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신전자취염소방언해

  • 역주 신전자취염소방언해
  • 신전자취염소방언해 주해
  • 신전자취염소방언해(新傳煮取焰焇方諺解)
  • 화합(和合)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합(和合)


和화合합이라

섯거 버므리 법이라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섞어서 버무리는 법이다.

又우取人인尿료와 及급釜부底뎌灰회와 及급雜잡灰회야 與여右우土토和화勻균고 以이版판鍤삽으로 屢루翻번交교合합야 積젹峙티一일處쳐야 勿믈令령見견雨우라 積젹屋옥裏리尤우好호

신전자취염소방언해 3ㄴ

니라
Ⓒ 구결 | 이서 / 1635년(인조 13)

사의 오좀과주001)
사의 오좀과:
사람의 오줌과. ‘오좀〉오줌’은 모음조화를 벗어나는 현상을 보여준 경우다. 중세어로 가면 모음조화가 비교적 잘 지켜졌으나 아(ㆍ)의 소리값이 변동함을 따라서 결정적으로 흐트러지게 되었다. 이는 알타이말의 두드러진 음운론적인 특징 가운데 하나다. 모음조화 현상은 우리 국어의 음운론적인 두드러진 특징이다. 앞 음절의 모음과 뒤 음절의 모음이 같은 성향의 모음끼리 만나서 쓰인다. 말하자면 ‘양성*양성-음성*음성-양(음)*중성’과 같이 어울리는 음운현상의 한 경향성을 말한다.
가마 아래 와 잡 取야주002)
가마 아래 와 잡 (取)야:
가마 아래의 재와 여러 가지 재를 마련하여. 재를 취함에 있어 『신전자초방』에서는 다복재(쑥재)와 여러 가지 곡식의 대로 만든 재. 이르자면 벼, 기장, 피, 조 짚의 재가 가장 좋고 잡초나 잡목으로 만든 풋나무재가 그 다음이고 소나무재는 쓰지 않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물 달이기를 반드시 재를 내여 쓸 경우, 재를 내려면 재를 만들 다복과 곡식대 등으로 함으로써 한 가지로 두 가지 효과를 얻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젼과로 버므려 가래주003)
가래:
농기구의 하나. 흙을 파헤치거나 떠서 던지는 기구.
로 여러 번 뒤여 섯거  곧애 싸하 여곰 비 보게 말라 집안희 싸흐면 더옥 됴흐니라
Ⓒ 언해 | 이서 / 1635년(인조 13)

또 사람의 오줌과, 가마솥 아래 부분의 재와, 잡재[雜灰]를 취하여 앞의 흙과 섞어서 가래로 여러 번 뒤집어 섞어서 한 곳에 쌓아 두어 비를 맞지 않게 하라. 집안에 쌓아 놓으면 더욱 좋다.
Ⓒ 역자 | 정호완 / 2013년 7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의 오좀과:사람의 오줌과. ‘오좀〉오줌’은 모음조화를 벗어나는 현상을 보여준 경우다. 중세어로 가면 모음조화가 비교적 잘 지켜졌으나 아(ㆍ)의 소리값이 변동함을 따라서 결정적으로 흐트러지게 되었다. 이는 알타이말의 두드러진 음운론적인 특징 가운데 하나다. 모음조화 현상은 우리 국어의 음운론적인 두드러진 특징이다. 앞 음절의 모음과 뒤 음절의 모음이 같은 성향의 모음끼리 만나서 쓰인다. 말하자면 ‘양성*양성-음성*음성-양(음)*중성’과 같이 어울리는 음운현상의 한 경향성을 말한다.
주002)
가마 아래 와 잡 (取)야:가마 아래의 재와 여러 가지 재를 마련하여. 재를 취함에 있어 『신전자초방』에서는 다복재(쑥재)와 여러 가지 곡식의 대로 만든 재. 이르자면 벼, 기장, 피, 조 짚의 재가 가장 좋고 잡초나 잡목으로 만든 풋나무재가 그 다음이고 소나무재는 쓰지 않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물 달이기를 반드시 재를 내여 쓸 경우, 재를 내려면 재를 만들 다복과 곡식대 등으로 함으로써 한 가지로 두 가지 효과를 얻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주003)
가래:농기구의 하나. 흙을 파헤치거나 떠서 던지는 기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