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금강경삼가해 제3

  • 역주 금강경삼가해
  • 역주 금강경삼가해 제3
  • 14.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 이상적멸분 14
메뉴닫기 메뉴열기

이상적멸분 14


【경】 須菩提야 如來所得法이 此法이 無實無虛니라

【說誼】前明所說시고 此明所得시니 所說이 亦只是不二法이며 所得이 亦只是不二法이니 無實無虛ㅣ라 샤미 是言不二시니라

알 주001)
알:
앞에서는.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닐온 바 기시고 주002)
기시고:
밝히시고. -[明]+이(사동접미사)+시+고. ‘-시-’의 이형태 ‘-샤-’를 인정하고, 자음 앞에서는 ‘-시-’가 쓰이고 모음 앞에서는 ‘-샤-’가 쓰인다고 기술하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그러나 그렇게 보기 위해서는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 앞에서도 ‘-시-’가 ‘-샤-’로 나타나야 할 텐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그러므로 이 책에서는 ‘-시-’의 이형태 ‘-샤-’는 인정하지 않기로 한다.
이 得혼 바 기시니 니신 배  오직 이 둘 아닌 法이며 得혼 배  오직 이 둘 아닌 法이니 實 업스며 虛 업다 샤미 이 不二 니시니라

앞에서는 말한 바를 밝히시고 여기에서는 얻은 바를 밝히시니, 말씀하신 것이 또 오직 이것이 둘 아닌 법이며, 얻은 바가 또 오직 이것이 둘 아닌 법이니, 실 없으며 허 없다 하심은 이것은 불이(不二)를 이르신 것이다.

【冶父】水中鹹味며 色裡膠淸이로다

水中엣 주003)
:
짠. -[鹹]+ㄴ.
마시며 彩色 소뱃 주004)
소뱃:
속에 있는. 솝[裏]+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갓블 주005)
갓블:
아교풀.
니로다 주006)
니로다:
맑은 것이로다. -++이(의존명사)+Ø(서술격조사)+도/로+다. ‘-도-’는 서술격조사 및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된다.

물 속의 짠 맛이며 색깔 속에 있는 아교풀 맑은 것이로다.

【說誼】是有아 是無아 是實가 是虛아

주007)
이:
이것은. 이+Ø(주격조사).
이슘가 주008)
이슘가:
있음인가. 이시-+움(명사형어미)+가(의문보조사). ‘이시-’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이 업솜가 이 實녀 이

금강경삼가해 권3:39ㄴ

虛녀

이는 있음인가, 이는 없음인가? 이는 실한가, 이는 허한가?

【頌】硬似鐵며 軟如酥니 看時有ㅣ러니 覓還無ㅣ로다 雖然步步애 常相守나 要且無人이 識得渠ㅣ로다 咦

구두미 쇠 며 주009)
며:
같으며. +-+나. 어간이 ‘/-’으로 나타기도 함.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보라오미 주010)
보라오미:
부드러움이. 보(불규칙적 어근)+압(형용사파생 접미사)+옴+이→보라미〉보라오미.
酥 니 볼 時節엔 잇더니 어드니 도로 업도다 비록 步步애 녜 주011)
녜:
늘. 한자어 ‘常例(례)’인데 중세 문헌에서 대개 한자로 적히지 않고 정음으로 적힌다. 게다가 자음동화 현상이 표기에 반영된 것은 당시에 이 어휘가 한자어라는 인식이 아주 엷었음을 보여 준다.
서르 守나 求컨댄 사미 저 알 주012)
리:
사람이. 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관형어 ‘알’의 영향을 받아 ‘ㄹ’이 첨가됨.
업도다 咦【酥 져즈로 론 주013)
론:
만든. -+오/우+ㄴ.
거시니 게셔 주014)
게셔:
소에게서. 쇼[牛]+의게셔(부사격조사).
나니 주015)
나니:
난 것이. 나-[出]+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져지오 져즈로 로니酪이오 酪로 로니 酥ㅣ라】

굳기가 쇠 같으며 부드러움이 연유[酥] 같으니, 볼 때엔 있더니 얻으니 도로 없도다. 비록 걸음마다 늘 서로 지키지만(따르지만) 구하면 사람이 그를 알 사람이 없도다. 이(咦)!【수(酥)는 젖으로 만든 것이니, 소에게서 난 것이 젖이고, 젖으로 만든 것이 낙이고, 낙으로 만든 것이 수(酥)이다.】

【說誼】且强且柔니 易見難曉ㅣ로다 雖一切處에 披露分明나 乃一切處에 摸扌索不著이로다 更知道十聖三賢이 不知處ㅣ여 有時예 閑掛寺門前이로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 구드며  부드러우니 수이 보 아로미 어렵도다 비록 一切ㅅ 고대 주016)
고대:
곳에. 곧[處]+애(부사격조사).
혜혀 주017)
혜혀:
헤치어. 헤-[披]+혀(강세 접미사)+어(연결어미).
나토미 주018)
나토미:
나타냄이. 낱-+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사동형이라면 ‘나토오미’로 적힘.
分明나 一切ㅅ 고대 어두 著디 몯리로다 주019)
몯리로다:
못하리로다. 몯(부사)+-+리+도/로+다. ‘-도-’는 서술격조사.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된다.
十聖과 三賢 주020)
괘:
-이/가.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에서는 ‘-와/과’로 나열되는 마지막 체언 뒤에도 ‘-와/과’가 쓰였다.
아디 몯 고디여 주021)
고디여:
곳이여. 곧[處]+이여(호격조사).
잇다감 주022)
잇다감:
이따금.
겨르

금강경삼가해 권3:40ㄱ

이
주023)
겨르이:
한가로이. 겨를[暇]+(형용사파생 접미사)+이(부사파생 접미사). ‘ㄹ’ 탈락.
주024)
뎘:
절의. 뎔[寺]+ㅅ(관형격조사).
門 알 거렛다 주025)
거렛다:
걸려 있다. 걸-[掛]+어(연결어미)+잇-+다. 평서형 종결어미 ‘-다’와 ‘-라’의 대립은 상보적이다.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서 쓰이고,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서 쓰인다. ‘-아/어#잇-’은 ‘-앳/엣-’을 거쳐 ‘-앗/엇-’으로 발달하였고,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 ‘-았/었-’으로 정착되었다. 중세국어 시기에 ‘-아/어#잇-, -앳/엣-, -앗/엇-’이 모두 나타난다. ‘잇-’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닐온 주026)
: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 아롤 디로다 주027)
디로다:
것이로다.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도/로+다. ‘-도-’는 서술격조사임.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는 ‘-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된다.
十聖 주028)
십성(十聖):
10지위의 보살.
三賢 주029)
삼현(三賢):
보살 수행의 지위.
 法數에 잇니라】
Ⓒ 언해 | 자성대비 / 1482년(성종 13)

또 굳으며 또 부드러우니, 쉽게 보되 알기는 어렵도다. 비록 일체처에 헤쳐서 나타남이 분명하나 일체처에 얻기를 짓기는 못하리로다. 10성과 3현이 알지 못하는 곳이여. 이따금 한가롭게 절 문 앞에 걸려 있다고 말한 것을 또 알아야 할지로다.【10성 3현은 법수에 있느니라.】
Ⓒ 역자 | 이유기 / 2006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알:앞에서는.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2)
기시고:밝히시고. -[明]+이(사동접미사)+시+고. ‘-시-’의 이형태 ‘-샤-’를 인정하고, 자음 앞에서는 ‘-시-’가 쓰이고 모음 앞에서는 ‘-샤-’가 쓰인다고 기술하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그러나 그렇게 보기 위해서는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 앞에서도 ‘-시-’가 ‘-샤-’로 나타나야 할 텐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그러므로 이 책에서는 ‘-시-’의 이형태 ‘-샤-’는 인정하지 않기로 한다.
주003)
:짠. -[鹹]+ㄴ.
주004)
소뱃:속에 있는. 솝[裏]+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005)
갓블:아교풀.
주006)
니로다:맑은 것이로다. -++이(의존명사)+Ø(서술격조사)+도/로+다. ‘-도-’는 서술격조사 및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된다.
주007)
이:이것은. 이+Ø(주격조사).
주008)
이슘가:있음인가. 이시-+움(명사형어미)+가(의문보조사). ‘이시-’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주009)
며:같으며. +-+나. 어간이 ‘/-’으로 나타기도 함.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010)
보라오미:부드러움이. 보(불규칙적 어근)+압(형용사파생 접미사)+옴+이→보라미〉보라오미.
주011)
녜:늘. 한자어 ‘常例(례)’인데 중세 문헌에서 대개 한자로 적히지 않고 정음으로 적힌다. 게다가 자음동화 현상이 표기에 반영된 것은 당시에 이 어휘가 한자어라는 인식이 아주 엷었음을 보여 준다.
주012)
리:사람이. 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관형어 ‘알’의 영향을 받아 ‘ㄹ’이 첨가됨.
주013)
론:만든. -+오/우+ㄴ.
주014)
게셔:소에게서. 쇼[牛]+의게셔(부사격조사).
주015)
나니:난 것이. 나-[出]+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Ø(주격조사).
주016)
고대:곳에. 곧[處]+애(부사격조사).
주017)
혜혀:헤치어. 헤-[披]+혀(강세 접미사)+어(연결어미).
주018)
나토미:나타냄이. 낱-+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사동형이라면 ‘나토오미’로 적힘.
주019)
몯리로다:못하리로다. 몯(부사)+-+리+도/로+다. ‘-도-’는 서술격조사.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고 있는 ‘-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된다.
주020)
괘:-이/가.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중세국어에서는 ‘-와/과’로 나열되는 마지막 체언 뒤에도 ‘-와/과’가 쓰였다.
주021)
고디여:곳이여. 곧[處]+이여(호격조사).
주022)
잇다감:이따금.
주023)
겨르이:한가로이. 겨를[暇]+(형용사파생 접미사)+이(부사파생 접미사). ‘ㄹ’ 탈락.
주024)
뎘:절의. 뎔[寺]+ㅅ(관형격조사).
주025)
거렛다:걸려 있다. 걸-[掛]+어(연결어미)+잇-+다. 평서형 종결어미 ‘-다’와 ‘-라’의 대립은 상보적이다.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서 쓰이고,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서 쓰인다. ‘-아/어#잇-’은 ‘-앳/엣-’을 거쳐 ‘-앗/엇-’으로 발달하였고,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 ‘-았/었-’으로 정착되었다. 중세국어 시기에 ‘-아/어#잇-, -앳/엣-, -앗/엇-’이 모두 나타난다. ‘잇-’의 이형태는 세 가지이다. 모음 앞에서는 ‘이시-’,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인다.
주026)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27)
디로다:것이로다.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도/로+다. ‘-도-’는 서술격조사임.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구성 요소로 지니는 ‘-리-’ 뒤에서는 ‘-로-’로 교체된다.
주028)
십성(十聖):10지위의 보살.
주029)
삼현(三賢):보살 수행의 지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