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행실도 4:50ㄱ
范仲淹
吳縣人 주001) 오현인(吳縣人): 『오륜』의 ‘오현인(吳縣人)’은 『이륜』에는 없음.
輕財好施 尤厚於族人 旣貴 於姑蘇近郭 買良田數千畝 爲義莊
以養羣從之貧者 주002) 이양군종지빈자(以養羣從之貧者): 여러 가난한 친척을 부양하고. 『오륜』의 ‘군(羣)’은 『이륜』에는 ‘군(群)’임.
擇族人長而賢者一人主出納 人日食米一升 歲衣縑一匹 嫁娶喪葬 皆有贍給 自政府出歸姑蘇
焚黃 주003) 분황(焚黃): 부모의 묘 앞에서 행하는 예. 높은 벼슬에 오르면 누런 종이로 만든 제서(制書)를 가묘(家廟)에 제사 지내고 이것을 묘 앞에 가서 태워 버림.
搜外庫 惟有絹三千匹 令掌吏錄親戚及閭里知舊 自大及小 散之皆盡 曰宗族鄕黨見我生長 幼學壯仕 爲我助喜
我何以報之哉 주004) 아하이보지재(我何以報之哉): 내가 어찌 갚으리오.『오륜』의 ‘아(我)’는 『이륜』에는 없음.

千畝良田豈自圖
盡施宗族遍親疎 주005) 진시종족편친소(盡施宗族遍親疎): 종족은 친소를 가리지 않고 모두 나누어주다. 『오륜』의 ‘소(疎)’는 『이륜』에는 ‘소(踈)’임.
匹衣升食無他費 婚葬相扶亦有餘
庫中搜得三千絹 一日親知盡散之 聊報鄕閭助吾喜 相公曾不念家
오륜행실도 4:50ㄴ
私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범듕엄은 송나라 오현 사이니 믈을
가야이 주006) 가야이: 가벼이. 가볍게. ‘가얍-+-이(부사화 접미사)’로 분석될 어형으로, ‘가얍-’은 y(음절 부음)의 표기 위치에 따라 근대 문헌에서 ‘가얍-’, ‘가압-’ 등으로 나타난다. 『오륜』의 다른 곳에는 ‘가엽-’의 어형도 보이는데(‘터럭의셔 가여 올 적도 잇니’〈2:60ㄴ〉), 이와 같이 음성모음화 된 어형은 이미 『번역소학』(1517)을 위시하여 16세기 문헌부터 등장한다. ¶모 가여이 몯실 거시다〈번역소학 10:4ㄱ〉. 현대어에는 (이중모음의 단모음화에 따른) ‘가비얍/*가비엽-’의 어형을 거쳐 음절이 축약된 ‘가볍-’으로 남았다. ¶됴운의 죄 일만 번 쥭어도 가비야와이다〈삼국지통속연의(18세기) 14:25〉.
너기고 주기 됴화 며 더옥 종족의게 후히 여 벼이 이믜 놉흐매 집 가온 곳에 됴흔
밧 주007) 밧: 밖의. 바깥의. 이곳의 ‘밧’은 ‘[外]’의 속격형에 해당하나 자음군 단순화에 따라 ‘밧’으로 나타난 것이다.
수쳔 묘 사 두어 의장
【의 잇 젼장이라】을 삼아 여러 가난 겨레
치고 주008) 치고: 부양(扶養)하고. 『이륜(초)』에는 ‘이받더니’, 『이륜(중・영)』에는 ‘이밧더니’로 번역되었는데, 『삼강(초)』에 등장하는 어간 ‘이받-’과 마찬가지로 “양(養)”의 뜻으로 쓰였다고 할 수 있다. ¶어미 업고 수머 녀 녜 야 이받더니[負母逃難 常采拾以爲養]〈삼강행실도 효:6ㄱ〉. 중세어 이래 “양(養)”을 뜻하는 동사 어간 ‘치-’는 (이곳과 같이)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쓰일 수 있었으나, 현대어의 ‘치-’는 가축 내지 동물을 대상으로 하여 쓰일 뿐이다.
겨레 듕에 나 만코 어딘 사 나흘 희여 믈을 맛디고 인의게 날마다 되와 마다 깁 필식 주고 혼인과 상 다 초와 주고 졍승 벼로 소분려 고향에 도라 와 밧고에 남은 깁 삼쳔 필을 다 내여 맛 사으
오륜행실도 4:51ㄱ
로 여곰 친쳑과 고구 다 긔록여 크니와 젹으니 일시에
흣터 주009) 흣터: 흩어. 나누어. ‘흩[散]-+-어’로 분석될 어형이나 ‘흣터’로 나타난 것은 어중 유기음 /ㅌ/이 중철 표기된 결과이다.
주며 오 종족과 향니 사이 내 어려셔브터 자라나 벼믈 보고 날을 위여 깃부믈 도와 주니 내 엇디 갑흐리오 더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