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금강경삼가해 제3

  • 역주 금강경삼가해
  • 역주 금강경삼가해 제3
  • 12.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 존중정교분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존중정교분 1


【경】

금강경삼가해 권3:1ㄱ

復次須菩提야 隨說是經야 乃至四句偈等히 當知此處 一切世間天人阿修羅ㅣ 皆應供養호 如佛塔廟ㅣ니 何況有人이 盡能受持讀誦호미여 須菩提야 當知是人이 成就最上第一希有之法이니

【說誼】四句偈者 對全經야셔 而言其小分也ㅣ라 雖是小分이라도 隨所說處야 皆應供養호 如塔이니 小分

금강경삼가해 권3:1ㄴ

도 尙爾온 況盡能持說全經者乎ㅣ여

금강경삼가해 권3:1ㄴ

四句偈 오 주001)
오:
온전한. 오-[全]+ㄴ.
經 對야셔 주002)
대야셔(對-):
-에 대하여. ‘- 對야셔’에 조사 ‘-’과 어미 ‘-셔’가 쓰인 것은 현대국어와 다르다.
그 져근 分 니시니라 비록 이 져근 分이라도 니논 고 주003)
고:
곳을. 곧[處]+.
조차 다 供養호 塔티 리니 져근 分도 오히려 그러콘 주004)
그러콘:
그러하거늘. 그러-+고+ㄴ(보조사).
며 다 能히 오 經 디녀 니 사미녀 주005)
사미녀:
사람에 대해서야(더 말할 것이 있겠느냐). ‘-이녀’가 서술부에 쓰이면 서술문, 서술부 외의 위치에 쓰이면 의문문이다.

4구게는 온전한 경전에 대하여 그 작은 부분을 이르신 것이다. 비록 이것이 작은 부분이라도 설하는 곳을 좇아가 다 공양하되 탑같이 할 것이니, 작은 부분도 오히려 그러하거늘 하물며 다 능히 온전한 경전을 지니고서 설하는 사람에게야(당연히 한없이 공양하여야 하지 않겠느냐)?

【說誼】此則不啻如塔廟尊崇이라 當知是人이 決定成就最上無上第一無比稀有難得之法也ㅣ로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이 塔廟티 尊崇 미 아니라 이 사미 一定 주006)
일정(一定):
틀림없음. 분명함.
야 주007)
:
가장.
노파 우 업스며 第一이며 가뵴 주008)
가뵴:
견줌이. ‘가뵳 거시’로 나타나지 않은 것은 현대국어와 다른 점이다.
업스며 이쇼미 노라 주009)
노라:
드물어. 놀-[稀]+아.
得호미 어려운 주010)
어려운:
어렵-+은→어려〉어려운.
일울 주011)
일울:
이룰. 일-[成]+우(사동접미사)+ㄹ.
반기 주012)
반기:
반드시. 반(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15세기 국어에는 [必]의 고유어로 ‘반기’ 외에 ‘반시(두초24:32), 반개(두초25:2), 모(용88)’ 등이 있었다.
알리로다 주013)
알리로다:
알겠도다. 알-+리+도/로+다. ‘-도-’는 서술격조사 및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된다.
Ⓒ 언해 | 자성대비 / 1482년(성종 13)

이는 탑묘같이 우러를 따름이 아니라 이 사람이 분명히 가장 높아 위 없으며 제일이며 견줄 것이 없으며 있음이 드물어 얻기가 어려운 법을 이룰 것을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6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오:온전한. 오-[全]+ㄴ.
주002)
대야셔(對-):-에 대하여. ‘- 對야셔’에 조사 ‘-’과 어미 ‘-셔’가 쓰인 것은 현대국어와 다르다.
주003)
고:곳을. 곧[處]+.
주004)
그러콘:그러하거늘. 그러-+고+ㄴ(보조사).
주005)
사미녀:사람에 대해서야(더 말할 것이 있겠느냐). ‘-이녀’가 서술부에 쓰이면 서술문, 서술부 외의 위치에 쓰이면 의문문이다.
주006)
일정(一定):틀림없음. 분명함.
주007)
:가장.
주008)
가뵴:견줌이. ‘가뵳 거시’로 나타나지 않은 것은 현대국어와 다른 점이다.
주009)
노라:드물어. 놀-[稀]+아.
주010)
어려운:어렵-+은→어려〉어려운.
주011)
일울:이룰. 일-[成]+우(사동접미사)+ㄹ.
주012)
반기:반드시. 반(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15세기 국어에는 [必]의 고유어로 ‘반기’ 외에 ‘반시(두초24:32), 반개(두초25:2), 모(용88)’ 등이 있었다.
주013)
알리로다:알겠도다. 알-+리+도/로+다. ‘-도-’는 서술격조사 및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된다.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