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진언권공언해

  • 역주 진언권공언해
  • 진언권공
  • 미공양(味供養)
메뉴닫기 메뉴열기

미공양(味供養)


:미:

味供養

:미: ·블:샤비 :슈: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진언권공:5ㄴ

香味供養 不捨慈悲 受供養【一·일拜:】

香味:미 供養: ··노·니 慈悲비· ·리디 :마·샤 供養:· 바·쇼셔【 번 ·저·오·라】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미공양

“향미공양 불사자비 수공양”【일배】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향기로운 맛으로 공양하옵나니, 자비를 버리지 말으사 공양을 받으소서.【한 번 삼가 절하라.】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변·법:계 :보무:진삼:보: 비:슈공:션근 ·법:듀:셰:보·불은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願此香供遍法界 普供無盡三寶海 慈悲受供增善根 令法住世報佛恩

진언권공:6ㄱ

願:원· 주001)
원:
원--ㄴ--ㄴ. “”는 지금말 “것, 바” 등과 같은 매인이름씨임. 직역하면 ‘원한 것은’이나 문맥으로 보아 ‘원컨대’로 해석할 수 있음.
·이 香供·이 法·법界:계·예 ··야 주002)
야:
-야. 가득하여.
無무盡:진 三삼寶:보海:· 너·비 주003)
너비:
넙-ㅣ. 넓게. 널리.
供養: ··와 ·지·다 주004)
지다:
지--다. “지-”는 말할이의 희망을, “--”는 들을이 높임을 뜻함.
慈悲비·로 供養: 바·샤 善:션根근·을 더·어 주005)
더어:
더-어. 더하여. “더어”는 “더으다”의 활용형으로서 “더으-어”가 줄어든 것이며, “더으다”는 지금말 “더하다”와 같은 뜻임.
法·법·이 世:셰間간·애 住듀·케 ··야 부텻 恩은德·덕·을 갑·와 주006)
갑와:
갑-오-ㅏ. 갚사와. “갑-”은 “갚다”의 줄기 “갚-”을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꼴임.
·지·다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원차향공편법계 보공무진삼보해 자비수공증선근 영법주세보불은”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컨대 이 향기로운 공양이 법계에 가득하여 다함 없는 삼보 바다를 널리 공양 하와 지이다. 자비로 공양 받으사 선근을 더하여 법이 세상에 머물게 하여 부처 은덕을 갚사와 지이다.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나·막·살·바다·타:아:뎨·뱍 ·미·^·목·켸·뱍 ·살

진언권공:6ㄴ

:바·타 :감 오:아 :뎨··라:혜:맘 :옴 :아:아 ·나:감 ·^·하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曩莫薩㗚^嚩怛他薩女帝毗^藥【一】尾沙^嚩目計毗^藥【二】薩㗚^

진언권공:6ㄴ

嚩他劒【三】烏能誐【四】帝塞^嚩囉呬牟^含【五】【六】誐誐【七】那劒【八】娑^嚩賀【九 ○다· 번 닐·그라】

“나막살바다타아제뱍【1】미사바목계뱍【2】살바타감【3】오능아【4】제스바라혜맘【5】【6】아아【7】나감【8】사바하”【9. 〇다섯 번 읽으라.】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례·십삼:셰:진 허:계·일·쳬졔·불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敬禮十方三世盡 虛空界一切諸佛【一·일拜:】

十·십方 주007)
십방:
동, 서, 남, 북의 사방과 동북, 동남, 서북, 서남의 사우, 곧 팔방과 상하, 모든 방향.
·과 三삼世:셰 주008)
삼세:
과거, 현재, 미래. 또는 전세, 현세, 내세.
·옛 虛허空界:계 주009)
허공계:
진여 곧 절대 진리.
·예 다·신 주010)
다신:
다-시-ㄴ. 다하신. “다다”의 바뀜꼴인 “다+아”가 “다아”를 거쳐 “다”로 줄고 몸바꿈(전성)을 한 것이 지금말의 어찌씨 “다”이며 여기에 “하다”를 합친(합성한) 것이 지금말 “다하다”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더으다”의 바뀜꼴 “더으+어”가 “더어”를 거쳐 “더”로 줄고 몸바꿈을 한 것이 지금말의 어찌씨 “더”이며 여기에 “하다”를 합친 것이 지금말 “더하다”임.
一·일切·쳬 諸졔佛불·을 恭敬

진언권공:7ㄱ

:··와 ·저·노·다【 번 ·저·오·라】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경례삽방삼세진허공계일체제불”【일배】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십방과 삼세의 허공계에 다하신 모든 부처를 공경하와 삼가 절하옵나이다.【한 번 삼가 절하라.】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례·십삼:셰:진허:계·일·쳬존·법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敬禮十方三世盡虛空界一切尊法【一·일拜:】

十·십方·과 三삼世:셰·옛 虛허空界:계·예 다·신 一·일切·쳬 尊존法·법·을 恭敬:··와 ·저·노·다【 번 ·저·오·라】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경례십방삼세진 허공계일체존법”【일배】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십방과 삼세의 허공계에 다하신 모든 높은 법을 공경하와 삼가 절하옵나이다.【한 번 삼가 절하라.】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례·십삼:셰:진 허:계·일·쳬보·살 연·각

진언권공:7ㄴ

문·일·쳬현:
Ⓒ 구결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敬禮十方三世盡虛空界一切菩薩緣覺聲 聞一切賢聖僧【一·일拜:】

十·십方·과 三삼世:셰·옛 虛허空界:계·예 다·신 一·일切·쳬 菩보薩살·와 緣연覺·각·과 聲聞문·과 一·일切 ·쳬 賢현聖:僧·을 恭敬:··와 ·저·노·다【 번 ·저·오·라】
Ⓒ 언해 | 학조 / 1496년(연산군 2) 5월 일

“경례십방삼세진 허공계일체보살 연각성문 일체현성승”【일배】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십방과 삼세의 허공계에 다하신 모든 보살과 연각과 성문과 모든 현인과 성인과 승려를 공경하와 삼가 절하옵나이다.【한 번 삼가 절하라】
Ⓒ 역자 | 김정수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원:원--ㄴ--ㄴ. “”는 지금말 “것, 바” 등과 같은 매인이름씨임. 직역하면 ‘원한 것은’이나 문맥으로 보아 ‘원컨대’로 해석할 수 있음.
주002)
야:-야. 가득하여.
주003)
너비:넙-ㅣ. 넓게. 널리.
주004)
지다:지--다. “지-”는 말할이의 희망을, “--”는 들을이 높임을 뜻함.
주005)
더어:더-어. 더하여. “더어”는 “더으다”의 활용형으로서 “더으-어”가 줄어든 것이며, “더으다”는 지금말 “더하다”와 같은 뜻임.
주006)
갑와:갑-오-ㅏ. 갚사와. “갑-”은 “갚다”의 줄기 “갚-”을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꼴임.
주007)
십방:동, 서, 남, 북의 사방과 동북, 동남, 서북, 서남의 사우, 곧 팔방과 상하, 모든 방향.
주008)
삼세:과거, 현재, 미래. 또는 전세, 현세, 내세.
주009)
허공계:진여 곧 절대 진리.
주010)
다신:다-시-ㄴ. 다하신. “다다”의 바뀜꼴인 “다+아”가 “다아”를 거쳐 “다”로 줄고 몸바꿈(전성)을 한 것이 지금말의 어찌씨 “다”이며 여기에 “하다”를 합친(합성한) 것이 지금말 “다하다”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더으다”의 바뀜꼴 “더으+어”가 “더어”를 거쳐 “더”로 줄고 몸바꿈을 한 것이 지금말의 어찌씨 “더”이며 여기에 “하다”를 합친 것이 지금말 “더하다”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