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진언권공언해

  • 역주 진언권공언해
  • 작법 절차(作法節次)
  • 할촉(喝燭)
메뉴닫기 메뉴열기

할촉(喝燭)


·할·쵹

喝燭【副:부咽인噵:도獨·독立·립云운云운 如上:】

·달마뎐위:계·활  주001)
:
종사. 종파의 창설자.
:·쵹 주002)
쵹:
초.
·작가 ·쇽·블·멸 ::류:진·조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達摩傳燈爲計活 宗師秉燭作家風 燈燈相

진언권공:12ㄱ

續方不滅 代代流通振祖宗

達·달摩마ㅣ 禪션燈 주003)
션:
선방의 등불 곧 우두머리.
·을 傳뎐得·득 주004)
뎐득:
상속. 물려받음.
··샤 計:계活·활 주005)
계활:
생계. 살림살이.
·을 :사·시·고 주006)
사시고:
삼-시-고. 삼으시고.
宗師ㅣ 燭·쵹·을 자·샤 家가風 주007)
가:
집안의 기풍, 질서.
·을 :사·시도·다 燈 燈·이 서르 주008)
서르:
서로.
니· 주009)
니:
-ㅓ. 이어. “닛다”의 “닛-”은 홀소리 씨끝 앞에서 “-”으로 변동하며, 지금말 “잇다”는 같은 조건에서 “이-”로 변동하는 것임.
반·기 주010)
반기:
반듯하게.
··디 주011)
디:
끄지.
아·니·야 代:代:·예 주012)
예:
대대로.
흘·러 通行·야 祖·조宗 주013)
조:
조사의 종지. 종파의 으뜸가는 교리.
·을 :놋·다 주014)
놋다:
-놋-다. 떨치는구나. “-”는 “다”의 “-”이 ㄴ, ㄷ 등 앞에서 ㄹ을 잃은 꼴임. “다”는 지금말 “떨다”로 변한 것으로서 ‘떨다, 떨어 드러내다’ 등을 뜻함. “-놋다”는 지금말로 “-는구나”와 같이 느낌을 나타냄.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할촉【다음으로, 외면서 홀로 서서 위와 같이 한다.】

“달마전등위계활 종사병촉작가풍 등등상속방불멸 대대유통진조종”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달마가 선방의 등을 물려받으사 살림살이를 삼으시고, 종사가 촛대를 잡으사 전통을 이루시도다. 등과 등이 서로 이어 반드시 끄지 아니하여 대대로 흘러 통해서 조사의 종지를 떨치는구나.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世:셰間간 주015)
셰간:
세상.
·앳 :사· 金금銀은玉·옥帛· 주016)
금은옥:
금, 은, 옥, 비단 등의 온갖 재물.
· 父·부母:모· 주017)
부모:
부모께. 부모한테.
傳뎐受:슈·야 주018)
뎐슈야:
전수하여. 물려받아.
一·일生 사·롤:이· 주019)
사롤일:
살-ㅗ-ㄹ-일. 생계.
:삼거·든 達·달摩마 祖·조師 주020)
조:
조사. “종”와 같음.
· 燈 : 주021)
:
뿐.
傳뎐得

진언권공:12ㄴ

·득··샤 :자·내 주022)
자내:
몸소. 스스로.
世:셰間간 사·롤:이· :사·시놋·다 주023)
사시놋다:
삼-시-놋-다. 삼으시는구나.
:녯 주024)
녯:
녜+ㅅ. “녜”는 지금말 “예로부터, 예나 이제나” 등의 “예”로 변한 것이며, “ㅅ”은 “녜”의 매김 기능을 힘주기 위해 덧붙인 것임.
:사·미 닐·오· 주025)
닐오:
닐-오-. 이르되. “닐-”은 “니르다”의 “니르-”가 “-어, -오-” 등의 특정한 씨끝 앞에서 바뀐 것이며, “니르다”는 지금말 “이르다”(말하다)로 변한 것임.
山산僧 주026)
산:
산 속의 절에서 수행하는 중.
·의 사·리 주027)
사리:
살+ㅣ. 살기, 살림살이.
· 茶다 :세 그·르시·라 ·니 達·달摩마祖·조師ㅅ 사·리· 茶다 :세 그·르세·도 :몯 주028)
몯:
못.
미츠·시·니 주029)
미츠시니:
및-ㅡ시-니. 미치시니. “및다”는 지금말 “미치다”로 변한 것임.
:해 주030)
해:
하+ㅣ. 많이, 아주. “하다”는 ‘많다, 크다, 높다’ 등을 뜻하므로, “해”는 ‘많이, 크게, 높이’ 등을 뜻함.
淸淨: 快·쾌樂·락··시도·다 燈 燈·이 서르 니· ··디 아·니·야 代:代:·예 흘·러 通·야 祖 ·조師ㅅ 宗旨·지· :다 ·호· 菩보提리ㅅ  주031)
:
마음.
 ·고·미 주032)
고미:
-ㅗ-ㅁ~ㅣ. 밝음이. 여기 포함된 “-ㅗ-”는 이름꼴 “-ㅁ”에 앞서는 것이나 아무 뜻이나 기능이 없음.
燈 ·티 주033)
티:
+ㅣ. 같이.
·가 ··디 아·니·야 :사:마·다 제 分:분·에 나·타 주034)
나타:
낱-ㅏ. 나타나. “낱다”는 지금말 “나타나다”와 뜻이 같으나, “나타나다”는 “낱다”의 바뀜꼴 “나타”에 “나다”를 합쳐 만든 것임.
分분明·도·다】

【세상 사람은 재물을 부모한테 물려받아 일생 살림살이를 삼거니와, 달마 조사는 오직 등만을 물려받으사 몸소 세상 살림살이를 삼으시는구나. 옛 사람이 이르되, 산승의 살림은 차 세 그릇이라 하니, 달마 조사의 살림은 차 세 그릇에도 못 미치시니, 아주 깨끗하고 즐거우시도다. ‘등과 등이 서로 이어 끄지 아니하여 대대로 흘러 통해서 조사의 으뜸 교리를 떨친다’ 함은 보리 마음의 밝음이 등 같이 밝아 끄지 아니하여 사람마다 제 분수에 나타나 분명하도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종사. 종파의 창설자.
주002)
쵹:초.
주003)
션:선방의 등불 곧 우두머리.
주004)
뎐득:상속. 물려받음.
주005)
계활:생계. 살림살이.
주006)
사시고:삼-시-고. 삼으시고.
주007)
가:집안의 기풍, 질서.
주008)
서르:서로.
주009)
니:-ㅓ. 이어. “닛다”의 “닛-”은 홀소리 씨끝 앞에서 “-”으로 변동하며, 지금말 “잇다”는 같은 조건에서 “이-”로 변동하는 것임.
주010)
반기:반듯하게.
주011)
디:끄지.
주012)
예:대대로.
주013)
조:조사의 종지. 종파의 으뜸가는 교리.
주014)
놋다:-놋-다. 떨치는구나. “-”는 “다”의 “-”이 ㄴ, ㄷ 등 앞에서 ㄹ을 잃은 꼴임. “다”는 지금말 “떨다”로 변한 것으로서 ‘떨다, 떨어 드러내다’ 등을 뜻함. “-놋다”는 지금말로 “-는구나”와 같이 느낌을 나타냄.
주015)
셰간:세상.
주016)
금은옥:금, 은, 옥, 비단 등의 온갖 재물.
주017)
부모:부모께. 부모한테.
주018)
뎐슈야:전수하여. 물려받아.
주019)
사롤일:살-ㅗ-ㄹ-일. 생계.
주020)
조:조사. “종”와 같음.
주021)
:뿐.
주022)
자내:몸소. 스스로.
주023)
사시놋다:삼-시-놋-다. 삼으시는구나.
주024)
녯:녜+ㅅ. “녜”는 지금말 “예로부터, 예나 이제나” 등의 “예”로 변한 것이며, “ㅅ”은 “녜”의 매김 기능을 힘주기 위해 덧붙인 것임.
주025)
닐오:닐-오-. 이르되. “닐-”은 “니르다”의 “니르-”가 “-어, -오-” 등의 특정한 씨끝 앞에서 바뀐 것이며, “니르다”는 지금말 “이르다”(말하다)로 변한 것임.
주026)
산:산 속의 절에서 수행하는 중.
주027)
사리:살+ㅣ. 살기, 살림살이.
주028)
몯:못.
주029)
미츠시니:및-ㅡ시-니. 미치시니. “및다”는 지금말 “미치다”로 변한 것임.
주030)
해:하+ㅣ. 많이, 아주. “하다”는 ‘많다, 크다, 높다’ 등을 뜻하므로, “해”는 ‘많이, 크게, 높이’ 등을 뜻함.
주031)
:마음.
주032)
고미:-ㅗ-ㅁ~ㅣ. 밝음이. 여기 포함된 “-ㅗ-”는 이름꼴 “-ㅁ”에 앞서는 것이나 아무 뜻이나 기능이 없음.
주033)
티:+ㅣ. 같이.
주034)
나타:낱-ㅏ. 나타나. “낱다”는 지금말 “나타나다”와 뜻이 같으나, “나타나다”는 “낱다”의 바뀜꼴 “나타”에 “나다”를 합쳐 만든 것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