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진언권공언해

  • 역주 진언권공언해
  • 육법공양(六法供養)
  • 찬과(讃果)
메뉴닫기 메뉴열기

찬과(讃果)


:잔:과

讃果

·복·디시금:이·슉 심화·결:쳐· ::쳠:어원츈 ·딕:하:원보·살:과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福地栽時今已熟 心花結處自然成 就中常占御園春 直下共圓菩薩果

찬과

“복지재시금이숙 심화결처자연성 취중상점어원춘 직하공원보살과”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진언권공:47ㄴ

福·복地·디·예 시믈 ·제 ·셔 주001)
셔:
벌써.
니·겟·고 주002)
니겟고:
닉-ㅓ+잇-고. 익어 있고.
心심花화ㅣ  · 주003)
:
-. 맺을.
·제 自·然·히 :이도·다 주004)
이도다:
이-도-다. 일도다. 이루어 지도다. “이-”는 “일다”의 ㄹ 벗어난 줄기임.
·이 中·에 恒常 御:어園원春츈·을 가·졧·니 주005)
가졧니:
가지-ㅓ+잇--니. 가지고 있으니.
바 菩보薩·살果:과·와 가·지·로 圓원滿:만·도·다【御:어園원春츈·은 仙션間간·이라 福·복地·디·예 시믈 ·제 ·셔 닉·다 ·호· 本·본來 生熟·슉 :업·슨 ·고· 주006)
고:
곧~. 것을.
나토시·고 心심花화 · 제 自·然·히 :아다 ·호· 花화·와 果:과·왜 同時시 ·호· 니·시고 就:中常占:졈御:어園원春츈·이라 샤· 本·본來 生滅·멸 :업소 니·시고 直·딕下:하 云운云운·은 衆:

진언권공:48ㄱ

生·이 本·본具:구性:德·덕 ·야 菩보薩·살·로 同동一·일妙:묘體·톄 ·호 니·시도·다】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복지에 심을 때 벌써 익었고 심화가 맺힐 때 자연히 되도다. 이 중에 항상 어원춘을 가지고 있으니, 바로 보살과와 한가지로 원만하도다.【어원춘은 선계이다. 복지에 심을 때 벌써 익었다 함은 본래 날 것과 익은 것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시고, 심화 맺힐 때 자연히 된다 함은 꽃과 열매가 동시에 됨을 이르시고, 이 중에 항상 어원춘을 가졌다 하심은 본래 나고 죽음이 없음을 이르시고 바로 운운은 중생이 본래 성덕이 있어 보살과 묘체를 같이함을 이르시도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셔:벌써.
주002)
니겟고:닉-ㅓ+잇-고. 익어 있고.
주003)
:-. 맺을.
주004)
이도다:이-도-다. 일도다. 이루어 지도다. “이-”는 “일다”의 ㄹ 벗어난 줄기임.
주005)
가졧니:가지-ㅓ+잇--니. 가지고 있으니.
주006)
고:곧~. 것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