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진언권공언해

  • 역주 진언권공언해
  • 작법 절차(作法節次)
  • 할향(喝香)
메뉴닫기 메뉴열기

할향(喝香)


·할 주001)
할향(喝香):
할(喝)은 ‘찬탄하다. 알리다’의 의미로서, 모든 경을 독송할 때 시작하는 게송인데, 정성껏 올리는 한 조각의 향의 덕을 찬탄함으로써 불보살님과 대중에게 시작을 알리는 부분이다.

喝香

·옥부·샥산:셔: 금로·셜:쳐:셰연 료텬:비·공·실요문 :계::혜훈·법:계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玉斧削成山勢聳 金爐爇處瑞燃濃 撩天鼻

진언권공:9ㄴ

孔悉遙聞 戒定慧香熏法界

할향

“옥부삭성산세용 금로설처세연농 요천비공실요문 계정혜향훈법계”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玉·옥 :도최 주002)
도최:
도끼.
·로 갓·가 주003)
갓가:
갓ㄱ-ㅏ. “갓ㄱ다”는 오늘의 “깎다”로 변한 것임.
··니 주004)
니:
-니. “-”는 “다”의 ㄹ 벗어난 줄기임. “다”는 지금말의 사투리 “맹글다”로 변한 것이며, ‘만들다’의 뜻임.
山산· · 주005)
:
-ㅣ. “”(樣子)는 ‘모양, 모습’을 뜻함. “-ㅣ”는 임자 토씨 “이”로서 두루 쓰였으나 16세기부터 홀소리 아래서는 “가”로 바뀌기 시작함.
·티·와 주006)
티와:
티-왇-. “티-”는 지금말의 “치-”로 변한 것이며, “왇-”은 “받-”과 같은 말로서 ‘충돌하-’란 뜻임.
· ·고 金금爐로·애 · 주007)
:
사를. “다”는 지금말 “사르다”로 변한 것임.
저·긔 祥瑞:셰왼 주008)
셰(祥瑞)왼:
상서로운.
· 주009)
:
내. 냄새.
두:텁도·다 주010)
두텁도다:
짙도다.
하·해 주011)
하해:
하ㅎ-ㅐ. 하늘에.
다 주012)
다:
다-. 다닫는. 닿는.
·고히· 주013)
고히:
곻-ㅣ-. 코라야.
:다 ·아·라·히 주014)
아라히:
아스라히. 아득하게.
듣·니 주015)
듣니:
듣--니. 듣는 것이니. “냄새를 듣는다”는 ‘냄새를 맡는다’는 뜻임.
戒:계定:慧:혜香·이 法·법界:계· :놋·다 주016)
놋다:
-놋-다. 쬐는구나.
【玉·옥 :도최·로 갓·가 ··니 山산· · ·티·와 ··다 ·호· 淸淨 智·디慧:혜ㅅ ··로 주017)
로:
-로. 마음으로.
煩번惱:노· ·긋고 주018)
긋고:
긋-고. “긋-”은 “긏-”을 소리나는 대로 적은 꼴. “긏-”은 지금말 “그치-”로 변한 것임.
身신中·엣 놉·고 주019)
놉고:
놉-고. “놉-”은 “높-”을 소리나는 대로 적은 꼴.
·큰 眞진如 法·법身신 일·우·믈 주020)
일우믈:
일-우-ㅁ-을. 이룸을.
가··비니·라 주021)
가비니라:
가비-니-라. 비교하니라.
金금爐로·애 · 저·긔

진언권공:10ㄱ

祥瑞:셰왼 · 두:텁·다 ·호· 주022)
호:
ㅎ-ㅗ-ㅁ-. 함은.
道:도 닷· 주023)
닷:
닷ㄱ-. 닦을. “닷ㄱ-”는 지금말 “닦-”으로 변한 것임.
:사·미 ·모·로 香爐로 :삼·고 法·법·으·로 주024)
블:
지금말의 “불.”
사·마 無무漏:루 法·법香· 퓌·우··니 주025)
퓌우니:
퓌우--니. 피우나니.
·이· 世:셰間간·앳 얼굴 주026)
얼굴:
얽-울. ‘모습’이란 뜻임.
잇 주027)
잇:
잇--ㄴ. 있는. “잇-”은 닿소리로 시작하는 씨끝 앞에 쓰이고, 홀소리로 시작하는 씨끝 앞에는 “이시-”가 쓰임.
香·이 아·니·라 微미妙:묘 正:法·법·엣 香·일· 여·러 가·짓 :더·러운 거·슬 :·여 주028)
여:
-여. 쬐여. “다”는 지금말 “쬐다”로 변한 것임.
無무明 惡·악業·업·을 그·처 주029)
그처:
긏-ㅓ. 끊어. “긏다”는 지금말 “그치다”나 “끊다”로 변한 것임.
·릴시·라 주030)
릴 시라:
버린다는 말이다. “리다”는 지금말 “버리다”로 변한 것임. “-ㄹ 시라”는 ‘~한다는 말이다’라는 뜻임.
하··해 주031)
하해:
하ㅎ-ㅐ. 하늘에. “하”은 지금말 “하늘”로 변한 것으로 본래 ㅎ 소리로 끝나는 말이었음.
다 주032)
다:
다--. “다다”는 지금말 “다닫다” 또는 “다다르다”로 변한 것이며, ‘닿다, 이르다, 미치다’라는 뜻임. “다닫다”가 ㄷ벗어난 움직씨로서 “다달은, 다달아, 다달았다” 등으로 끝바꿈한 것을 “다다른, 다다라, 다다랐다” 등으로 오인하고 이끌어 낸 것이 “다다르다”임.
·고히· ·아 ·라·히 듣:다 ·호· ·이 心심香·이 十·십方·애  · 주033)
:
-ㄹ. 가득하므로.
鼻:비根근·이 淸淨: 功德·덕 得·득 :사·미 · 주034)
사미:
사-ㅣ-. 사람이라야.
:다 아·라 드르·리·니 주035)
아라드르리니:
알-ㅏ+들-ㅡ리-니. 알아들을 것이니.
·고·로 주036)
고로:
곻-로. 코로.
듣·다 ·호· 六·륙根근 서르 주037)
서르:
서로.
·미·라 주038)
미라:
ㅄ-ㅜ-ㅁ-ㅣ-라. 씀이라. “ㅄ-”은 “-”의 으 벗어난 꼴이며, 이름꼴 씨끝 “-ㅁ” 앞에는 16세기까지 “-오-, -우-; -요-, -유-”가 끼어 들었음.
戒:계定:慧:혜香·이 法·법界:계·예 :다 ·호· 正: 法·법·엣 香·이 다· 주039)
다:
다섯.
가·지 잇·니 주040)
잇니:
잇--니. 있으니.
나 · 주041)
나:
낳-. 하나는.
戒:계香·이·니 能·히 여·러 가·짓 惡·악·을 긋·고 善 :션·을 닷·시·오 주042)
닷 시오:
닷ㄱ- ㅅ-ㅣ-오. 닦는다는 말이오.
둘·흔 주043)
둘흔:
둘ㅎ-은. 둘은.
定:香·이·니 大:대乘法

진언권공:10ㄴ

·법 ·을 · 주044)
:
-. 가장. “”은 “, ” 등과 더불어 지금말 “가”로 변한 것임.
信:신··야 ·매 退:퇴轉:뎐티 아·니·시·오 :세·흔 주045)
세흔:
셓-은. 셋은.
慧:혜香·이·니 ·녜 주046)
녜:
늘.
□·과 ·매 주047)
매:
-ㅐ. 마음에.
內:外:외· ·필 주048)
필:
피-ㄹ. 살필.
시·오 :네·흔 주049)
네흔:
넿-은. 넷은.
解:하脫·탈香·이·니 能·히 無무明·에 ·요· 주050)
요:
-요-ㅁ-. 매임을.
그·츨시·오 주051)
그츨 시오:
긏-을#ㅅ-ㅣ-오. 그친다는 말이오. 끊는다는 말이오.
다·· 解:하脫·탈智디見:견香 ·이·니 아·라 ·표·미 :녜 ·가 주052)
가:
-아. 밝아.
通達·달··야 ·룜 주053)
룜:
리-ㅗ-ㅁ. 가림. 막음.
:업·슬시·라】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옥 도끼로 깎아 만드니 산의 모습이 치받은 듯 하고, 금 화로에 사를 적에 상서로운 냄새가 짙도다. 하늘에 다닫는 코라야 다 아스라히 듣나니, 계향, 정향, 혜향이 법계를 쬐는구나.【“옥 도끼로 깎아 만드니 산의 모습이 치받은 듯 하다” 함은 청정한 지혜의 마음으로 번뇌를 그치고 몸 안에 높고 큰 진여 법신 이룸을 비유한 것이다. “금 화로에 사를 적에 상서로운 냄새가 짙도다” 함은 도 닦을 사람이 몸으로 향로 삼고 법으로 불 삼아 번뇌 없는 법향을 피우는 것이니 이는 세상의 모양 있는 향이 아니라 미묘한 정법의 향이므로 여러 가지 더러운 것을 쬐여 무명 악업을 그치어 버린다는 말이다. “하늘에 다닫는 코라야 아스라히 듣는다” 함은 심향이 십방에 가득하므로 코 뿌리가 청정한 공덕을 얻은 사람이라야 다 알아들을 것이니, 코로 듣는다 함은 육근이 서로 쓰는 것이다. “계향, 정향, 혜향이 법계에 쬔다” 함은 바른 법의 향이 다섯 가지 있으니, 하나는 계향이니 능히 여러 가지 악을 그치고 선을 닦는다는 말이고, 둘은 정향이니 대승법을 가장 믿어 마음에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말이며, 셋은 혜향이니 늘 (몸?)과 마음에 안팎을 살핀다는 말이며, 넷은 해탈향이니 능히 무명에 매임을 그친다는 말이며, 다섯은 해탈지견향이니 알아서 살핌이 늘 밝고 통달하여 가림이 없다는 말이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할향(喝香):할(喝)은 ‘찬탄하다. 알리다’의 의미로서, 모든 경을 독송할 때 시작하는 게송인데, 정성껏 올리는 한 조각의 향의 덕을 찬탄함으로써 불보살님과 대중에게 시작을 알리는 부분이다.
주002)
도최:도끼.
주003)
갓가:갓ㄱ-ㅏ. “갓ㄱ다”는 오늘의 “깎다”로 변한 것임.
주004)
니:-니. “-”는 “다”의 ㄹ 벗어난 줄기임. “다”는 지금말의 사투리 “맹글다”로 변한 것이며, ‘만들다’의 뜻임.
주005)
:-ㅣ. “”(樣子)는 ‘모양, 모습’을 뜻함. “-ㅣ”는 임자 토씨 “이”로서 두루 쓰였으나 16세기부터 홀소리 아래서는 “가”로 바뀌기 시작함.
주006)
티와:티-왇-. “티-”는 지금말의 “치-”로 변한 것이며, “왇-”은 “받-”과 같은 말로서 ‘충돌하-’란 뜻임.
주007)
:사를. “다”는 지금말 “사르다”로 변한 것임.
주008)
셰(祥瑞)왼:상서로운.
주009)
:내. 냄새.
주010)
두텁도다:짙도다.
주011)
하해:하ㅎ-ㅐ. 하늘에.
주012)
다:다-. 다닫는. 닿는.
주013)
고히:곻-ㅣ-. 코라야.
주014)
아라히:아스라히. 아득하게.
주015)
듣니:듣--니. 듣는 것이니. “냄새를 듣는다”는 ‘냄새를 맡는다’는 뜻임.
주016)
놋다:-놋-다. 쬐는구나.
주017)
로:-로. 마음으로.
주018)
긋고:긋-고. “긋-”은 “긏-”을 소리나는 대로 적은 꼴. “긏-”은 지금말 “그치-”로 변한 것임.
주019)
놉고:놉-고. “놉-”은 “높-”을 소리나는 대로 적은 꼴.
주020)
일우믈:일-우-ㅁ-을. 이룸을.
주021)
가비니라:가비-니-라. 비교하니라.
주022)
호:ㅎ-ㅗ-ㅁ-. 함은.
주023)
닷:닷ㄱ-. 닦을. “닷ㄱ-”는 지금말 “닦-”으로 변한 것임.
주024)
블:지금말의 “불.”
주025)
퓌우니:퓌우--니. 피우나니.
주026)
얼굴:얽-울. ‘모습’이란 뜻임.
주027)
잇:잇--ㄴ. 있는. “잇-”은 닿소리로 시작하는 씨끝 앞에 쓰이고, 홀소리로 시작하는 씨끝 앞에는 “이시-”가 쓰임.
주028)
여:-여. 쬐여. “다”는 지금말 “쬐다”로 변한 것임.
주029)
그처:긏-ㅓ. 끊어. “긏다”는 지금말 “그치다”나 “끊다”로 변한 것임.
주030)
릴 시라:버린다는 말이다. “리다”는 지금말 “버리다”로 변한 것임. “-ㄹ 시라”는 ‘~한다는 말이다’라는 뜻임.
주031)
하해:하ㅎ-ㅐ. 하늘에. “하”은 지금말 “하늘”로 변한 것으로 본래 ㅎ 소리로 끝나는 말이었음.
주032)
다:다--. “다다”는 지금말 “다닫다” 또는 “다다르다”로 변한 것이며, ‘닿다, 이르다, 미치다’라는 뜻임. “다닫다”가 ㄷ벗어난 움직씨로서 “다달은, 다달아, 다달았다” 등으로 끝바꿈한 것을 “다다른, 다다라, 다다랐다” 등으로 오인하고 이끌어 낸 것이 “다다르다”임.
주033)
:-ㄹ. 가득하므로.
주034)
사미:사-ㅣ-. 사람이라야.
주035)
아라드르리니:알-ㅏ+들-ㅡ리-니. 알아들을 것이니.
주036)
고로:곻-로. 코로.
주037)
서르:서로.
주038)
미라:ㅄ-ㅜ-ㅁ-ㅣ-라. 씀이라. “ㅄ-”은 “-”의 으 벗어난 꼴이며, 이름꼴 씨끝 “-ㅁ” 앞에는 16세기까지 “-오-, -우-; -요-, -유-”가 끼어 들었음.
주039)
다:다섯.
주040)
잇니:잇--니. 있으니.
주041)
나:낳-. 하나는.
주042)
닷 시오:닷ㄱ- ㅅ-ㅣ-오. 닦는다는 말이오.
주043)
둘흔:둘ㅎ-은. 둘은.
주044)
:-. 가장. “”은 “, ” 등과 더불어 지금말 “가”로 변한 것임.
주045)
세흔:셓-은. 셋은.
주046)
녜:늘.
주047)
매:-ㅐ. 마음에.
주048)
필:피-ㄹ. 살필.
주049)
네흔:넿-은. 넷은.
주050)
요:-요-ㅁ-. 매임을.
주051)
그츨 시오:긏-을#ㅅ-ㅣ-오. 그친다는 말이오. 끊는다는 말이오.
주052)
가:-아. 밝아.
주053)
룜:리-ㅗ-ㅁ. 가림. 막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