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진언권공언해

  • 역주 진언권공언해
  • 염향(拈香)
  • 유해진언(乳海眞言)
메뉴닫기 메뉴열기

유해진언(乳海眞言)


::진언

진언권공:39ㄴ

乳海眞言

나무삼:만다·모다남:옴:밤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南謨三滿多母駄喃唵鑁【七·칠遍:변】

유해진언

나무삼만다모다남옴밤【일곱 번 왼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가디:이·홀 :딘 :원·위:하·탈디:견 :원·위·반:·디 :원··슈위감·로뎨호 :원··식위·법:희션·열 :내·지·번화·호·렬다·과교딘 ·즉:셰:뎨지엄 :묘·법지: 비:소·젹 ::혜:소훈 :이·슈·특신: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上來加持已訖 供養將陳 願此香爲解脫知見願 此燈爲般若智光 願此水爲甘露醍醐

진언권공:40ㄱ

願此食爲法喜禪悅 乃至幡花互列茶果交陳 卽世諦之莊嚴 成妙法之供養 慈悲所積 定慧所熏 以此香羞特伸供養

“상래가지 이흘공양장진 원차향위 해탈지견원 차등위반약지광 원차수위 감로제호원 차식위법희선열 내지번화호열 차과교진 즉세체지장엄 성묘법지공양 자비소적 정혜소훈 이차향수 특신공양”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우·희 주001)
우희:
웋~ㅢ. 위에.
·오· 주002)
오:
오--. 오옵는.
加가持디· ·마 ·와 주003)
와:
-오-ㅏ. 마치어. “-”은 “다”(〉마치다)의 “-”을 달리 적은 꼴임.
供養:· ·펴·오리·니 願:원··오· ·이 香·이 解:하脫·탈香·과 知디見:견香

진언권공:40ㄴ

·괘 외·시며 願:원··오· ·이 燈·이 般·반若: 智·디慧:혜ㅅ 光明·이 외·시며 願:원··오· ·이 ·므리 甘감露:로 醍뎨醐호 주004)
제호:
우유로 만든 음료.
ㅣ 외·시며 願:원··오· ·이 ·바비 法·법喜:희 禪션悅·열·이 외·시며 幡·번·과 곳·괘 주005)
곳괘:
곳~과+ㅣ. 꽃이. “곳”은 “곶”(〉꽃)을 달리 적은 꼴임.
섯·거 주006)
섯거:
섯ㄱ-ㅓ. 섞여. “섯ㄱ-”은 “섯ㄱ다”(〉섞다)의 줄기임.
:벌며 茶다·와 菓:과·왜 서르 :버료·매 주007)
버료매:
벌+ㅣ-ㅗ-ㅁ~ㅐ. 벌임에.
니·르리 주008)
니르리:
니를+ㅣ. 이르도록. “니를다”는 지금말 “이르다”로 변함.
世:셰諦:뎨 주009)
세제:
세속적인 진리.
莊嚴엄·에 나··가샤 妙:묘法법 供養:·이 외·샤 慈悲

진언권공:41ㄱ

비·의 사·횸 주010)
사횸:
샇+ㅣ-ㅗ-ㅁ. 쌓임.
·과 定:慧:혜·의 : 주011)
:
-ㄴ. 쬔.
·이 香羞슈·로 特·특別·별·히 ·펴 供養: ··노·다

위에서 오옵는 가지를 이미 마치와 공양을 펴오리니, 원하건대 이 향이 해탈향과 지견향이 되시며, 원하건대 이 등이 반야 지혜의 광명이 되시며, 원하건대 이 물이 감로 제호가 되시며, 원하건대 이 밥이 법희선열이 되시며, 깃발과 꽃이 섞여 벌어 지며 차와 과일이 서로 벌임에 이르도록 세체 장엄에 나아가사 묘법 공양이 되사 자비의 쌓임과 정혜가 쬔 이 향수로 특별히 펴 공양하옵나이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우희:웋~ㅢ. 위에.
주002)
오:오--. 오옵는.
주003)
와:-오-ㅏ. 마치어. “-”은 “다”(〉마치다)의 “-”을 달리 적은 꼴임.
주004)
제호:우유로 만든 음료.
주005)
곳괘:곳~과+ㅣ. 꽃이. “곳”은 “곶”(〉꽃)을 달리 적은 꼴임.
주006)
섯거:섯ㄱ-ㅓ. 섞여. “섯ㄱ-”은 “섯ㄱ다”(〉섞다)의 줄기임.
주007)
버료매:벌+ㅣ-ㅗ-ㅁ~ㅐ. 벌임에.
주008)
니르리:니를+ㅣ. 이르도록. “니를다”는 지금말 “이르다”로 변함.
주009)
세제:세속적인 진리.
주010)
사횸:샇+ㅣ-ㅗ-ㅁ. 쌓임.
주011)
:-ㄴ. 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