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신전자취염소방언해

  • 역주 신전자취염소방언해
  • 신전자취염소방언해 주해
  • 신전자취염소방언해(新傳煮取焰焇方諺解)
  • 재토(滓土)
메뉴닫기 메뉴열기

재토(滓土)


滓土토ㅣ라

즈의 주001)
즈의 :
찌꺼기 흙. ‘즈의’는 ‘즈〉즈의’로 반치음이 사라진 표기로 보인다. 뒤로 오면서 ‘〉즛’으로 받침에서 소리가 강화되어 쓰인다. 오늘날에 찌꺼기는 ‘즛거기〉즈기〉찌꺼기’로 경음화와 ㅅ-계 합용병서의 소멸로 하여 이루어진 표기라 할 것이다. 경음화는 ㄱ·ㄷ·ㅂ·ㅅ·ㅈ과 같은 평음이 ㄲ·ㄸ·ㅃ·ㅆ·ㅉ과 같은 된소리, 즉 경음으로 바뀌는 소리의 변동 현상을 이른다. 첫 음절 머리에에서의 경음화는 특별한 이유 없이 소리가 되게 나므로 이를 무조건 변화라 한다. 하지만 제 2음절 이하에서는 그렇지 않다. 경음화는 일종의 강음화현상이다. 변하는 그 갈래는 다양하다. 받침소리 7개(ㄱ·ㄷ·ㅂ·ㄴ·ㄹ·ㅁ·ㅇ) 중 ㄱ·ㄷ·ㅂ뒤에서 경음화가 일어난다(책방[책빵]·짚신[집씬]). 이것은 ㄱ·ㄷ·ㅂ 뒤에서 평음을 이어서 발음할 수 없기 때문에 일어나는 음운현상이다. 나머지 경음화는 그렇지 않다.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끝소리가 ㄴ·ㅁ과 같은 비음일 때는 그 뒤에서 어미의 첫소리가 경음화된다(안고[안꼬]·담다가[담따가]). 그런데 피동형이나 사동형에서는 선어말 어미 '-기'가 '끼'로 경음화되지 않는다(안기다[피동형-사동형, 안끼다×]·남기다[사동형, 남끼다×]). 관형형어미 ‘-(으)ㄹ’ 뒤에서 경음화가 일어난다(올 사람[올싸람], 올듯말듯[올뜻말뜻], 먹을 것[먹을껏], 빨대[빨때]). ‘곧 갈게, 갈지도 모른다, 갈수록 태산’에 나타나는 어미 ‘-(으)ㄹ게·(으)ㄹ지·(으)ㄹ수록’이 ‘-(으)ㄹ께·(으)ㄹ찌·(으)ㄹ쑤록’으로 발음되는 것도 ‘-(으)ㄹ’이 경음화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의문형 어미 ‘-(으)ㄹ까’도 ‘-(으)ㄴ가’에 나타나는 ‘-가’가 ‘-(으)ㄹ’ 뒤에서 경음화되어 생긴 것이다. 두 말이 합하여 복합어가 될 때 경음화가 일어나는 일이 있다. 이 때 앞 말에 받침이 없으면 사이시옷을 받침으로 표기하게 된다. ‘사잇길·곗돈·이삿짐’과 같은 것은 사이시옷으로 경음화가 일어나더라도 원래의 형태대로 적는다. 또 사이시옷은 ‘뒤쪽·뒤칸’처럼 뒷말의 첫소리가 경음이나 격음일 때에도 적지 않는다. 복합어가 만들어질 때는 언제 경음화가 일어나고 언제 일어나지 않는지 잘 밝혀져 있지 않다.
다시  법이라

찌꺼기 흙을 다시 쓰는 방법이다.

元원土토聽텽用용後후에 仍잉收슈其기滓土토고 且챠取人인尿료와 及급馬마通통과 及급雜잡灰회와 及급新신赤젹粘졈土토야 與여滓

신전자취염소방언해 4ㄴ

土토로 同동合합成셩泥니야 或혹作작甎젼며 或혹築튝墻쟝야 勿믈令녕見견雨우고 待三삼年년取用용라 品품佳가於어新신采土토니라
Ⓒ 구결 | 이서 / 1635년(인조 13)

밋주002)
밋:
밑흙. ‘원토(元土)’의 언해이다. 곧 원래의 흙.
을  後후에 인여 그 즈의 을 거도고  사의 오좀과 과 잡와 새 블근 딜주003)
딜:
질흙. ‘점토(粘土)’의 언해이다. 도자기를 만드는 재료로 쓰는 흙이기도 하다. 매우 찰지다.
을 取야 즈의 과로  버므려 즐게 니겨주004)
즐게 니겨:
질게 이겨. ‘즐-〉질-’은 파찰음 아래서 전설모음화를 거쳐서 이루어진 형이라고 볼 수 있다. 전설모음화는 본디 전설모음이 아닌데 앞서는 치조파찰음 뒤에서 전설모음으로 그 소리가 변동하는 현상이다. 모음 가운데 가장 청각인상이 약한 소리가 약모음인 ‘ㅡ’이기에 손쉽게 일어나는 소리의 변동이다. 언어학에서는 슈와(schwa)라 하여 약한 ㅓ와 함께 쓰이는데 약모음에서는 절대로 강세가 오지 않는다. 부산 사투리의 경우, 친구끼리 만났을 때 ‘얄마, 어데가노’라는 말을 한다. ‘어’가 아주 약하게 발음되므로 설사 발음하지 않더라도 당연히 있다고 받아들이고는 대부분 ‘야 임마, 어디 가니’로 잘 알아듣는다. 경상도 방언에서는 ㅓ와 ㅡ가 서로 넘나들어 하나의 음소로 다루어지므로 ㅐ-ㅔ와 함께 단모음을 6모음체계로 기술한다.
或혹 벽도 며 或혹 담도 싸 여곰 비 보게 말고 三삼年년을 기돌러 라 品품이 새로  이셔 됴흐니라주005)
새로  이셔 됴흐니라:
새로 캔 흙보다 좋다. ‘-이셔’는 비교격 조사로 쓰인 부사어다. 정조 윤음(綸音)에 비교격 조사 ‘-이에셔’(쇼민이에셔 심니)가 보인다. ‘-이에셔’에서 ‘-에’가 줄어든 형태가 아닌가 한다.
Ⓒ 언해 | 이서 / 1635년(인조 13)

밑흙을 쓴 뒤에 그 찌꺼기 흙을 거두고 또 사람의 오줌과 말똥과 여러 가지 재와 새로 붉은 질흙[粘土]을 취하여라. 찌꺼기 흙과 한데 섞어서 질게 이겨 더러 벽도 만들고 담도 쌓아서 비를 맞지 않게 3년을 기다려 쓰라. 품질이 새로 캔 흙보다 좋아진다.
Ⓒ 역자 | 정호완 / 2013년 7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즈의 :찌꺼기 흙. ‘즈의’는 ‘즈〉즈의’로 반치음이 사라진 표기로 보인다. 뒤로 오면서 ‘〉즛’으로 받침에서 소리가 강화되어 쓰인다. 오늘날에 찌꺼기는 ‘즛거기〉즈기〉찌꺼기’로 경음화와 ㅅ-계 합용병서의 소멸로 하여 이루어진 표기라 할 것이다. 경음화는 ㄱ·ㄷ·ㅂ·ㅅ·ㅈ과 같은 평음이 ㄲ·ㄸ·ㅃ·ㅆ·ㅉ과 같은 된소리, 즉 경음으로 바뀌는 소리의 변동 현상을 이른다. 첫 음절 머리에에서의 경음화는 특별한 이유 없이 소리가 되게 나므로 이를 무조건 변화라 한다. 하지만 제 2음절 이하에서는 그렇지 않다. 경음화는 일종의 강음화현상이다. 변하는 그 갈래는 다양하다. 받침소리 7개(ㄱ·ㄷ·ㅂ·ㄴ·ㄹ·ㅁ·ㅇ) 중 ㄱ·ㄷ·ㅂ뒤에서 경음화가 일어난다(책방[책빵]·짚신[집씬]). 이것은 ㄱ·ㄷ·ㅂ 뒤에서 평음을 이어서 발음할 수 없기 때문에 일어나는 음운현상이다. 나머지 경음화는 그렇지 않다.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끝소리가 ㄴ·ㅁ과 같은 비음일 때는 그 뒤에서 어미의 첫소리가 경음화된다(안고[안꼬]·담다가[담따가]). 그런데 피동형이나 사동형에서는 선어말 어미 '-기'가 '끼'로 경음화되지 않는다(안기다[피동형-사동형, 안끼다×]·남기다[사동형, 남끼다×]). 관형형어미 ‘-(으)ㄹ’ 뒤에서 경음화가 일어난다(올 사람[올싸람], 올듯말듯[올뜻말뜻], 먹을 것[먹을껏], 빨대[빨때]). ‘곧 갈게, 갈지도 모른다, 갈수록 태산’에 나타나는 어미 ‘-(으)ㄹ게·(으)ㄹ지·(으)ㄹ수록’이 ‘-(으)ㄹ께·(으)ㄹ찌·(으)ㄹ쑤록’으로 발음되는 것도 ‘-(으)ㄹ’이 경음화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의문형 어미 ‘-(으)ㄹ까’도 ‘-(으)ㄴ가’에 나타나는 ‘-가’가 ‘-(으)ㄹ’ 뒤에서 경음화되어 생긴 것이다. 두 말이 합하여 복합어가 될 때 경음화가 일어나는 일이 있다. 이 때 앞 말에 받침이 없으면 사이시옷을 받침으로 표기하게 된다. ‘사잇길·곗돈·이삿짐’과 같은 것은 사이시옷으로 경음화가 일어나더라도 원래의 형태대로 적는다. 또 사이시옷은 ‘뒤쪽·뒤칸’처럼 뒷말의 첫소리가 경음이나 격음일 때에도 적지 않는다. 복합어가 만들어질 때는 언제 경음화가 일어나고 언제 일어나지 않는지 잘 밝혀져 있지 않다.
주002)
밋:밑흙. ‘원토(元土)’의 언해이다. 곧 원래의 흙.
주003)
딜:질흙. ‘점토(粘土)’의 언해이다. 도자기를 만드는 재료로 쓰는 흙이기도 하다. 매우 찰지다.
주004)
즐게 니겨:질게 이겨. ‘즐-〉질-’은 파찰음 아래서 전설모음화를 거쳐서 이루어진 형이라고 볼 수 있다. 전설모음화는 본디 전설모음이 아닌데 앞서는 치조파찰음 뒤에서 전설모음으로 그 소리가 변동하는 현상이다. 모음 가운데 가장 청각인상이 약한 소리가 약모음인 ‘ㅡ’이기에 손쉽게 일어나는 소리의 변동이다. 언어학에서는 슈와(schwa)라 하여 약한 ㅓ와 함께 쓰이는데 약모음에서는 절대로 강세가 오지 않는다. 부산 사투리의 경우, 친구끼리 만났을 때 ‘얄마, 어데가노’라는 말을 한다. ‘어’가 아주 약하게 발음되므로 설사 발음하지 않더라도 당연히 있다고 받아들이고는 대부분 ‘야 임마, 어디 가니’로 잘 알아듣는다. 경상도 방언에서는 ㅓ와 ㅡ가 서로 넘나들어 하나의 음소로 다루어지므로 ㅐ-ㅔ와 함께 단모음을 6모음체계로 기술한다.
주005)
새로  이셔 됴흐니라:새로 캔 흙보다 좋다. ‘-이셔’는 비교격 조사로 쓰인 부사어다. 정조 윤음(綸音)에 비교격 조사 ‘-이에셔’(쇼민이에셔 심니)가 보인다. ‘-이에셔’에서 ‘-에’가 줄어든 형태가 아닌가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