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오륜행실도 4집

  • 역주 오륜행실도 제4권
  • 오륜행실 형제도
  • 오륜행실형제도(五倫行實兄弟圖)
  • 장존포금(張存布錦)
메뉴닫기 메뉴열기

장존포금(張存布錦)


오륜행실도 4:35ㄴ

張存布錦【宋】

오륜행실도 4:36ㄱ

張存 冀州人 주001)
기주인(冀州人):
『오륜』의 ‘기주인(冀州人)’은 『이륜』에는 음.
性孝友 嘗爲蜀郡 得奇繪文錦以歸 주002)
득기회문금이귀(得奇繪文錦以歸):
깁과 비단을 구하여 돌아와. 『오륜』의 ‘기(奇)’는 『이륜』에는 ‘기(綺)’임.
悉布於堂上 恣兄弟擇取 常曰兄弟 手足也妻妾 外舍人耳 奈何先外人而後手足乎 收卹宗屬 嫁聘 주003)
가빙(嫁聘):
장가 들이다. 『오륜』의 ‘빙(聘)’은 『이륜』에는 ‘취(娶)’임.
窮嫠 주004)
궁리(窮嫠):
서방님을 맞게 하다. 『오륜』의 ‘리(嫠)’는 『이륜』에는 ‘무(婺)’임.
不使一人失所 주005)
부사일인실소(不使一人失所):
한 사람도 의지할 사람이 없게 하다. 『오륜』의 ‘인(人)’은 『이륜』에는 ‘부(夫)’임.
家居矜莊 子孫非正衣冠不見 주006)
가거긍장 자손비정의관부견(家居矜莊子孫非正衣冠不見):
마지막 문장인 『오륜』의 ‘家居矜莊 子孫非正衣冠不見’은 『이륜』에는 없음.
稟性於天篤友于 從來不復念妻孥 相懷只見連枝 주007)
연지(連枝):
한 뿌리에서 난 이어진 가지라는 뜻으로 형제자매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표준』)
重 堂上文繪盡向輸
手足何如外舍人 肯先家室後天倫 收卹孤嫠婚嫁畢 주008)
수술고리혼가필(收卹孤嫠婚嫁畢):
외로운 친척들 거두어 시집 장가 끝내다. 『오륜』의 ‘리(嫠)’는 『이륜』에는 ‘무(婺)’임.
誰能似子篤親親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댱존은 송나라 긔쥬 사이니 텬셩이 효도롭고 우더니 일즉 쵹군에 원을 여 갓다가 깁과

오륜행실도 4:36ㄴ

비단을 어더 도라 와 다 당 우 펴 노코 형뎨로 여곰 대로 희여 가지라 고 양 닐오 형뎨 손과 발 고 쳐쳡은 의 집 사이니 엇디 의 집 사을 몬져 고 손발을 후에 리오 고 종족을 주009)
종족을:
종족(宗族)을. 원문의 ‘종속(宗屬)’을 번역한 것으로, 이 예의 ‘종족’은 “성(姓)과 본(本)이 같은 겨레붙이”(『표준』)를 뜻한다. 『오륜』의 다른 곳에는 ‘종족’을 대신하여 ‘겨레’가 쓰인 예도 보인다. ¶ 주기 됴화 며 더욱 종족의게 후히 여 … 겨레 듕에 나 만코 어딘 사 나흘 희여[尤厚御族人…擇族人長而賢者]〈오륜 4:50ㄴ〉. ‘겨레’는 『소학언해(1586)』(‘그 시절 녯 가문과 오란 겨레들히〈6:75ㄱ〉)를 위시하여 16세기 말부터 등장하는데 이전 시기에는 ‘아’ 내지 이것의 변화형 ‘아, 아음, 아’ 등이 일반적으로 쓰였다. ‘아’계 어형은 18세기 이후부터 문헌상에서 자취를 감추어, 『이륜』류에 등장하는 ‘아, 아’도 『오륜』에서는 대부분 ‘종족’ 내지 ‘겨레’(표기상으로는 ‘겨’로도 등장함)로 대치되어 나타난다.
거두어 댱가 드리고 셔방 맛쳐 주010)
댱가 드리고 셔방 맛쳐:
장가를 들이고 서방을 맞혀. 장가들이고 시집보내. 원문의 ‘가빙궁리(嫁聘窮嫠)’를 번역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남진 겨집 얼여’로만 번역되어 원문의 ‘가(嫁)’가 번역에 반영되지 않았다. 『오륜』에서는 ‘가(嫁)’를 번역에 반영하여 ‘셔방 맛쳐’로 번역하였는데, 여기서 ‘맛쳐’는 ‘맞히-+-어’로 분석될 어형으로, 어간 ‘맞-’의 사동사 ‘맞히-’가 “맞게 하다, 맞이하게 하다”의 의미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맞히-+-어’가 ‘맛쳐’로 나타난 것은 어중에서 실현되는 /ㅊ/이 중철 표기된 것이다.
 사도 의디 업게 아니고 집안에 이실 제 거동이 엄뎡니 손이 의관을 바르디 주011)
바르디:
바르게 하지. 원문의 ‘정(正)’을 옮긴 것으로, 이곳의 어간 ‘바르-’는 중세어의 ‘바-’에 소급할 어형이다. 중세어에서 ‘바-’는 “직(直; 곧다, 바르다)”을 뜻하는 형용사뿐만 아니라 “사직(使直; 바르게 하다, 바로잡다)”을 뜻하는 타동사로도 쓰였다. 이곳의 ‘바르-’는 대격어(‘의관을’)를 취하여 후자의 쓰임을 이은 것이라 하겠는데, 현대어에서 ‘바르-’는 형용사로만 쓰이고 타동사로는 ‘바루-’가 쓰여 품사 범주에 따라 어형의 차이를 보인다.
아니면 뵈디 못더라
Ⓒ 편찬 | 이병모·윤시동 외 / 1797년(정조 21)

20. 장존포금(張存布錦)【송나라】 - 장존이 비단을 펴 놓다
장존(張存)은 송(宋)나라 기주(冀州) 사람이다. 천성이 효도롭고 우애하였다
(우애가 있었다)
. 일찍이 촉군(蜀郡)에 원(員)을 하여 갔다가 깁과 비단을 구하여 돌아와 모두 당
(堂; 마루)
위에 펴 놓고 형제로 하여금 “마음대로 가려(골라) 가지라.” 하였다. 늘상 말하기를, “형제는 손과 발 같고 처첩(妻妾)은 남의 집 사람인데, 어찌 남의 집 사람을 먼저 하고
(우선하고)
손발을 후에
(나중에)
하리요.” 하였다. 〈또〉 종족을 거두어 장가를 들이고 서방을 맞혀
(맞이하게 하여)
한 사람도 의지
(依支; 의지할 사람)
가 없게 아니하였다. 집 안에 있을 때
(때는)
거동(擧動)이 엄정(嚴正)하니, 자손이 의관(衣冠)을 바르게 하지 아니하면 〈장존을〉 뵙지 못하였다.
하늘이 낸 성품이련가 우애가 돈독하여라
종래부터 형제외의 아내는 염두에 두지 않아.
연리지(連理枝)의 사랑이듯 서로 그리워하고
당 위에 아름다운 비단 모두 가지고 가게 하다.
손과 발 어찌하여 남의 집 사람과 같으랴
먼저 아내를 위하고 뒤에 천륜을 위할까.
외로운 친척들 거두어 시집 장가 끝내니
누가 아들처럼 친척들을 돈독히 하였을까.
Ⓒ 역자 | 이광호 / 2016년 11월 일

〈이륜행실언해문〉
댱존니 이 효도코 동 터니 쇽군 원 여 갓다가 비단 깁 어더 와 다 지븨다가 펴 노하 두고 뎨 제 로 여 가져 가라 더니 닐우 형뎨 손발 고 쳐쳡븐 밧 짓 사미니 엇디 밧 사름믈 몬져 코 손발를 후에 리오 아믈 어엿비 너겨 남진 겨집 얼여 나토 실소 아니케 더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기주인(冀州人):『오륜』의 ‘기주인(冀州人)’은 『이륜』에는 음.
주002)
득기회문금이귀(得奇繪文錦以歸):깁과 비단을 구하여 돌아와. 『오륜』의 ‘기(奇)’는 『이륜』에는 ‘기(綺)’임.
주003)
가빙(嫁聘):장가 들이다. 『오륜』의 ‘빙(聘)’은 『이륜』에는 ‘취(娶)’임.
주004)
궁리(窮嫠):서방님을 맞게 하다. 『오륜』의 ‘리(嫠)’는 『이륜』에는 ‘무(婺)’임.
주005)
부사일인실소(不使一人失所):한 사람도 의지할 사람이 없게 하다. 『오륜』의 ‘인(人)’은 『이륜』에는 ‘부(夫)’임.
주006)
가거긍장 자손비정의관부견(家居矜莊子孫非正衣冠不見):마지막 문장인 『오륜』의 ‘家居矜莊 子孫非正衣冠不見’은 『이륜』에는 없음.
주007)
연지(連枝):한 뿌리에서 난 이어진 가지라는 뜻으로 형제자매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표준』)
주008)
수술고리혼가필(收卹孤嫠婚嫁畢):외로운 친척들 거두어 시집 장가 끝내다. 『오륜』의 ‘리(嫠)’는 『이륜』에는 ‘무(婺)’임.
주009)
종족을:종족(宗族)을. 원문의 ‘종속(宗屬)’을 번역한 것으로, 이 예의 ‘종족’은 “성(姓)과 본(本)이 같은 겨레붙이”(『표준』)를 뜻한다. 『오륜』의 다른 곳에는 ‘종족’을 대신하여 ‘겨레’가 쓰인 예도 보인다. ¶ 주기 됴화 며 더욱 종족의게 후히 여 … 겨레 듕에 나 만코 어딘 사 나흘 희여[尤厚御族人…擇族人長而賢者]〈오륜 4:50ㄴ〉. ‘겨레’는 『소학언해(1586)』(‘그 시절 녯 가문과 오란 겨레들히〈6:75ㄱ〉)를 위시하여 16세기 말부터 등장하는데 이전 시기에는 ‘아’ 내지 이것의 변화형 ‘아, 아음, 아’ 등이 일반적으로 쓰였다. ‘아’계 어형은 18세기 이후부터 문헌상에서 자취를 감추어, 『이륜』류에 등장하는 ‘아, 아’도 『오륜』에서는 대부분 ‘종족’ 내지 ‘겨레’(표기상으로는 ‘겨’로도 등장함)로 대치되어 나타난다.
주010)
댱가 드리고 셔방 맛쳐:장가를 들이고 서방을 맞혀. 장가들이고 시집보내. 원문의 ‘가빙궁리(嫁聘窮嫠)’를 번역한 것으로, 『이륜』류에는 ‘남진 겨집 얼여’로만 번역되어 원문의 ‘가(嫁)’가 번역에 반영되지 않았다. 『오륜』에서는 ‘가(嫁)’를 번역에 반영하여 ‘셔방 맛쳐’로 번역하였는데, 여기서 ‘맛쳐’는 ‘맞히-+-어’로 분석될 어형으로, 어간 ‘맞-’의 사동사 ‘맞히-’가 “맞게 하다, 맞이하게 하다”의 의미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맞히-+-어’가 ‘맛쳐’로 나타난 것은 어중에서 실현되는 /ㅊ/이 중철 표기된 것이다.
주011)
바르디:바르게 하지. 원문의 ‘정(正)’을 옮긴 것으로, 이곳의 어간 ‘바르-’는 중세어의 ‘바-’에 소급할 어형이다. 중세어에서 ‘바-’는 “직(直; 곧다, 바르다)”을 뜻하는 형용사뿐만 아니라 “사직(使直; 바르게 하다, 바로잡다)”을 뜻하는 타동사로도 쓰였다. 이곳의 ‘바르-’는 대격어(‘의관을’)를 취하여 후자의 쓰임을 이은 것이라 하겠는데, 현대어에서 ‘바르-’는 형용사로만 쓰이고 타동사로는 ‘바루-’가 쓰여 품사 범주에 따라 어형의 차이를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