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진언권공언해

  • 역주 진언권공언해
  • 작법 절차(作法節次)
  • 연등게(燃燈偈)
메뉴닫기 메뉴열기

연등게(燃燈偈)


:게

燃燈偈

:대:원위:주:대비유 :대:샤위:화삼·법: 보리심:죠·법:계 :죠졔군:원·불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진언권공:13ㄱ

大願爲炷大悲油 大捨爲火三法聚 菩提心燈照法界【阿아呵·하吽:훔】照諸群生願成佛【一·일拜:】

·큰 願:원·으·로 주001)
심:
심지.
··오 주002)
오:
-오. 만들고. “-”처럼 ㄹ로 끝나는 줄기 밑에서는 “-고”가 “-오”로 바뀜.
·큰 慈悲비·로 기·름 ·며 ·큰 捨:샤·로 ·블 주003)
블:
불.
·라 :세 法·법·을 모·도·아 주004)
모도아:
몯-ㅗ-아. 모두어. “몯다”는 지금말 “모이다”와 같은 뜻인데, “-ㅗ-”가 끼이면 “모으다”와 같은 뜻의 “모도다”가 되고 지금말 “모두다”로 변한 것임.
菩보提리心심燈·이 法·법界:계·예 비·취·여 주005)
비취여:
비추+ㅣ-여. 비취어.
【아·하:훔】모· 群군生·애 비·취우□ 주006)
비취우□:
비추+ㅣ+우-(고?). 비취게 하고, 비추고.
成佛·불·호· 주007)
호:
ㅎ-ㅗ-ㅁ~. 함을. 지금말 “하다”로 변한 “다”의 “-”는 아무 뜻이나 기능이 없는 “-ㅗ-” 앞에서 “ㅎ-”로 바뀌어 “호-”가 되거나, 아니면 그대로 있으면서 “-ㅗ-” 대신 “-요-”를 취해서 “요-”로 바뀌거나 함.
願:원··노다 주008)
원노다:
원+--ㄴ-ㅗ--다. 원하옵나이다. 여기서 “--”은 “불홈” 또는 부처를 객체로 삼아 높이는 말이며, “-ㅗ-”는 원하는 주체가 일인칭 곧 ‘나’나 ‘우리’임을 나타내는 말이며, “--”는 모든 들을이를 높이는 말임.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연등게

“대원위주대비유 대사위화삼법취 보제심등조법계【아하훔】 조제군생원성불”【일배】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큰 원으로 심지 만들고 큰 자비로 기름 삼으며 큰 희생으로 불 만들어 세 법을 모두어 보리심등이 법계에 비취어【아하훔】 모든 뭇 중생에게 비추(고?) 성불하기를 원하옵나이다. 〈한 번 절한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심:심지.
주002)
오:-오. 만들고. “-”처럼 ㄹ로 끝나는 줄기 밑에서는 “-고”가 “-오”로 바뀜.
주003)
블:불.
주004)
모도아:몯-ㅗ-아. 모두어. “몯다”는 지금말 “모이다”와 같은 뜻인데, “-ㅗ-”가 끼이면 “모으다”와 같은 뜻의 “모도다”가 되고 지금말 “모두다”로 변한 것임.
주005)
비취여:비추+ㅣ-여. 비취어.
주006)
비취우□:비추+ㅣ+우-(고?). 비취게 하고, 비추고.
주007)
호:ㅎ-ㅗ-ㅁ~. 함을. 지금말 “하다”로 변한 “다”의 “-”는 아무 뜻이나 기능이 없는 “-ㅗ-” 앞에서 “ㅎ-”로 바뀌어 “호-”가 되거나, 아니면 그대로 있으면서 “-ㅗ-” 대신 “-요-”를 취해서 “요-”로 바뀌거나 함.
주008)
원노다:원+--ㄴ-ㅗ--다. 원하옵나이다. 여기서 “--”은 “불홈” 또는 부처를 객체로 삼아 높이는 말이며, “-ㅗ-”는 원하는 주체가 일인칭 곧 ‘나’나 ‘우리’임을 나타내는 말이며, “--”는 모든 들을이를 높이는 말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