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4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4권
  • 오륜행실 형제도
  • 오륜행실형제도(五倫行實兄弟圖)
  • 문사십세(文嗣十世)
메뉴닫기 메뉴열기

문사십세(文嗣十世)


오륜행실도 4:53ㄴ

文嗣十世【元】

오륜행실도 4:54ㄱ

鄭文嗣 婺州人 주001)
무주인(婺州人):
『오륜』의 ‘무주인(婺州人)’은 『이륜』에는 없음.
其家十世同居 凡二百四十餘年 一錢尺帛不敢私 文嗣沒 從弟大和 繼主家事 益嚴而有恩 家中凜如公府 子弟稍有過頒白者猶鞭之 每歲時 大和坐堂上 羣從子 주002)
군종자(羣從子):
『오륜』의 ‘군(羣)’은 『이륜』에는 ‘군(群)’임.
皆盛衣冠鴈行立左序下 以次進拜跪奉觴上壽畢 皆肅容拱手 自右趨出 見者嗟慕 余闕 주003)
여궐(余闕):
원(元)나라 노주(盧洲) 사람으로, 성은 당올(唐兀)씨. 뜻을 경술(經術)에 두고, 오경(五經) 모두에 전주(傳注)를 달았음.
爲書東浙第一家以褒之 大和方正 不奉浮屠老子敎 冠婚喪葬 주004)
관혼상장(冠婚喪葬):
『오륜』의 ‘관혼상장(冠婚喪葬)’은 『이륜』에는 없음.
必稽朱子家禮而行 子孫從化皆孝謹 諸婦惟事女工 주005)
제부유사여공(諸婦惟事女工):
여러 부인들은 다만 여공(女工; 길쌈)만을 일삼고. 『오륜』의 ‘유(惟)’는 『이륜』에는 ‘유(唯)’임.
不使預家政 家畜兩馬 一出則一爲之不食 人以爲孝義所感
怡怡肅肅政連緜 주006)
이이숙숙정연면(怡怡肅肅政連緜):
화목하고 엄숙히 다스림이 이어져 오다. 『오륜』의 ‘면(緜)’은 『이륜』에는 ‘면(綿)’임.
十世同居二百年 伏臘 주007)
복납(伏臘):
여름 제사와 겨울 제사. 명절날.
壽觴

오륜행실도 4:54ㄴ

遵禮敎 傍觀嘖嘖 주008)
책책(嘖嘖):
크게 외치거나 떠드는 소리.
嗟羣賢 주009)
방관책책차군현(傍觀嘖嘖嗟羣賢):
『오륜』의 ‘군(羣)’은 『이륜』에는 ‘군(群)’임.
家法嚴恩冠浙東 不遵釋老尙儒風 諸孫孝謹皆從化 畜物雖微亦感通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뎡문 원나라 무쥬 사이니 십  가지로 사라 이십여 년이 된디라 됴고만 믈도 로이 아니더니 문 죽으매 촌아 대홰 니어 가 맛다 더옥 엄호 은혜 이시니 집안히 엄슉기 관가 여 뎨 젹이 죄괘 이시면 반 사이라도 오히려 매로 티고 셰시면 대홰 당우희 안 모든 뎨 주010)
뎨:
조카는. 원문의 ‘종자(從子)’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종(從)’의 의미를 살린) ‘앗보치들히’로 번역되었다. 현대어에서 ‘자제(子弟)’는 남의 아들을 높여 이를 때 한하여 쓰이므로, 현대어역에서는 원문의 ‘종자(從子)’가 지닌 뜻을 살려 ‘뎨’를 “조카”로 옮겼다.
다 의관을 셩히

4:55ㄱ

여 기러기 항녈노  좌편의 버러 주011)
버러:
열(列)지어. 줄지어. 『이륜』류에는 ‘줄 혀’로 번역되어 이 예의 어간 ‘벌-’이 “열을 짓다, 줄을 짓다”의 의미로 쓰였음을 말해 준다.
셧다가 례로 나아와 절고 어 잔을 밧드러 슈 올리고 얼골을 다듬고 주012)
얼골을 다듬고:
모습을 가다듬고. 원문의 ‘숙용(肅容)’을 언해한 것으로, 이곳의 ‘얼골’은 (“얼굴”이 아닌) “모습”을 뜻한다. 어간 ‘다듬-’은 중세어의 ‘다-’에 소급하는데, 이는 ‘갈[磨]-’과 ‘다[硏]-’ 두 어간이 직접 통합하여 비통사적 복합어를 이룬 것이다. 중세 문헌에서는 드물기는 하지만 (복합어의 구성 요소 각각의 의미가 살아 있는) “갈고 다듬다”의 의미로 쓰인 예도 발견되는 데 반해(‘磨聾 돌 다 씨라’〈월인석보(1459) 서:21ㄱ주〉), (이곳의 예와 마찬가지로) 현대어의 ‘가다듬-’에는 더 이상 그러한 의미가 발견되지 않는다.
손을 자 주013)
손을 자:
(소매에) 손을 꽂아. 팔짱을 끼고. 원문의 ‘공수(拱手)’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초)』에는 ‘매 디르고’, 『이륜(중・영)』에는 ‘맛댱 곳고’로 되어 있다. 중세어에는 ‘ 곶-’의 예에서 보듯이, 『이륜』류의 표현에서 ‘매’ 자리를 ‘’이 대신한 표현도 “공(拱)”의 의미로 쓰였다. ¶지븨 이셔 일 업슨 제도 다이 안자  곳고[… 拱手]〈번역소학 10:13ㄱ〉. 근대 문헌에서는 이러한 ‘’ 계열의 표현이 보다 일반화되어 현대어에는 ‘팔짱꽂-, 팔짱지르-’로 남았다. ¶단졍이 댱 고〈셩풍뉴(18세기) 5:19〉. ; 拱手 ㅅ댱 디다〈역어유해 상:39ㄱ〉.
우편으로 추창여 나갈 보 사이 다 차탄고 흠모니 여궐이 동졀뎨일가【동졀  뎨일 집이라】 다  크게  주어 포댱더라 대홰 위인이 뎡대니 외도 슝샹티 아니여 혼인과 상 반시 쥬가례 조니 손이 다 화여 효도롭고 공근며 여러 부인들은 다만 녀공을 일삼고 가에 간셥디 못게 더라 집의  둘히 이셔  이 나가면  

오륜행실도 4:55ㄴ

이 먹디 아니니 사이 다 닐오 어진 실의 감동 배라 더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30. 문사십세(文嗣十世)【원나라】- 정문사는 십 대가 함께 살다
정문사(鄭文嗣)는 원(元)나라 무주(婺州) 사람이다. 십 대를 함께 살아 이백 사십여 년이 된지라 조그만 재물도 사사로이 하지 않았다. 정문사가 죽고 나서 사촌 아우 정대화(鄭大和)가 이어 가사
(家事; 집안일)
를 맡았는데, 〈일 처리가 전보다〉 더욱 엄
(嚴; 엄격)
하되 은혜(恩惠)가 있었다. 집안이 엄숙하기가 관가(官家)와 같아, 조카들이 조금 죄과가 있으면 반백
(頒白; 흰 머리와 검은 머리가 반씩 섞여 있음, 반백(斑白))
한 사람이라도 오히려 매로 쳤다. 세시
(歲時; 명절)
가 되면 정대화가 당(堂) 위에 앉고, 모든 조카들은 모두 의관(衣冠)을 성(盛)히 하여 기러기 항렬로 뜰 좌편에 줄지어 섰다가 차례로 나아와 절하고 〈무릎을〉 꿇어 잔을 받들어서는 수
(壽; 헌수)
를 올렸다. 〈그런 다음〉 몸가짐을 가다듬고 〈소매에〉 손을 꽂아
(팔짱을 끼고)
우편으로 추창
(趨蹌; 예도에 맞게 허리를 굽히고 빨리 걸어감)
하여 나갔다. 이때에 보는 사람이 모두 차탄(嗟歎)하고 흠모하니, 여궐(余闕)이 ‘동절제일가(東浙第一家)’【동절 땅에서 제일가는 집이다.】 다섯 자를 크게 써 주어 포장
(襃獎; 칭찬하여 장려함)
하였다. 정대화가 위인
(爲人; 사람됨)
이 정대(正大)하니 외도(外道)를 숭상치 아니하여, 혼인과 상사를
(상사에 대하여)
반드시 『주자가례(朱子家禮)』를 좇았다. 〈이에〉 자손이 모두 화
(和; 화목)
하여 효도롭고 공근
(恭勤; 공손하고 부지런함)
하였다. 여러 부인들은 다만 여공
(女工; 길쌈)
만을 일삼고 가사에 간섭치 못하게 하였다. 집
(집안)
에 말이 둘이
(두 마리가)
있어 한 말이 나가면 한 말이 먹지 아니하니, 〈다른〉 사람들이 말하기를, “어진 행실에 〈말들도〉 감동한 바다.” 하였다.
화목하고 엄숙히 다스림은 이어져 오고
십 세가 동거해 온지가 이백 년이 되어라.
엎드려 납일 축수 술잔 올림을 예 따라하니
옆에서 보던 사람들 모두 어질다고 찬탄해라.
가법이 엄하고 은혜롭기 절동에서 으뜸이라
석가, 노자를 따르지 않고 유가의 풍속 숭상해.
모든 자손들 효도를 근엄히 모두 가르침을 쫓아
짐승들 비록 보잘 것 없어도 또한 감동하고 통해라.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문 그 집비 열   사라 모도아 이 마 나 러니  돈  잣 깁도 아름뎌 아니더라 문 죽거 촌 아 대홰 니 집븻 일 마로 더욱 엄정코 은혜 이셔 집안히 싁싁여 그윗 곧 더라 뎨 허믈 잇거든 비록 머리 셰니도 다 티더라  일 어든 대홰 대에 안든 모 앗보치들히 뭇고 줄혀 좟녁  집븨 셧다가 례로 올아가 절고 러 잔 자바 헌슈고 여 매 디르고 웃녀로 즈우려 나오니 보닌 다 차탄코 브러터러[라] 여궐리랏 아비 위여 글 서 졀 뎨일개라 야 포니라 대홰 졍딕여 이며 도의 일 아니코 의식 쥬가례 다히로 더니 손니 다 효고코 삼가더라 모 며리들흘 겨집븨 일만 이고 집븻  참예 아니케 터라 집븨 두 를 두  옷 나가면  리 음식 아니 먹더니 사름이 호 감화여 그러타 더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무주인(婺州人):『오륜』의 ‘무주인(婺州人)’은 『이륜』에는 없음.
주002)
군종자(羣從子):『오륜』의 ‘군(羣)’은 『이륜』에는 ‘군(群)’임.
주003)
여궐(余闕):원(元)나라 노주(盧洲) 사람으로, 성은 당올(唐兀)씨. 뜻을 경술(經術)에 두고, 오경(五經) 모두에 전주(傳注)를 달았음.
주004)
관혼상장(冠婚喪葬):『오륜』의 ‘관혼상장(冠婚喪葬)’은 『이륜』에는 없음.
주005)
제부유사여공(諸婦惟事女工):여러 부인들은 다만 여공(女工; 길쌈)만을 일삼고. 『오륜』의 ‘유(惟)’는 『이륜』에는 ‘유(唯)’임.
주006)
이이숙숙정연면(怡怡肅肅政連緜):화목하고 엄숙히 다스림이 이어져 오다. 『오륜』의 ‘면(緜)’은 『이륜』에는 ‘면(綿)’임.
주007)
복납(伏臘):여름 제사와 겨울 제사. 명절날.
주008)
책책(嘖嘖):크게 외치거나 떠드는 소리.
주009)
방관책책차군현(傍觀嘖嘖嗟羣賢):『오륜』의 ‘군(羣)’은 『이륜』에는 ‘군(群)’임.
주010)
뎨:조카는. 원문의 ‘종자(從子)’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종(從)’의 의미를 살린) ‘앗보치들히’로 번역되었다. 현대어에서 ‘자제(子弟)’는 남의 아들을 높여 이를 때 한하여 쓰이므로, 현대어역에서는 원문의 ‘종자(從子)’가 지닌 뜻을 살려 ‘뎨’를 “조카”로 옮겼다.
주011)
버러:열(列)지어. 줄지어. 『이륜』류에는 ‘줄 혀’로 번역되어 이 예의 어간 ‘벌-’이 “열을 짓다, 줄을 짓다”의 의미로 쓰였음을 말해 준다.
주012)
얼골을 다듬고:모습을 가다듬고. 원문의 ‘숙용(肅容)’을 언해한 것으로, 이곳의 ‘얼골’은 (“얼굴”이 아닌) “모습”을 뜻한다. 어간 ‘다듬-’은 중세어의 ‘다-’에 소급하는데, 이는 ‘갈[磨]-’과 ‘다[硏]-’ 두 어간이 직접 통합하여 비통사적 복합어를 이룬 것이다. 중세 문헌에서는 드물기는 하지만 (복합어의 구성 요소 각각의 의미가 살아 있는) “갈고 다듬다”의 의미로 쓰인 예도 발견되는 데 반해(‘磨聾 돌 다 씨라’〈월인석보(1459) 서:21ㄱ주〉), (이곳의 예와 마찬가지로) 현대어의 ‘가다듬-’에는 더 이상 그러한 의미가 발견되지 않는다.
주013)
손을 자:(소매에) 손을 꽂아. 팔짱을 끼고. 원문의 ‘공수(拱手)’를 언해한 것으로, 『이륜(초)』에는 ‘매 디르고’, 『이륜(중・영)』에는 ‘맛댱 곳고’로 되어 있다. 중세어에는 ‘ 곶-’의 예에서 보듯이, 『이륜』류의 표현에서 ‘매’ 자리를 ‘’이 대신한 표현도 “공(拱)”의 의미로 쓰였다. ¶지븨 이셔 일 업슨 제도 다이 안자  곳고[… 拱手]〈번역소학 10:13ㄱ〉. 근대 문헌에서는 이러한 ‘’ 계열의 표현이 보다 일반화되어 현대어에는 ‘팔짱꽂-, 팔짱지르-’로 남았다. ¶단졍이 댱 고〈셩풍뉴(18세기) 5:19〉. ; 拱手 ㅅ댱 디다〈역어유해 상:39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