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4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4권
  • 오륜행실 형제도
  • 오륜행실형제도(五倫行實兄弟圖)
  • 왕밀역제(王密易弟)
메뉴닫기 메뉴열기

왕밀역제(王密易弟)


오륜행실도 4:20ㄴ

王密易弟【晉】

오륜행실도 4:21ㄱ

王密 上郡人 주001)
상군인(上郡人):
『오륜』의 ‘상군인(上郡人)’은 『이륜』에는 없음.
嘗與弟儁 子元直 如 주002)
자원직여(子元直如):
『오륜』의 ‘여(如)’는 『이륜』에는 ‘서여(西如)’로 되어 있음.
凉州 주003)
양주(凉州):
『오륜』의 ‘양(凉)’(‘양(涼)’의 속자)이 『이륜』에는 ‘양(涼)’으로 되어 있음.
路中糧匱 密 畱儁元直於途 주004)
유준원직어도(留儁元直於途):
준과 원직을 길에 머물게 두고. 『오륜』의 ‘어도(於途)’는 『이륜』에는 ‘서어도(西於途)’로 되어 있음.
乞丐民間 比還儁 爲賊所掠 元直逃逸 密 乃將元直 追賊叩頭求哀 曰人情自當皆愛其子 但此弟未生 家君見背孤遺相長 以至于今 請以元直易儁 賊相謂 曰以子易弟 義之大也 於是以儁元直授密而去 密後亡 儁勺水不入口者五日 雖服喪期年 而心喪 주005)
심상(心喪):
상복은 입지 아니하나 상제와 같은 마음으로 말과 행동을 삼가고 조심함.(『표준』)
六載
道出凉州乞丐歸 旋聞阿弟賊中圍 將兒換弟眞情切 盜賊無知亦解悲
亡親遺腹只斯人 相愛相憐若一身 苟保吾兒棄吾弟 九泉何以謁吾

오륜행실도 4:21ㄴ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왕밀은 딘나라 샹군 사이니 일즉 아 쥰과 아 원직으로 더브러 길을 가다가 냥식이 다 허디니 쥰과 원직을 길 머므로고 주006)
머므르고:
머물게 하고. 대격 명사구를 지배하는 이 예 ‘머므르-’는 ‘머믈[留]-+-오-(사동 접미사)’로 분석될 어형이다. 어간 ‘머믈-’은 이미 중세어부터 나타나는 어형이지만 중세어에서는 철저한 규칙 동사인 반면, 『오륜』에서는 불규칙 활용에도 참여하여 중세어와 차이를 보인다. 곧 중세 문헌에서 ‘머므러’(←머믈-+-어)로 일관하여 나타나던 예가 『오륜』에서는 ‘머므러’〈2:26ㄴ〉와 함께 ‘머믈너’〈2:45ㄴ, 2:72ㄱ〉로도 등장하는 것이다. 이 같은 『오륜』의 활용 양상은 현대어에 근접한 것이나 현대어와 일치하지 않는 차이점도 존재한다. 『오륜』에서는 ‘머믈고’〈2:65ㄴ〉, ‘머믈며’〈5:19ㄱ〉, ‘머므더니’〈2:61ㄱ〉 등에서 보듯이 한결같이 어간 ‘머믈-’의 존재만을 보여 줄 뿐이지만, 현대어에서는 자음 어미 앞에서 ‘머물고/머무르고, 머물더니/머무르더니’ 등이 모두 가능하여 ‘머물-’과 ‘머무르-’가 공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현대의 『표준어 규정』에서는 이 같은 공존 양상과 관련, 양형을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되 ‘머물-’을 ‘머무르-’의 준말로 처리하였다(16항). 그러나 역사적 관점에서 보자면 준말 ‘머물-’을 본래의 어간형으로, ‘머무르-’는 과거의 활용형에서 벗어난 개신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밀이 스로 의 가 밥을 비러 도라 오니 그 이 도적이 와셔 쥰을 잡아 가고 원직은 도망니 밀이 이에 원직을 리고 도적을 라가 마리 조으며 걸여 오 인졍이 응당 식을 랑나 다만 이 아 주007)
아:
아우는. 『이륜(초)』에는 ‘’, 『이륜(중)』에는 ‘아’으로 등장한다. 중세어에서 ‘아’는 모음(매개 모음 포함)으로 시작하는 조사(공동격 제외)와 결합할 때 ‘아~ㅇ’의 특수 어간 교체를 보여 ‘이’(주격형), ‘’(주제형), ‘’(대격형) 등으로 나타났다(『이륜(초)의 예』). /ㅿ/의 음가 소실로 ‘아’형이 생겨난 뒤에도 ‘아’는 이전 시기 ‘아’의 곡용 방식을 따라 ‘아이’, ‘아’, ‘아’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아’이 아닌 ‘아’으로 나타나(『오륜』에는 ‘아’으로 일관) ‘아’가 더 이상 이전 시기 ‘아’의 곡용 방식에 따르지 않고 있다.
나디 아니여셔 아비 죽거 내 길러 내여 이날디 니르니 쳥컨대 내 아과 밧고와디

오륜행실도 4:22ㄱ

주008)
내 아과 밧고와디라:
〈아우를〉 내 아들과 바꾸기를 바란다. 『이륜(초)』에는 ‘이 아로 아 밧고아지라’〈12ㄱ〉, 『이륜(중)』에는 ‘이 아로 아 밧아지라’〈12ㄱ〉로 등장한다. ‘밧고와디라’는 『이륜』류의 상응하는 표기형을 감안할 때 ‘밧고-’에 “소망”을 나타내는 종결형 ‘-아지라’가 결합한 어형으로 분석된다. 표기상 ‘밧고와디라’로 나타난 것은 ‘밧고-’의 /ㅗ/가 지닌 순음성이 후행 음절에 전이되고 여기에 ‘-아지라’의 /지/가 구개음화형으로 잘못 인식되어 부정 회귀가 관여한 결과이다. ‘밧고-’는 ‘ㅺ〉ㄲ’ 등의 어형 변화를 거쳐 현대어 ‘바꾸-’로 이어졌으나, 중세어 이래 ‘NP1-으로 NP2-를 밧고-’의 통사 구조로 나타나던 것은 현대어에서 ‘NP2-를 NP1-과 바꾸-’의 통사 구조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의 예 ‘식으로 아 밧고믄’〈4:22ㄱ〉에서는 중세어 이래의 통사 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현대어에 근접한 통사 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하겠다.
니 도적이 서로 닐오 식으로 아 밧고믄 크게 어딘 일이라 고 쥰과 원직을 다 노코 가니 그 후에 밀이 죽으매 쥰이 닷 주009)
닷:
닷새를. 『이륜』류에는 ‘닷쇄’로 등장하여 이곳의 ‘닷’가 ‘닷쇄’에 소급하는 어형임을 보여 준다. 15세기에는 ‘닷’로 일관하다가 16세기부터 (w 탈락형에 해당하는) ‘닷새’ 형이 등장하는데(‘닷샛 만의’〈번역소학(1517) 9:85ㄴ〉), 이곳의 ‘닷’는 ‘ㆍ〉ㅏ’의 변화와 관련하여 부정 회귀가 관여한 표기로 해석된다. 중세어 ‘엿쇄, 닐웨’의 경우도 비슷한 변화(w 탈락)를 입어 현대어에는 ‘엿새, 이레’의 형태로 남았다.
믈도 아니 먹고 비록 긔년 복을 닙으나 뉵 년을 심상니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12. 왕밀역제(王密易弟)【진나라】- 왕밀이 〈자식을〉 아우와 바꾸려 하다
왕밀(王密)은 진(晉)나라 상군(上郡) 사람이다. 일찍이 아우 왕준(王儁), 아들 왕원직(王元直)과 함께 길을 가다가 양식이 모두 끊어지니, 왕준과 왕원직을 길에 머물게 하고 왕밀이 스스로 마을에 가 밥을 빌어 돌아왔다. 그러는 사이에 도적이 와서 왕준을 잡아 가고 왕원직은 도망하였다. 왕밀이 이에 왕원직을 데리고 도적을 따라가 머리를 조아리며 애걸하여 말하기를, “인정(人情)이 응당 자식을 사랑하〈기 마련이〉나, 다만 이 아우는 태어나지도 않아서 아버지가 죽었기 때문에 내가 길러 내어 이 날까지 이르렀으니, 청컨대 〈아우를〉 내 아들과 바꾸기를 바란다.”라고 하니, 도적이 서로에게 말하기를, “자식을 아우와 바꾸는 일은 크게 어진 일이다.” 하고, 왕준과 왕원직을 다 놓아 주고 갔다. 그 후에 왕밀이 죽으매 왕준이 닷새를 물도 먹지 않았으며, 비록 기년복(朞年服)을 입었으나 육 년 동안을 심상(心喪)하였다.
양주(凉州)로 나선 길에 먹을 것 구해 돌아오니
돌아 들려오느니 사랑하는 아우 적에게 잡혔다고.
아들을 아우와 바꾸려는 진정한 뜻 간절하거니
도적 아는 것 없어도 또 슬픔 알고 아우 돌려보내.
어버이 잃어 유복자는 다만 이 사람이니
서로 사랑하고 서로 불쌍히 여기니 한 몸 같아.
진실로 나의 아들 살리고 나의 아우 버린다면
구천(九泉)에 가서 어떻게 나의 어버이를 보랴.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왕밀리 제 아와 아와 리고 길 가다가 식기 업서 아와 아런 두고 제 호온자 희 식 빌라 갓다가 와 니 아 도긔게 후리여 가고 아 도여 수머 나거 밀리 그 아 가지고 도긔게 가 머리 조 비러 닐우 인이 다 식글 컨마 오직 이 아 나디 아니여셔 아비 죽그시거 내 길어 내여 이만 도엿니  이 아로 아 밧고아지라 대 도들히 서르 닐우 아로 아 밧고니  어디도다 고 다 주어 보내니라 밀리 훼 죽거 아 믓 머굼도 아니 머고 닷쇄 고  니브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상군인(上郡人):『오륜』의 ‘상군인(上郡人)’은 『이륜』에는 없음.
주002)
자원직여(子元直如):『오륜』의 ‘여(如)’는 『이륜』에는 ‘서여(西如)’로 되어 있음.
주003)
양주(凉州):『오륜』의 ‘양(凉)’(‘양(涼)’의 속자)이 『이륜』에는 ‘양(涼)’으로 되어 있음.
주004)
유준원직어도(留儁元直於途):준과 원직을 길에 머물게 두고. 『오륜』의 ‘어도(於途)’는 『이륜』에는 ‘서어도(西於途)’로 되어 있음.
주005)
심상(心喪):상복은 입지 아니하나 상제와 같은 마음으로 말과 행동을 삼가고 조심함.(『표준』)
주006)
머므르고:머물게 하고. 대격 명사구를 지배하는 이 예 ‘머므르-’는 ‘머믈[留]-+-오-(사동 접미사)’로 분석될 어형이다. 어간 ‘머믈-’은 이미 중세어부터 나타나는 어형이지만 중세어에서는 철저한 규칙 동사인 반면, 『오륜』에서는 불규칙 활용에도 참여하여 중세어와 차이를 보인다. 곧 중세 문헌에서 ‘머므러’(←머믈-+-어)로 일관하여 나타나던 예가 『오륜』에서는 ‘머므러’〈2:26ㄴ〉와 함께 ‘머믈너’〈2:45ㄴ, 2:72ㄱ〉로도 등장하는 것이다. 이 같은 『오륜』의 활용 양상은 현대어에 근접한 것이나 현대어와 일치하지 않는 차이점도 존재한다. 『오륜』에서는 ‘머믈고’〈2:65ㄴ〉, ‘머믈며’〈5:19ㄱ〉, ‘머므더니’〈2:61ㄱ〉 등에서 보듯이 한결같이 어간 ‘머믈-’의 존재만을 보여 줄 뿐이지만, 현대어에서는 자음 어미 앞에서 ‘머물고/머무르고, 머물더니/머무르더니’ 등이 모두 가능하여 ‘머물-’과 ‘머무르-’가 공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현대의 『표준어 규정』에서는 이 같은 공존 양상과 관련, 양형을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되 ‘머물-’을 ‘머무르-’의 준말로 처리하였다(16항). 그러나 역사적 관점에서 보자면 준말 ‘머물-’을 본래의 어간형으로, ‘머무르-’는 과거의 활용형에서 벗어난 개신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주007)
아:아우는. 『이륜(초)』에는 ‘’, 『이륜(중)』에는 ‘아’으로 등장한다. 중세어에서 ‘아’는 모음(매개 모음 포함)으로 시작하는 조사(공동격 제외)와 결합할 때 ‘아~ㅇ’의 특수 어간 교체를 보여 ‘이’(주격형), ‘’(주제형), ‘’(대격형) 등으로 나타났다(『이륜(초)의 예』). /ㅿ/의 음가 소실로 ‘아’형이 생겨난 뒤에도 ‘아’는 이전 시기 ‘아’의 곡용 방식을 따라 ‘아이’, ‘아’, ‘아’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아’이 아닌 ‘아’으로 나타나(『오륜』에는 ‘아’으로 일관) ‘아’가 더 이상 이전 시기 ‘아’의 곡용 방식에 따르지 않고 있다.
주008)
내 아과 밧고와디라:〈아우를〉 내 아들과 바꾸기를 바란다. 『이륜(초)』에는 ‘이 아로 아 밧고아지라’〈12ㄱ〉, 『이륜(중)』에는 ‘이 아로 아 밧아지라’〈12ㄱ〉로 등장한다. ‘밧고와디라’는 『이륜』류의 상응하는 표기형을 감안할 때 ‘밧고-’에 “소망”을 나타내는 종결형 ‘-아지라’가 결합한 어형으로 분석된다. 표기상 ‘밧고와디라’로 나타난 것은 ‘밧고-’의 /ㅗ/가 지닌 순음성이 후행 음절에 전이되고 여기에 ‘-아지라’의 /지/가 구개음화형으로 잘못 인식되어 부정 회귀가 관여한 결과이다. ‘밧고-’는 ‘ㅺ〉ㄲ’ 등의 어형 변화를 거쳐 현대어 ‘바꾸-’로 이어졌으나, 중세어 이래 ‘NP1-으로 NP2-를 밧고-’의 통사 구조로 나타나던 것은 현대어에서 ‘NP2-를 NP1-과 바꾸-’의 통사 구조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의 예 ‘식으로 아 밧고믄’〈4:22ㄱ〉에서는 중세어 이래의 통사 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현대어에 근접한 통사 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하겠다.
주009)
닷:닷새를. 『이륜』류에는 ‘닷쇄’로 등장하여 이곳의 ‘닷’가 ‘닷쇄’에 소급하는 어형임을 보여 준다. 15세기에는 ‘닷’로 일관하다가 16세기부터 (w 탈락형에 해당하는) ‘닷새’ 형이 등장하는데(‘닷샛 만의’〈번역소학(1517) 9:85ㄴ〉), 이곳의 ‘닷’는 ‘ㆍ〉ㅏ’의 변화와 관련하여 부정 회귀가 관여한 표기로 해석된다. 중세어 ‘엿쇄, 닐웨’의 경우도 비슷한 변화(w 탈락)를 입어 현대어에는 ‘엿새, 이레’의 형태로 남았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