장식하여 일체 삼보의 앞과 시방 법계의 삼보 앞에 다 이르러 다 내 몸이 가서 공양하옴을 닦아 낱낱이 다 법계에 가득하오되 저와 저가 섞음 없으며 가림 없어 미래의 끝이 다하도록 불사를 일으켜 다 널리 일체의 여러 중생을 쬐어 쬠을 입어 다 보리심을 내어 죽살이 없는 곳에 한가지로 들어 부처의 지혜를 증험하게 하여 지이다.【한 번 삼가 절하라.】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화운 :변:만·십:계 :·일·쳬·불 존·법졔보·살
연·각문: :이·긔 :과어무변:계 무변·불·토
:슈:·작·불: :보훈졔: ·발보리심 ::이·일·쳬삼:보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願此香花雲 徧滿十方界 供養一切佛 尊法諸菩薩
緣覺聲聞衆 以起光明臺

진언권공:62ㄴ

過於無邊界 無邊佛土中
受用作佛事 普熏諸衆生 皆發菩提心【拜:】供養已一切三寶

“원차향화운 편만십방계 공양일체불 존법제보살
연각성문중 이기광명대 과어무변계 무변불토중
수용작불사 보훈제중생 개발보제심【배】공양이일체삼보”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願:원··오· ·이 香花화ㅣ ·구룸 ···야 十·십方 法·법界:계·예 ··야 一·일切·쳬佛·불·와 尊존··신 法·법·과 諸졔菩보

진언권공:63ㄱ

薩·살·와 緣연覺·각聲聞문衆:· 供공養:··오·며 光明臺· 니르와·다 ::업·슨 주020)
업슨:
+없-은. 가없는, 무한한.
法·법界:계·와 ::업·슨 佛·불土·토 中·에 ·가 受:슈用: ··야 주021)
슈야:
받아 써서, 쓸 것을 받아.
佛·불事:· 니르와·다 諸졔衆:生·을 너·비 : ·야 :다 菩보提리心심·을 發·발·케 ·야 ·지·다

원하오되 이 향기로운 꽃이 구름 같아서 시방 법계에 가득하여 일체 부처와 존귀하신 법과 뭇 보살과 연각 성문 무리께 공양하오며, 광명대를 일으켜 다 가없는 법계와 가없는 불토 가운데 가 쓸 것을 받아 불사를 일으켜 뭇 중생을 널리 쬐어 다 보리심을 내게 하여 지이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0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차반:음식.
주002)
어루:이루.
주003)
야:생각하여.
주004)
혜아리디:혜+알+ㅣ-디. 세어 알게 하지, 헤아리지.
주005)
듣글:티끌.
주006)
낫낫:낫+낫. 낱낱이. “낫”은 “낯”(알)을 달리 적은 꼴임.
주007)
횟도라:회+ㅅ+돌-ㅏ. 휘돌아, 휘어 돌아.
주008)
올모미:옮-ㅗ-ㅁ~ㅣ. 옮음이.
주009)
룜:리-ㅗ-ㅁ. 가림.
주010)
앏과:앏~과. 앞과. “앏”은 “앒”(〉앞)을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꼴임.
주011)
알:앒~. 앞에.
주012)
니르러:니를-ㅓ. 이르러.
주013)
닷가:닷ㄱ-ㅏ. 닦아.
주014)
섯굼:섯ㄱ-ㅜ-ㅁ. 섞음, 섞임.
주015)
다게:다-게. 다하게.
주016)
니르와다:닐+ㅡ+왇-ㅏ. 일으켜.
주017)
야:-야. 쬐어.
주018)
요:-요-ㅁ~. 쬠을.
주019)
니버:닙-ㅓ. 입어.
주020)
업슨:+없-은. 가없는, 무한한.
주021)
슈야:받아 써서, 쓸 것을 받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