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4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4권
  • 오륜행실 형제도
  • 오륜행실형제도(五倫行實兄弟圖)
  • 조효취팽(趙孝就烹)
메뉴닫기 메뉴열기

조효취팽(趙孝就烹)


오륜행실도 4:9ㄴ

趙孝就烹【漢】

오륜행실도 4:10ㄱ

趙孝 沛國人 주001)
패국인(沛國人):
『오륜』의 ‘패국인(沛國人)’은 『이륜』에는 없음.
遭天下亂 人相食 孝弟禮 爲賊所得 將烹之 孝聞卽自縛詣賊 曰禮 久餓 주002)
구아(久餓):
내 아우는 오래 굶주려. 『오륜』의 ‘아(餓)’는 『이륜』의 ‘와(臥)’임.
羸瘦 주003)
이수(羸瘦):
여위다. 『오륜』의 ‘수(瘦)’는 『이륜』의 ‘질(疾)’임.
不如孝肥飽 賊大驚 並釋之且謂 曰可歸 更持米糒來 孝求不能得 주004)
불능득(不能得):
얻지 못하다. 『오륜』의 ‘불능득(不能得)’은 『이륜』의 ‘부득(不得)’임.
復往報賊願就烹 衆異之 遂不害 明帝 주005)
명제(明帝):
후한(後漢) 제2대 임금. 효명제(孝明帝).
聞基行 召拜諫議大夫
遭時不幸暗傷神 人化爲豺又食人 自縛肥身甘代弟 野心猶感有天倫
野淸何處更求糒 垂橐歸來願就烹 異行能回羣盜腹 高名宜徹九天明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됴효 한나라 패국 사이니 텬해 크게 어즈러

오륜행실도 4:10ㄴ

워 사이 서로 주006)
서로:
서로. 『이륜』류에는 ‘서르’로 등장하여 ‘서르〉서로’의 변화를 보여 준다. 중세어의 ‘서르’는 근대 문헌에서 ‘서’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으나 『오륜』에서는 ‘서로’의 꼴로만 일관되게 나타난다.
잡아먹을 효의 아이 도적의게 잡히여 마 먹으려 거  스로 결박여 도적을 보고 오 내 아 오 주려 날만티 주007)
날만티:
나만치. 나만큼. ‘나+-만치’로 분석될 어형이나 ‘나’가 ‘날’로, “정도”를 표시하는 ‘-만치’가 ‘-만티’로 나타났다. 『이륜』류에서는 ‘날만’으로 등장하여 “정도”를 표시하는 ‘-만’ 앞에 역시 ‘날’이 쓰였다. 중세어 이래 ‘나’는 일부 곡용형에서 ‘날’로 교체되어 나타나는 현상이 존재하였다. ‘날로’(구격형), ‘날란’(주제형), ‘날려’(여격형) 등에서는 ‘나~날’의 교체가 필수적이었고 ‘날와’(공동격형) 같은 곡용형에서는 ‘나~날’의 교체가 수의적이어서 ‘나와’가 공존하였다. 이곳의 ‘날’은 수의적 성격을 띤 ‘나~날’ 교체에 가까운 것인데, 『오륜』과 비슷한 시기의 다른 문헌에는 ‘날만’을 대신하여 ‘나만’이 나타난 예가 보인다. ¶나도 져만 져도 나만 누구여든 제 죵일가〈전설인과곡(1796) 2ㄴ〉. 한편 ‘-만치’가 ‘-만티’로 나타난 것은 ‘-만치’를 구개음화된 어형으로 인식한 나머지 부정 회귀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오륜』과 비슷한 시기의 다른 문헌에는 ‘-만치’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치’는 중세어에서 의존 명사로 쓰였던 ‘만’과 ‘치’의 통합체에 기원을 둔 것으로, 중세어에서 “정도”를 표시하는 ‘만’ 뒤에 “것”의 의미를 지닌 의존 명사 ‘치’가 통합하여 ‘만#치’의 구성을 이루고(‘ 곳부리와 설 가지 半 만 치 우믈 이긔디 몯얏다’〈두시언해 8:42ㄱ〉) 이것이 문법화한 결과 현대어에서 “정도”를 표시하는 보조사 ‘-만치’로 이어진 것이다.
디디 주008)
디디:
살지지. 살이 많지. 원문의 ‘비포(肥飽)’를 옮긴 것으로, 『이륜』류에는 ‘지디’로 등장한다. 어간 ‘지-’가 이곳에서 ‘디-’로 나타난 것은 구개음화를 의식한 부정 회귀의 결과이다. 중세어의 ‘지-’는 ‘히#지-’ 구성(‘히 지도 여위도 아니니라’〈월인석보(1459) 1:26ㄴ〉)이 존재하는 것으로 미루어 “기(肌), 부(膚)”를 뜻하는 명사 ‘ㅎ’에 (‘여위-’와 반의 관계에 있는) ‘지-’가 결합한 복합어로 추정되는데, 이것은 이미 중세어부터 ‘지-’, ‘찌-’ 등의 어형과 공존하였다. ¶내 남지 여위오 젹거니와 지고 거믄 겨지비 마시 됴타 하니〈삼강행실도 열:28ㄱ〉. 도티며 羊이며 거유 올히며  가히 만히 사 오라 야 됴히 쳐 찌거 야 두고〈월인석보 23:73ㄱ〉. 이러한 공존은 근대어에도 이어져 『오륜』과 비슷한 시기의 문헌에는 ‘지-’와 함께 어중 경음화가 일어난 ‘-’, ‘-’의 어형이 공존한다. ¶ 斤 고기 사되 장  거슬 말고〈몽어노걸대(1741) 2:2ㄱ〉.  斤 고기 사므로 장  거슬 말고〈청어노걸대(1765) 2:4ㄴ〉.  근 고기 사되 장 진 이란 말라〈중간노걸대언해(1795) 상:19ㄱ〉. 『오륜』에는 후자의 경음화된 어형에 대하여 부정 회귀가 적용된 ‘-’의 예가 보이기도 한다. 중세어 이래의 ‘지-’는 현대어에 ‘살지-’로, 어중 경음화를 겪은 어형은 ‘살찌-’로 이어졌는데, 현대어에서 ‘살지-’는 “살이 많고 튼실하다”(『표준』)를 뜻하는 형용사로, ‘살찌-’는 “몸에 살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지다”(『표준』)를 뜻하는 동사로 쓰여 종래와 달리 어휘가 분화된 양상을 보인다.
못니 쳥컨대 날을 므라 대 도적이 크게 놀나 형뎨 다 노흐며 닐오 네 도라 가 미시 주009)
미시:
미숫가루를. 원문의 ‘미비(米糒)’에서 ‘비(糒)’를 옮긴 것이다. 『훈몽자회』(1527)에서 ‘糗 미시 구 乾飯屑’〈중:10ㄴ〉이라 하여 ‘미시’를 “건반설(乾飯屑: 말린 밥의 가루)”로 부연 설명한 것을 볼 때, 이곳의 ‘미시’는 현대어의 ‘미숫가루’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어에서 ‘미숫가루’는 “찹쌀이나 멥쌀 또는 보리쌀 따위를 찌거나 볶아서 가루로 만든 식품”(『표준』)을 뜻한다.
가지고 오라 거  구호 엇디 못디라 다시 가셔 도적의게 고고 겨디라 주010)
겨디라:
삶키어지기를 바란다. 동사 어간 ‘-’의 피동사 어간 ‘기-’에 “소망”을 나타내는 종결형 ‘-어지라’가 결합한 어형이다. 『이륜』류에는 ‘겨지라’로 등장하여 이곳의 어형이 자음군 단순화와 함께 구개음화의 부정 회귀가 관여한 결과임을 말해 준다. 어간말 자음군 ‘ㄻ’은 ‘ㄹ’로 단순화되기도 하지만(‘일로부터 후에 내 모 뎨히 올겸올겸 면’〈야윤자경서 45ㄱ〉), 대부분 ‘ㅁ’으로 단순화되는데, ‘ㄹ’이 선행하는 다른 자음군과 비교할 때 ‘ㄻ’은 특히 그 단순화 시기가 빨라 『번역노걸대』(1510?)를 위시하여 이미 16세기부터 그 예가 발견되기 시작한다. ¶짐 다 옴겨 드려오고〈번역노걸대 상:68ㄴ〉.
니 다 긔이히 너겨 노하 보내니 텬 드시고 간의태우 주011)
간의태우:
간의대부(諫議大夫). 이곳의 ‘태우’는 원문의 ‘대부(大夫)’를 옮긴 것이다. ‘대(大)’나 ‘부(夫)’의 당시 한자음이 각각 ‘대’, ‘부’임에도 불구하고 『오륜』에서 ‘대부’는 일관되게 ‘태우’로 표기되었다. ¶大 큰 대〈천자문(송광사판, 1730) 5ㄴ〉. 夫 짓아비 부〈천자문(송광사판, 1730) 11ㄱ〉. 이는 ‘대부’ 자체가 차용어로 들어와 차용 당시의 중국 발음이 반영되거나 계승된 결과로서 이미 중세어부터 ‘태우’의 예가 발견된다. ¶士ㅣ 태우 되옴 양고〈소학언해 4:39ㄴ〉.
벼을 이시다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6. 조효취팽(趙孝就烹)【한나라】- 조효가 삶겨져서 죽기를 자청하다
조효(趙孝)는 한(漢)나라 패국(沛國) 사람이다. 천하가 크게 어지러워 사람들이 서로 잡아 먹을 때에, 조효의 아우가 도적에게 잡혀, 〈도적들이 그 아우를〉 삶아 먹으려 하였다. 이 때 조효가 스스로 결박하여 도적에게 말하기를, “내 아우는 오랫동안 굶주려 나만큼 살지지(살이 많지) 못하니 청컨대 나를 삶으라.” 하였다. 그러자 도적들이 크게 놀라 형제를 다 놓아 주며 〈조효에게〉 말하기를, “〈네〉 돌아가 쌀가루를 가지고 오라.” 하였다. 〈그러나〉 조효가 〈쌀가루를〉 구하러 다니되 얻지 못하자, 다시 가서 도적에게 〈그 같은 사실을〉 알리고 “내가 삶아지기를 바란다.” 하니 〈도적들이 그 말을〉 다 기이하게 여겨 〈형제를〉 놓아 보내었다. 천자(天子)가 〈이 일을〉 들으시고 〈조효에게〉 간의대부(諫議大夫) 벼슬을 시키셨다.
불행한 시대를 만나 속으로 마음을 상하여라
사람이 승냥이가 되어서 또 사람을 잡아먹어.
스스로 뚱뚱한 몸 묶어 아우 대신 할 것 원하니
도둑의 야심 오히려 천륜이 있음에 감동하여.
들이 맑으니 어느 곳에 가서 다시 쌀을 구하랴
빈 자루 둘러메고 돌아와 바로 삶아질 것 원하니.
이 범상하지 않은 행동은 많은 도둑의 마음 돌려
그 높은 이름 마땅히 구천을 밝게 밝히리라.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됴 시졀리 어즈러운 적 맛나 사름미 서르 먹더니 앗 도긔게 잡펴 모려 커 됴 듣고 이여 도긔게 가 닐우 내 아 오래 여 누엇더니 날만 지디 몯니라 대 도기 놀라다 노며 닐우 가 다시  미시 어더 오라 대 됴  얻더가 몯여 다시 도긔게 가 니고 내 겨지라 대 모다 황이 너겨 주기디 아니니 님굼미 드르시고 블러 벼슬 이시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패국인(沛國人):『오륜』의 ‘패국인(沛國人)’은 『이륜』에는 없음.
주002)
구아(久餓):내 아우는 오래 굶주려. 『오륜』의 ‘아(餓)’는 『이륜』의 ‘와(臥)’임.
주003)
이수(羸瘦):여위다. 『오륜』의 ‘수(瘦)’는 『이륜』의 ‘질(疾)’임.
주004)
불능득(不能得):얻지 못하다. 『오륜』의 ‘불능득(不能得)’은 『이륜』의 ‘부득(不得)’임.
주005)
명제(明帝):후한(後漢) 제2대 임금. 효명제(孝明帝).
주006)
서로:서로. 『이륜』류에는 ‘서르’로 등장하여 ‘서르〉서로’의 변화를 보여 준다. 중세어의 ‘서르’는 근대 문헌에서 ‘서’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으나 『오륜』에서는 ‘서로’의 꼴로만 일관되게 나타난다.
주007)
날만티:나만치. 나만큼. ‘나+-만치’로 분석될 어형이나 ‘나’가 ‘날’로, “정도”를 표시하는 ‘-만치’가 ‘-만티’로 나타났다. 『이륜』류에서는 ‘날만’으로 등장하여 “정도”를 표시하는 ‘-만’ 앞에 역시 ‘날’이 쓰였다. 중세어 이래 ‘나’는 일부 곡용형에서 ‘날’로 교체되어 나타나는 현상이 존재하였다. ‘날로’(구격형), ‘날란’(주제형), ‘날려’(여격형) 등에서는 ‘나~날’의 교체가 필수적이었고 ‘날와’(공동격형) 같은 곡용형에서는 ‘나~날’의 교체가 수의적이어서 ‘나와’가 공존하였다. 이곳의 ‘날’은 수의적 성격을 띤 ‘나~날’ 교체에 가까운 것인데, 『오륜』과 비슷한 시기의 다른 문헌에는 ‘날만’을 대신하여 ‘나만’이 나타난 예가 보인다. ¶나도 져만 져도 나만 누구여든 제 죵일가〈전설인과곡(1796) 2ㄴ〉. 한편 ‘-만치’가 ‘-만티’로 나타난 것은 ‘-만치’를 구개음화된 어형으로 인식한 나머지 부정 회귀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오륜』과 비슷한 시기의 다른 문헌에는 ‘-만치’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치’는 중세어에서 의존 명사로 쓰였던 ‘만’과 ‘치’의 통합체에 기원을 둔 것으로, 중세어에서 “정도”를 표시하는 ‘만’ 뒤에 “것”의 의미를 지닌 의존 명사 ‘치’가 통합하여 ‘만#치’의 구성을 이루고(‘ 곳부리와 설 가지 半 만 치 우믈 이긔디 몯얏다’〈두시언해 8:42ㄱ〉) 이것이 문법화한 결과 현대어에서 “정도”를 표시하는 보조사 ‘-만치’로 이어진 것이다.
주008)
디디:살지지. 살이 많지. 원문의 ‘비포(肥飽)’를 옮긴 것으로, 『이륜』류에는 ‘지디’로 등장한다. 어간 ‘지-’가 이곳에서 ‘디-’로 나타난 것은 구개음화를 의식한 부정 회귀의 결과이다. 중세어의 ‘지-’는 ‘히#지-’ 구성(‘히 지도 여위도 아니니라’〈월인석보(1459) 1:26ㄴ〉)이 존재하는 것으로 미루어 “기(肌), 부(膚)”를 뜻하는 명사 ‘ㅎ’에 (‘여위-’와 반의 관계에 있는) ‘지-’가 결합한 복합어로 추정되는데, 이것은 이미 중세어부터 ‘지-’, ‘찌-’ 등의 어형과 공존하였다. ¶내 남지 여위오 젹거니와 지고 거믄 겨지비 마시 됴타 하니〈삼강행실도 열:28ㄱ〉. 도티며 羊이며 거유 올히며  가히 만히 사 오라 야 됴히 쳐 찌거 야 두고〈월인석보 23:73ㄱ〉. 이러한 공존은 근대어에도 이어져 『오륜』과 비슷한 시기의 문헌에는 ‘지-’와 함께 어중 경음화가 일어난 ‘-’, ‘-’의 어형이 공존한다. ¶ 斤 고기 사되 장  거슬 말고〈몽어노걸대(1741) 2:2ㄱ〉.  斤 고기 사므로 장  거슬 말고〈청어노걸대(1765) 2:4ㄴ〉.  근 고기 사되 장 진 이란 말라〈중간노걸대언해(1795) 상:19ㄱ〉. 『오륜』에는 후자의 경음화된 어형에 대하여 부정 회귀가 적용된 ‘-’의 예가 보이기도 한다. 중세어 이래의 ‘지-’는 현대어에 ‘살지-’로, 어중 경음화를 겪은 어형은 ‘살찌-’로 이어졌는데, 현대어에서 ‘살지-’는 “살이 많고 튼실하다”(『표준』)를 뜻하는 형용사로, ‘살찌-’는 “몸에 살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지다”(『표준』)를 뜻하는 동사로 쓰여 종래와 달리 어휘가 분화된 양상을 보인다.
주009)
미시:미숫가루를. 원문의 ‘미비(米糒)’에서 ‘비(糒)’를 옮긴 것이다. 『훈몽자회』(1527)에서 ‘糗 미시 구 乾飯屑’〈중:10ㄴ〉이라 하여 ‘미시’를 “건반설(乾飯屑: 말린 밥의 가루)”로 부연 설명한 것을 볼 때, 이곳의 ‘미시’는 현대어의 ‘미숫가루’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어에서 ‘미숫가루’는 “찹쌀이나 멥쌀 또는 보리쌀 따위를 찌거나 볶아서 가루로 만든 식품”(『표준』)을 뜻한다.
주010)
겨디라:삶키어지기를 바란다. 동사 어간 ‘-’의 피동사 어간 ‘기-’에 “소망”을 나타내는 종결형 ‘-어지라’가 결합한 어형이다. 『이륜』류에는 ‘겨지라’로 등장하여 이곳의 어형이 자음군 단순화와 함께 구개음화의 부정 회귀가 관여한 결과임을 말해 준다. 어간말 자음군 ‘ㄻ’은 ‘ㄹ’로 단순화되기도 하지만(‘일로부터 후에 내 모 뎨히 올겸올겸 면’〈야윤자경서 45ㄱ〉), 대부분 ‘ㅁ’으로 단순화되는데, ‘ㄹ’이 선행하는 다른 자음군과 비교할 때 ‘ㄻ’은 특히 그 단순화 시기가 빨라 『번역노걸대』(1510?)를 위시하여 이미 16세기부터 그 예가 발견되기 시작한다. ¶짐 다 옴겨 드려오고〈번역노걸대 상:68ㄴ〉.
주011)
간의태우:간의대부(諫議大夫). 이곳의 ‘태우’는 원문의 ‘대부(大夫)’를 옮긴 것이다. ‘대(大)’나 ‘부(夫)’의 당시 한자음이 각각 ‘대’, ‘부’임에도 불구하고 『오륜』에서 ‘대부’는 일관되게 ‘태우’로 표기되었다. ¶大 큰 대〈천자문(송광사판, 1730) 5ㄴ〉. 夫 짓아비 부〈천자문(송광사판, 1730) 11ㄱ〉. 이는 ‘대부’ 자체가 차용어로 들어와 차용 당시의 중국 발음이 반영되거나 계승된 결과로서 이미 중세어부터 ‘태우’의 예가 발견된다. ¶士ㅣ 태우 되옴 양고〈소학언해 4:39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