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4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4권
  • 오륜행실 형제도
  • 오륜행실형제도(五倫行實兄弟圖)
  • 군량척처(君良斥妻)
메뉴닫기 메뉴열기

군량척처(君良斥妻)


오륜행실도 4:44ㄱ

君良斥妻【唐】

오륜행실도 4:44ㄴ

劉君良 饒陽人 주001)
요양인(饒陽人):
『오륜』의 ‘요양인(饒陽人)’은 『이륜』에는 없음.
四世同居 주002)
사세동거(四世同居):
4대 동안 한집에 살다. 『오륜』의 ‘동거(同居)’는 『이륜』에는 ‘거(居)’임.
族兄弟猶同産也 門內豆粟尺帛無所私 隋大業中荒饉 妻勸其異居 주003)
처권기이거(妻勸其異居):
처가 그에게 따로 살기를 권하다. 『오륜』의 ‘이거(異居)’는 『이륜』에는 ‘기이거(其異居)’임.
乃易置庭樹烏雛 令鬬且鳴 주004)
영투차명(令鬭且鳴):
서로 싸워 울게 하다. 『오륜』의 ‘투(鬭)’는 『이륜』에는 ‘투(鬪)’임.
家人恠之 妻曰天下亂 禽鳥不相容 况人耶 주005)
항인야(况人耶):
하물며 사람이겠는가. 『오륜』의 ‘항(况)’은 『이륜』에는 ‘황(况)’임.
君良卽與兄弟別處 주006)
군량즉여형제별처(君良卽與兄弟別處):
『오륜』의 ‘군량(君良)’은 『이륜』에는 없음.
月餘 密知其計 因斥去妻 曰爾破吾家 召兄弟 流涕以告 更復同居 貞觀六年 表異其門閭
世同産業 주007)
산업(産業):
여기서는 “재산(財産)”의 의미임.
更同居 四代相傳不少疎 주008)
사대상전부소소(四代相傳不少疎):
『오륜』의 ‘소(疎)’는 『이륜』에는 ‘소(踈)’임.
一婦邪謀寧間我 終敎兄弟復如初 주009)
종교형제부여초(終敎兄弟復如初):
『오륜』의 ‘종(終)’은 『이륜』에는 ‘종(從)’임.
斗粟其誰敢自私 要同門內給寒飢 滔滔 주010)
도도(滔滔):
유행 따위가 바짝 성행하여 걷잡을 수 없음.(『표준』)
好貨私妻子 視此如何不忸怩 주011)
육니(忸怩):
부끄럽고 창피하다.(『표준』)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오륜행실도 4:45ㄱ

뉴군냥은 당나라 요양 사이니  집의 사라 촌수 먼 형뎨도 동티 여 집안의 주012)
집안의:
집안에 있는. 『이륜』류에는 ‘잡안해’로 등장한다. 『이륜』류의 ‘집안해’는 본래 ‘집안햇’으로 나타날 어형이나 16세기 이후 (‘-엣’에서) 속격 ‘-ㅅ’이 생략되는 경향에 따라 ‘집안해’로 나타난 것이다. ‘집안해’와 비교할 때 이 예의 ‘집안의’는 처격 ‘-애’ 대신 ‘-의’가 통합된 것이되, ‘집안’(보다 엄밀히는 ‘안[內]’)이 ㅎ종성 체언의 성격을 잃은 결과라 할 수 있다(그러나 ‘집안’은 ¶집안히〈4:47ㄴ, 4:54ㄴ〉의 예에서 보듯이 ㅎ종성을 부분적으로 유지한 경우도 있다). 현대어역에서는 ‘집안의’가 중세어의 ‘집안햇’에 대응되는 형식임을 감안, “집안에 있는” 정도로 번역하였다.
 말 곡식과  자 비단이라도 로이  배 업더니 흉년을 만나니 군냥의 안 군냥을 권여 로 사라디라 고 이에 만이 에 셧 나모 우희 주013)
나모 우희:
나무 위에 있는. 『이륜(초)』에는 ‘남긧’, 『이륜(중·영)』에는 ‘남긔’로 나타나 ‘우희’(←‘우ㅎ+-의’)에 보이는 ‘-의’ 역시 앞서 ‘집안의’에 보이는 ‘-의’와 마찬가지로 해석될 것이다.
가마귀 삿기 밧고아 두어 여곰 서로 화 주014)
화:
싸워. 『이륜』류에 등장하는 ‘사화’와 비교할 때 어두 경음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표기상 ‘싸화’(←‘싸호-+-아’)가 아닌 ‘화’로 나타난 것은 『오륜』에서 각자병서를 일체 쓰지 않고 종래의 ‘ㅆ’마저도 ‘ㅄ’으로 대체한 결과이다.
울게 니 집 사이 괴이히 너기거 군냥의 쳬 오 텬 어즈러오매 새즘도 주015)
새즘도:
새도. 원문의 ‘금조(禽鳥)’를 번역한 것으로, 『이륜』류에서는 ‘새도’로 번역되었다. 『오륜』에는 ‘새즘’이 “조수(鳥獸)”를 의미하여 병렬 복합어로 쓰인 예도 있지만, 이 예의 ‘새즘’은 단순히 ‘새’와 같은 의미로 쓰여 종속 복합어로 쓰였다고 보아야 한다. 『표준』에는 ‘금조(禽鳥)’를 ‘날짐승’이라 하였다.
서로 용납디 못거든 믈며 사이야 닐러 무엇리오 대 군냥이 즉시 형뎨와 로 사더니   남즉

오륜행실도 4:45ㄴ

여 군냥이 그 쳐의 계교에 속은 줄 알고 쳐 내티며 오 네 엇디 내 집을 그릇 되게 뇨 고 형뎨 불러 눈믈을 흘리며 젼후 연을 다 닐으고 주016)
닐으고:
이르고. 『이륜』류에는 ‘니르고’로 나타나, 이 예의 표기가 어중 /ㄹ/을 과잉 분철된 것임을 보여 준다.
다시 가지로 이시니 후에 나라히 그 집을 졍문니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25. 군량척처(君良斥妻)【당나라】 - 유군량이 아내를 내쫓다
유군량(劉君良)은 당(唐)나라 요양(饒陽) 사람이다. 사대(四代) 동안을 한집에 살면서 촌수 먼 형제도 동생
(同生;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사이)
같이 하여
(대하여)
집안에 있는 곡식 한 말[斗], 비단 한 자[尺]라도 사사로이 하는 바가 없었다. 흉년을 만나니 유군량의 아내가 유군량에게 권하여, “따로 살기를 바란다.” 하고, 이에 남몰래 뜰에 서 있는 나무 위의
(위에 있는)
까마귀 새끼를 바꾸어 두어 〈새끼들로〉 하여금 서로 싸워 울게 하였다. 집안사람들이 괴이히 여기거늘 유군량의 처가 말하기를, “천하가 어지러우매 새들도 서로 용납하지 못하거든 하물며 사람이야 일러 무엇하리오.” 하였다. 〈그러자〉 유군량이 즉시 형제와 〈분가하여〉 따로 살았다. 한 달 남짓하여
(남짓 지나고 나서)
, 유군량이 그 처의 계교(計較)에 속은 줄 알고 처를 내치며
(내쫓으며)
말하기를, “네가 어찌 내 집을 그릇되게(잘못되게) 하느냐?” 하고, 형제를 불러 눈물을 흘리며 전후 사연(辭緣)을 말하고 〈나서〉 다시 함께 있었다(한집에 살았다). 후에 나라에서 그 집을 정문(旌門)하였다.
대대로 같은 산업에 종사하고 동거하고
사대를 이어오며 조금도 소홀함이 없고.
한 며느리의 간사한 꾀 어찌 우리 이간하랴
마침내 형제들 다시 처음처럼 지내도록 해.
한 말의 좁쌀 그 누가 맘대로 하랴 감히
집안의 추위와 굶주림을 함께 하고자 하고.
도도히 재화를 좋아하고 아내 아들만 위해
이를 보면 어떻게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랴.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류군이 네   사라 륙촌 뎨  더니 집 안해  말   잣 깁블 아름뎌 아니더라 시졀리 가난커 겨지비 다티 살라 권며 헷 남긧 새 삿길 자리 밧고아 노하 사화 우지지거 집븻 사름미 이 너기더니 겨집비 닐우듸 시졀리 어즈러워 새도  몯 잇곤 며 사름미여 뎨 각각 닫티 사니   나마 그 들 알오 겨집블 내티며 닐우 네 내 짓일 여리더니라 뎨를 블러 울며 니르고 다시  사니 나라히 졍표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요양인(饒陽人):『오륜』의 ‘요양인(饒陽人)’은 『이륜』에는 없음.
주002)
사세동거(四世同居):4대 동안 한집에 살다. 『오륜』의 ‘동거(同居)’는 『이륜』에는 ‘거(居)’임.
주003)
처권기이거(妻勸其異居):처가 그에게 따로 살기를 권하다. 『오륜』의 ‘이거(異居)’는 『이륜』에는 ‘기이거(其異居)’임.
주004)
영투차명(令鬭且鳴):서로 싸워 울게 하다. 『오륜』의 ‘투(鬭)’는 『이륜』에는 ‘투(鬪)’임.
주005)
항인야(况人耶):하물며 사람이겠는가. 『오륜』의 ‘항(况)’은 『이륜』에는 ‘황(况)’임.
주006)
군량즉여형제별처(君良卽與兄弟別處):『오륜』의 ‘군량(君良)’은 『이륜』에는 없음.
주007)
산업(産業):여기서는 “재산(財産)”의 의미임.
주008)
사대상전부소소(四代相傳不少疎):『오륜』의 ‘소(疎)’는 『이륜』에는 ‘소(踈)’임.
주009)
종교형제부여초(終敎兄弟復如初):『오륜』의 ‘종(終)’은 『이륜』에는 ‘종(從)’임.
주010)
도도(滔滔):유행 따위가 바짝 성행하여 걷잡을 수 없음.(『표준』)
주011)
육니(忸怩):부끄럽고 창피하다.(『표준』)
주012)
집안의:집안에 있는. 『이륜』류에는 ‘잡안해’로 등장한다. 『이륜』류의 ‘집안해’는 본래 ‘집안햇’으로 나타날 어형이나 16세기 이후 (‘-엣’에서) 속격 ‘-ㅅ’이 생략되는 경향에 따라 ‘집안해’로 나타난 것이다. ‘집안해’와 비교할 때 이 예의 ‘집안의’는 처격 ‘-애’ 대신 ‘-의’가 통합된 것이되, ‘집안’(보다 엄밀히는 ‘안[內]’)이 ㅎ종성 체언의 성격을 잃은 결과라 할 수 있다(그러나 ‘집안’은 ¶집안히〈4:47ㄴ, 4:54ㄴ〉의 예에서 보듯이 ㅎ종성을 부분적으로 유지한 경우도 있다). 현대어역에서는 ‘집안의’가 중세어의 ‘집안햇’에 대응되는 형식임을 감안, “집안에 있는” 정도로 번역하였다.
주013)
나모 우희:나무 위에 있는. 『이륜(초)』에는 ‘남긧’, 『이륜(중·영)』에는 ‘남긔’로 나타나 ‘우희’(←‘우ㅎ+-의’)에 보이는 ‘-의’ 역시 앞서 ‘집안의’에 보이는 ‘-의’와 마찬가지로 해석될 것이다.
주014)
화:싸워. 『이륜』류에 등장하는 ‘사화’와 비교할 때 어두 경음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표기상 ‘싸화’(←‘싸호-+-아’)가 아닌 ‘화’로 나타난 것은 『오륜』에서 각자병서를 일체 쓰지 않고 종래의 ‘ㅆ’마저도 ‘ㅄ’으로 대체한 결과이다.
주015)
새즘도:새도. 원문의 ‘금조(禽鳥)’를 번역한 것으로, 『이륜』류에서는 ‘새도’로 번역되었다. 『오륜』에는 ‘새즘’이 “조수(鳥獸)”를 의미하여 병렬 복합어로 쓰인 예도 있지만, 이 예의 ‘새즘’은 단순히 ‘새’와 같은 의미로 쓰여 종속 복합어로 쓰였다고 보아야 한다. 『표준』에는 ‘금조(禽鳥)’를 ‘날짐승’이라 하였다.
주016)
닐으고:이르고. 『이륜』류에는 ‘니르고’로 나타나, 이 예의 표기가 어중 /ㄹ/을 과잉 분철된 것임을 보여 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