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4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4권
  • 오륜행실 형제도
  • 오륜행실형제도(五倫行實兄弟圖)
  • 덕규사옥(德珪死獄)
메뉴닫기 메뉴열기

덕규사옥(德珪死獄)


오륜행실도 4:31ㄴ

德珪死獄 주001)
송(宋):
『오륜』의 ‘송(宋)’나라가 『이륜』에서는 ‘당(唐)’나라고 되어 있음.

오륜행실도 4:32ㄱ

鄭德珪 浦江人 주002)
포강인(浦江人):
『오륜』의 ‘포강인(浦江人)’은 『이륜』에는 없음.
與弟德璋 주003)
여제덕장(與弟德璋):
아우 덕장과 더불어. 『오륜』의 ‘여(與)’는 『이륜』에는 없음.
孝友天至 晝則聯几案 夜則同衾被 德璋 素剛直 爲仇家陷以死罪 주004)
위구가함이사죄(爲仇家陷以死罪):
남에게 무함당한 바가 되어 죽을죄로 갇히게 되었다. 『오륜』의 ‘위(爲)’는 『이륜』에서는 ‘일일위(一日爲)’임. 또 『오륜』의 ‘이(以)’는 『이륜』에서는 ‘어(於)’임.
當會逮揚州 德珪 哀弟之見誣 乃陽謂曰彼欲害吾也 何預爾事 我往則奸狀白 爾去得不死乎 卽治行 德璋追至道中 兄弟相持頓足 주005)
돈족(頓足):
발을 구름.(『표준』)
哭爭欲就死 주006)
곡쟁욕취사(哭爭欲就死):
울며 서로 죽기를 다투다. 『오륜』의 ‘곡(哭)’은 『이륜』에는 없음.
德珪黙計 沮其行 夜將半 從間道逸去 德璋 復追至廣陵 德珪已死於獄 德璋聞之 慟絶者數四 주007)
통절자수사(慟絶者數四):
통곡하며 여러 번 기절하다. 『오륜』의 ‘수사(數四)’는 『이륜』에서는 ‘사(四)’임.
負骨歸葬 廬墓再朞 每一悲號 烏鵲翔集不去 주008)
오작상집부거(烏鵲翔集不去):
까막까치가 날아와 가지 않다. 『오륜』의 ‘오작(烏鵲)’은 『이륜』에서는 ‘오작개(烏鵲皆)’임.
同衾聯几每相須 不意剛剛 주009)
강강(剛剛):
마음이나 기력이 아주 단단함.(『표준』)
陷罪誣 視死如歸爭就獄 牽留道上泣相扶
夜半潛歸死獄中 廣

오륜행실도 4:32ㄴ

陵追至慟何窮 再朞廬墓哀號處 烏鵲飛翔慰怨衷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뎡덕규 송나라 포강 사이니 아 덕쟝으로 더브러 효위 지극여 낫이면 주010)
낫이면:
낮이면. 『이륜』류에는 ‘나지면’으로 표기되어 이 예의 ‘낫’이 기저형 ‘낮[晝]’을 표기한 것이다. ‘낮’이 분철 표기되면서 ‘낫’으로 나타난 예는 『오륜』의 다른 곳에도 보인다(따라서 단순한 오기로 볼 수 없다). ‘밤낫으로[晝夜]’〈1:11ㄴ, 1:13ㄴ〉. 중세 문헌에서도 (곡용형에서) ‘낮’이 ‘낫’으로 표기된 경우가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휴지나 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 앞에 국한된 것이었다(‘晝 낫 듀’, ‘낫과 바’ 등). 이곳과 같이 ‘낮’이 분철 표기되면서 ‘낫’으로 나타난 예는 『오륜전비언해』(1721)을 위시하여 18세기 문헌에 와서나 등장한다. ¶세 弟兄이 장 和氣여 낫이면 가지로 놀고 밤이면 가지로 자〈1:2ㄱ〉. 문제는 분철 표기된 종성 ‘ㅅ’이 어떤 음가를 반영하느냐 하는 것이다. 『오륜』의 일반적 표기 방식으로는 분철 표기된 종성 ‘ㅅ’이 /ㄷ/을 반영하지만 ‘낮’이 현대의 어느 방언에서도 ‘잗’으로 실현되는 예가 없음을 감안하면 이곳의 ‘ㅅ’이 /ㄷ/을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예의 ‘ㅅ’이 (현대어의 맞춤법과 마찬가지로) /ㅅ/을 반영할 가능성은 더욱 없다. 『오륜』에서 어간 말 /ㅅ/은 (곡용과 활용 모두에서) 분철 표기되는 법 없이 언제나 ‘ㅅ’으로 연철 표기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오[衣], 모[池], 므어[何], 거[者] ; 버서[脫], 소사[湧]. 『명의록언해』(1777)에, ‘낫은’〈권수 상:59ㄱ〉과 함께 ‘나’〈권수 상:23ㄴ〉이 공존하는 것을 보면, 결국 이곳의 ‘ㅅ’은 /ㅈ/을 반영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곧 『오륜』에서는 분철 표기를 종래보다 확장하여 어간 말 /ㅈ/에까지 적용하되 종성의 표기는 종래의 칠종성법에 따라 (‘낮’이 아닌) ‘낫’으로 적었다고 할 것이다.
상을 년여 안며 밤이면 니블을 가지로 더니 덕쟝이 본 강직디라 의게 무함 배 되여 죽을 죄로 갓치게 되엿거 덕 아의 무죄믈 불샹이 너겨 덕쟝려 거즛 닐러 오 졔 날을 주011)
날을:
나를. 『이륜』류에는 ‘나’로 등장한다. 『오륜』의 다른 곳( 및 비슷한 시기의 다른 문헌)에도 ‘나’〈2:40ㄱ〉이 등장함을 감안할 때, 이곳의 ‘날을’은 어중 /ㄹ/을 과잉 분철한 결과로 해석된다.
해고져 미니 내 가면 져의 간상을 폭리라 주012)
폭리라:
폭백(暴白)하리라. 폭로(暴露)하겠다. 『이륜』류에는 상응하는 부분이 ‘내 가면 발명려니와’〈22ㄱ〉로 나타난다. 『이륜』류와 달리 여기서 ‘발명-’ 대신 ‘폭-’가 사용된 것은 대격어가 ‘져의 간상을’로 나타난 데 원인이 있을 것이다. 근대 문헌에서 어간 ‘발명(發明)-’는 대부분 “죄나 잘못이 없음을 말하여 밝힘”(『표준』)을 뜻하였다. ¶抵蹋 발명여 나 몰내라 다〈어록해(중간본·1669) 28ㄱ〉.
고 즉시 길을 여 가니 덕쟝이 듕노의 라와 형뎨 서로

오륜행실도 4:33ㄱ

븟들고 울며 죽기 톨 덕 아 못 오게 여 밤이 깁흔 후에 이길로 주013)
이길로:
샛길로. 『이륜』 류에는 ‘즈름로’로 등장하나, 여기서는 원문의 ‘간도(間道)’에 충실하게 번역되었다. 『오륜』의 다른 곳에 보이는 ‘이길’도 “지름길”보다는 “샛길”의 의미로 쓰였다. ¶신이 쳥컨대 초 소길 거시니 왕은 이길로 라나쇼셔[王可以間出].〈오륜 2:9ㄴ〉.
자 만이 라나니 덕쟝이  라와 광능  니니 덕 이믜 옥에셔 죽은디라 덕쟝이 이 말을 듯고 통곡여 여러 번 긔졀다가 덕규의 죽엄을 지고 도라와 뭇은 후에 두  슈묘니 양 슬피 울면 가막가치 주014)
가막가치:
까막까치가. 원문의 ‘오작(烏鵲)’을 번역한 것으로, 『이륜(중·영)』의 ‘가막가치히’와 비교할 때 ‘가막가치+-이(주격)’로 분석될 어형이다. ‘가막가치’는 이미 중세 문헌부터 나타나는데(‘가막가치 銀漢 시름고’〈두시언해(1481) 19:10ㄱ〉), ‘가마괴’[烏]와 ‘가치’[鵲]의 복합 명사로서 오늘날에는 (경음화를 반영한) ‘까막까치’로 이어졌다.
라와 가디 아니더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18. 덕규사옥(德珪死獄)【송나라】 - 정덕규가 옥에서 죽다
정덕규(鄭德珪)는 송(宋)나라 포강(浦江) 사람이다. 아우 덕장(德璋)과 함께 효우
(孝友; 효성과 우애)
가 지극하여 낮이면 상(床)을 연(聯)하여 나란히 앉고, 밤이면 이불을 함께 하였다
(덮었다)
. 정덕장이 본디 〈성품이〉 강직한지라 남에게 무함 당한 바가 되어
(무함 당하여)
죽을죄로 〈옥에〉 갇히게 되었다. 정덕규가 아우의 무죄(無罪)함을 불쌍히 여겨 정덕장에게 거짓으로 일러 말하기를, “그가 나를 해(害)하고자 함이니, 내가 가면 그의 간상
(奸狀; 간사한 짓을 하는 모양)
을 폭로하겠다.”라고 하고, 즉시 길을 차려 갔다. 〈이에〉 정덕장이 중로
(中路; 도중)
에 따라와 형제가 서로 붙들고 울며 〈먼저〉 죽기를 다투었다. 정덕규가 아우를 못 오게 하고, 밤이 깊은
(깊어진)
후에 샛길을 찾아 가만히
(몰래)
달아났다. 〈그러자〉 정덕장이 또 따라와 광릉(廣陵) 땅에 이르렀다. 〈이때〉 정덕규가 이미 옥에서 죽은지라 정덕장이 이 말을 듣고 통곡하며 여러 번 기절하다가 정덕규의 주검을 지고 돌아왔다. 〈주검을〉 묻은 후에 두 해 동안을 수묘(守墓)하니, 매번 슬피 울 때마다 까막까치가 날아와 〈떠나〉가지 아니하였다.
한 이불 덮고 책 괴 마주 놓고 늘 서로 따랐어라
뜻하지 않게 강직하여 모함으로 죄에 빠지다니.
죽어서야 돌아가리라 여겨 다투어 옥으로 가자고
길 위에서 끌고 당기며 형제 서로 붙들고 울어라.
밤중에 몰래 돌아가 옥중에서 죽으니
광릉까지 쫓아와 통곡하니 언제까지.
여묘살이 두 해 동안 슬피 울부짖던 곳
까막까치가 날아와 원통한 마음 위로해라.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덕 아 덕이와 여 나지면  의 니 안 밤미면  니브레 자더니 덕이 본 딕여 게 할여 주글 죄로 가티게 엿거 덕 아 거즛 죄 니브 어엿비 너겨 닐우 뎨 나 해코져 니 내 가면 발려니와 네 가면 주그리라 코 티여 니거 덕쟝이 와 길헤 가 뎨 서르 잡고 주그라 가 토더니 덕 마니 소겨 몯 가게 고 밤만 즈름로 수머 니거 덕이  와 가니 덕 마 옥개 드러 죽돗더라 덕이 듣고 네 번 주것다가 여  지어다가 코 두  슈분니  울어 새 가마괴 라와 가디 아니터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송(宋):『오륜』의 ‘송(宋)’나라가 『이륜』에서는 ‘당(唐)’나라고 되어 있음.
주002)
포강인(浦江人):『오륜』의 ‘포강인(浦江人)’은 『이륜』에는 없음.
주003)
여제덕장(與弟德璋):아우 덕장과 더불어. 『오륜』의 ‘여(與)’는 『이륜』에는 없음.
주004)
위구가함이사죄(爲仇家陷以死罪):남에게 무함당한 바가 되어 죽을죄로 갇히게 되었다. 『오륜』의 ‘위(爲)’는 『이륜』에서는 ‘일일위(一日爲)’임. 또 『오륜』의 ‘이(以)’는 『이륜』에서는 ‘어(於)’임.
주005)
돈족(頓足):발을 구름.(『표준』)
주006)
곡쟁욕취사(哭爭欲就死):울며 서로 죽기를 다투다. 『오륜』의 ‘곡(哭)’은 『이륜』에는 없음.
주007)
통절자수사(慟絶者數四):통곡하며 여러 번 기절하다. 『오륜』의 ‘수사(數四)’는 『이륜』에서는 ‘사(四)’임.
주008)
오작상집부거(烏鵲翔集不去):까막까치가 날아와 가지 않다. 『오륜』의 ‘오작(烏鵲)’은 『이륜』에서는 ‘오작개(烏鵲皆)’임.
주009)
강강(剛剛):마음이나 기력이 아주 단단함.(『표준』)
주010)
낫이면:낮이면. 『이륜』류에는 ‘나지면’으로 표기되어 이 예의 ‘낫’이 기저형 ‘낮[晝]’을 표기한 것이다. ‘낮’이 분철 표기되면서 ‘낫’으로 나타난 예는 『오륜』의 다른 곳에도 보인다(따라서 단순한 오기로 볼 수 없다). ‘밤낫으로[晝夜]’〈1:11ㄴ, 1:13ㄴ〉. 중세 문헌에서도 (곡용형에서) ‘낮’이 ‘낫’으로 표기된 경우가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휴지나 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 앞에 국한된 것이었다(‘晝 낫 듀’, ‘낫과 바’ 등). 이곳과 같이 ‘낮’이 분철 표기되면서 ‘낫’으로 나타난 예는 『오륜전비언해』(1721)을 위시하여 18세기 문헌에 와서나 등장한다. ¶세 弟兄이 장 和氣여 낫이면 가지로 놀고 밤이면 가지로 자〈1:2ㄱ〉. 문제는 분철 표기된 종성 ‘ㅅ’이 어떤 음가를 반영하느냐 하는 것이다. 『오륜』의 일반적 표기 방식으로는 분철 표기된 종성 ‘ㅅ’이 /ㄷ/을 반영하지만 ‘낮’이 현대의 어느 방언에서도 ‘잗’으로 실현되는 예가 없음을 감안하면 이곳의 ‘ㅅ’이 /ㄷ/을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예의 ‘ㅅ’이 (현대어의 맞춤법과 마찬가지로) /ㅅ/을 반영할 가능성은 더욱 없다. 『오륜』에서 어간 말 /ㅅ/은 (곡용과 활용 모두에서) 분철 표기되는 법 없이 언제나 ‘ㅅ’으로 연철 표기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오[衣], 모[池], 므어[何], 거[者] ; 버서[脫], 소사[湧]. 『명의록언해』(1777)에, ‘낫은’〈권수 상:59ㄱ〉과 함께 ‘나’〈권수 상:23ㄴ〉이 공존하는 것을 보면, 결국 이곳의 ‘ㅅ’은 /ㅈ/을 반영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곧 『오륜』에서는 분철 표기를 종래보다 확장하여 어간 말 /ㅈ/에까지 적용하되 종성의 표기는 종래의 칠종성법에 따라 (‘낮’이 아닌) ‘낫’으로 적었다고 할 것이다.
주011)
날을:나를. 『이륜』류에는 ‘나’로 등장한다. 『오륜』의 다른 곳( 및 비슷한 시기의 다른 문헌)에도 ‘나’〈2:40ㄱ〉이 등장함을 감안할 때, 이곳의 ‘날을’은 어중 /ㄹ/을 과잉 분철한 결과로 해석된다.
주012)
폭리라:폭백(暴白)하리라. 폭로(暴露)하겠다. 『이륜』류에는 상응하는 부분이 ‘내 가면 발명려니와’〈22ㄱ〉로 나타난다. 『이륜』류와 달리 여기서 ‘발명-’ 대신 ‘폭-’가 사용된 것은 대격어가 ‘져의 간상을’로 나타난 데 원인이 있을 것이다. 근대 문헌에서 어간 ‘발명(發明)-’는 대부분 “죄나 잘못이 없음을 말하여 밝힘”(『표준』)을 뜻하였다. ¶抵蹋 발명여 나 몰내라 다〈어록해(중간본·1669) 28ㄱ〉.
주013)
이길로:샛길로. 『이륜』 류에는 ‘즈름로’로 등장하나, 여기서는 원문의 ‘간도(間道)’에 충실하게 번역되었다. 『오륜』의 다른 곳에 보이는 ‘이길’도 “지름길”보다는 “샛길”의 의미로 쓰였다. ¶신이 쳥컨대 초 소길 거시니 왕은 이길로 라나쇼셔[王可以間出].〈오륜 2:9ㄴ〉.
주014)
가막가치:까막까치가. 원문의 ‘오작(烏鵲)’을 번역한 것으로, 『이륜(중·영)』의 ‘가막가치히’와 비교할 때 ‘가막가치+-이(주격)’로 분석될 어형이다. ‘가막가치’는 이미 중세 문헌부터 나타나는데(‘가막가치 銀漢 시름고’〈두시언해(1481) 19:10ㄱ〉), ‘가마괴’[烏]와 ‘가치’[鵲]의 복합 명사로서 오늘날에는 (경음화를 반영한) ‘까막까치’로 이어졌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