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금강경삼가해 제4

  • 역주 금강경삼가해
  • 역주 금강경삼가해 제4
  • 25. 화무소화분(化無所化分)
  • 화무소화분 1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무소화분 1


【경】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汝等이 勿謂如來ㅣ 作是念호 我當度衆生이라 라 須菩提야 莫作是念라 何以故오 實無有衆生이 如來度者니 若有衆生이 如來度者ㅣ라 면 如來ㅣ 卽有我人衆生壽者ㅣ니라

【說誼】衆生이 本成佛이라 佛不度衆生이시니라 爲甚如此오 眞如界內옌 無生佛며 平等性中엔 無自它니 見

금강경삼가해 권4:53ㄴ

有可度ㅣ면 成自他ㅣ어니 豈謂如來無我人이리오

衆生이 本來 부톄론 주001)
부톄론:
부처인. 부텨+ㅣ(서술격조사)+오/우+ㄴ.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오-’가 ‘-로-’로 교체됨.
디라 부톄 衆生 度티 아니시니라 므스글 爲야 이 뇨 眞如界內옌 衆生과 부텨왜 업스며 平等性 中엔 나와 괘 업스니 어루 度호미 잇논  보면 나와 괘 일리어니 주002)
일리어니:
일어나리니. 일-[成]+리+거/어+니.
엇뎨 如來ㅣ 我人이 업스시다 니리오

중생이 본래 부처인지라 부처께서 중생을 제도하지 아니하시느니라. 무엇을 위하여 이 같은가? 진여계 속에는 중생과 부처가 없으며 평등성 중에는 나와 남이 없으니, 가히 제도함이 있는 것을 보면 나와 남의 구별이 일어나리니, 어찌 여래가 나와 남을 분별하는 상이 없으시다 이르리오?

【冶父】春蘭秋菊이 各自馨香니라

주003)
:
봄의. 봄+ㅅ(관형격조사).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蘭과  菊花ㅣ 各各 제여곰 주004)
제여곰:
제각각. 스스로.
곳다오니라 주005)
곳다오니라:
꽃다우니라. 곶++니+라.

봄의 난초와 가을의 국화가 각각 스스로 꽃다우니라.

【說誼】十類生과 與十方佛왜 一時成道며 十方佛와 與十類生괘 同日涅槃니 生佛相이 本寂야 能所度ㅣ 亦寂도다

가짓 주006)
가짓:
가지의. 가지+ㅅ(관형격조사).
衆生과 十方佛왜  주007)
:
동시에. [一](수관형사)+[時]+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현대국어 ‘함께’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기도 함.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成道며 十方佛와 열 가짓 衆生괘  날 涅槃니 生과 佛왓 相이 本來 괴외야 주008)
능(能):
능도(能度). 제도하는 이.

금강경삼가해 권4:54ㄱ

주009)
소(所):
소도(所度). 제도 받는 이. ‘능소도(能所度)’는 ‘능도(能度)’와 ‘소도(所度)’를 뜻하는데, 언해문에서는 이를 ‘能과 所왓 度’라 옮김.
주010)
왓:
-와의. 와(접속조사)+ㅅ(관형격조사).
度ㅣ  괴외도다

열 종류의 중생과 시방불이 함께 성도하며 시방불과 열 종류의 중생이 한 날 열반하니 중생과 부처의 상이 본래 고요하여(구별이 없어) 능과 소의 도(제도하는 자와 제도 받는 자)가 또한 고요하도다(구별이 없도다).

【說誼】能所度ㅣ 旣寂이어니 我人相이 何有ㅣ리오 伊麽則釋迦ㅣ 眼橫鼻直시고 人人도 亦眼橫鼻直니 同居常寂光土야 共受無生法樂이로다

주011)
능(能):
능동. 능동적으로 제도하는 것.
주012)
소(所):
피동. 제도 받는 것.
주013)
도(度):
제도.
ㅣ 마 괴외커니 我人相 주014)
아인상(我人相):
아상과 인상.
므스기 주015)
므스기:
무엇이. 므슥+이.
이시리오 그러면 釋迦ㅣ 누니 빗그며 주016)
빗그며:
옆으로 나며. -+으며.
고히 주017)
고히:
코가. 곻(ㅎ종성체언)+이.
고시고 주018)
고시고:
곧으시고. 곧-+시+고.
사마다  누니 빗고 주019)
빗고:
옆으로 나고. -+고.
고히 고니 常寂光土애   사라 다 無生法樂 受놋다

능과 소의 제도가 이미 고요하니, 아상과 인상이 무엇이 있으리오? 그러면 석가모니가 눈이 옆으로 나며 코가 곧으시고 사람마다 또 눈이 옆으로 나고 코가 곧으니 상적광토에 한 곳에 살아 다 무생법락을 받는구나.

【頌】生下東西七步行시니 人人이 鼻直고 兩眉橫니라 哆啝悲喜皆相似니 那時誰更問尊堂리오 還記得在麽아

나시다가며 주020)
나시다가며:
나시자마자. 나-[出生]+시(주체존대)+다가며(연결어미). ‘-다가며’는 ‘-자마자’를 뜻함.
東西로 닐굽 거름 녀시니 사마다 고히 주021)
고히:
코가. 곻+이.
곧고 두 눈 서비 빗그니라 哆啝 주022)
치화(哆啝):
아기들이 기뻐하고 슬퍼하는 소리.
며 슬흐며 깃구미 주023)
깃구미:
기뻐함이. -+움+이.
다 서르 니 뎌  뉘  尊堂 무르리오 도혀 주024)
도혀:
돌이켜. 돌아보아.
記得얀다 주025)
얀다:
하였느냐. -+야+ㄴ다. ‘-ㄴ다’는 2인칭 주어문의 의문종결어미.
【哆啝 난 아 마리니 치리 업시 주026)
업시:
없이.
주027)
셔:
서서. 셔-+어.
哆哆啝啝니라 尊堂 어

금강경삼가해 권4:54ㄴ

버라 記得 매 다시라】

나시자마자 동서로 일곱 걸음을 걸으시니, 사람마다 코가 곧고 두 눈썹이 옆으로 나 있도다. 기뻐하고 슬퍼하며, 슬퍼하며 기뻐함이 다 서로 같으니, 저 때에 누가 또 존당께 물으리오? 돌이켜 기억하는가.【치화(哆啝)는 갓난아이의 말이니, 가르친 사람도 없이 서서 칭얼칭얼하느니라. 존당은 부모이다. 기득은 마음에 담는 것이다.】

【說誼】釋迦ㅣ 纔生母胎샤 周行七步시니 人人도 纔生母胎야 眼橫鼻直니라

釋迦ㅣ 주028)
:
금방.
어마님 주029)
어마님:
어머님.
胎예 나샤 닐굽 거름 주030)
거름:
걸음. 걷-+음.
두루 거르시니 人人도  어믜 주031)
어믜:
어미가. 엄/어미[母]+의(관형격조사).
胎예 나아 누니 빗그며 고히 고니라

석가모니께서 금방 어머님 태에서 나시자마자 일곱 걸음을 두루(사방으로) 걸으시니, 모든 다른 사람도 금방 어미의 태에서 나서 눈이 옆으로 나며 코가 곧으니라.

【說誼】哆哆啝啝兼悲喜 人家孺子ㅣ 皆相似니 性本神解라 自如然커니 誰向尊堂야 問何爲리오 傾心吐露야 報君知노니 問君 於斯애 記取아 否아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哆哆 주032)
치치(哆哆):
아이들이 기뻐하는 소리.
며 啝啝 주033)
화화(啝啝):
아이들이 슬퍼하는 소리.
며  슬흐며 주034)
슬흐며:
슬퍼하며. 슳-(동사 어간)+으며.
깃구 주035)
깃구:
기뻐함은. -(동사 어간)+움(명사형어미)+은.
사 짒아 주036)
짒아:
집의 아이. ‘ㅅ’은 관형격조사.
다 서르 니 性이 本來 神奇히 아라 제 그러커니 주037)
뉘:
누가. 누+ㅣ.
尊堂 向야 엇뎨 료 주038)
료:
하리오. -+리+고/오.
무리오 주039)
무리오:
물으리오. 묻-+리+고/오.
 기우려 주040)
기우려:
기울여. 기울-+이(사동접미사)+어.
나토아 주041)
나토아:
나타내어. 낱-+오(사동접미사)+아.
그듸를 주042)
그듸를:
그대에게.
알외야 주043)
알외야:
알려. 알-+외(사동접미사)+아.
알의 주044)
알의:
알게. 알-+긔/게. ‘ㄹ’ 뒤에서 ‘ㄱ’ 약화. ‘-게’와 ‘-긔’는 수의적으로 교체됨.
노니 묻노니 그듸 이 記知얀다 주045)
얀다:
하였느냐. -+어/아/야+ㄴ다. ‘-ㄴ다’는 2인칭 주어문에 쓰이는 의문 종결형식이다.
몯얀다
Ⓒ 언해 | 자성대비 / 1482년(성종 13)

〈아이들이〉 기뻐하는 소리를 내며 슬퍼하는 소리를 내며 또 슬퍼하며 기뻐함은 사람의 집의 아이들이 다 서로 같으니, 성품이 본래 신기(신비롭게 아는 것)하여서 저절로 그러하니, 누가 존당(부처)을 향하여 어찌 할까 하고 물으리오? 마음을 기울여 나타내어 그대에게 알리어 알게 하노니, 묻노니, 그대는 이에 기억하는가 기억하지 못하는가?
Ⓒ 역자 | 김영배 / 2007년 12월 1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부톄론:부처인. 부텨+ㅣ(서술격조사)+오/우+ㄴ.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오-’가 ‘-로-’로 교체됨.
주002)
일리어니:일어나리니. 일-[成]+리+거/어+니.
주003)
:봄의. 봄+ㅅ(관형격조사).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주004)
제여곰:제각각. 스스로.
주005)
곳다오니라:꽃다우니라. 곶++니+라.
주006)
가짓:가지의. 가지+ㅅ(관형격조사).
주007)
:동시에. [一](수관형사)+[時]+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현대국어 ‘함께’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기도 함.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8)
능(能):능도(能度). 제도하는 이.
주009)
소(所):소도(所度). 제도 받는 이. ‘능소도(能所度)’는 ‘능도(能度)’와 ‘소도(所度)’를 뜻하는데, 언해문에서는 이를 ‘能과 所왓 度’라 옮김.
주010)
왓:-와의. 와(접속조사)+ㅅ(관형격조사).
주011)
능(能):능동. 능동적으로 제도하는 것.
주012)
소(所):피동. 제도 받는 것.
주013)
도(度):제도.
주014)
아인상(我人相):아상과 인상.
주015)
므스기:무엇이. 므슥+이.
주016)
빗그며:옆으로 나며. -+으며.
주017)
고히:코가. 곻(ㅎ종성체언)+이.
주018)
고시고:곧으시고. 곧-+시+고.
주019)
빗고:옆으로 나고. -+고.
주020)
나시다가며:나시자마자. 나-[出生]+시(주체존대)+다가며(연결어미). ‘-다가며’는 ‘-자마자’를 뜻함.
주021)
고히:코가. 곻+이.
주022)
치화(哆啝):아기들이 기뻐하고 슬퍼하는 소리.
주023)
깃구미:기뻐함이. -+움+이.
주024)
도혀:돌이켜. 돌아보아.
주025)
얀다:하였느냐. -+야+ㄴ다. ‘-ㄴ다’는 2인칭 주어문의 의문종결어미.
주026)
업시:없이.
주027)
셔:서서. 셔-+어.
주028)
:금방.
주029)
어마님:어머님.
주030)
거름:걸음. 걷-+음.
주031)
어믜:어미가. 엄/어미[母]+의(관형격조사).
주032)
치치(哆哆):아이들이 기뻐하는 소리.
주033)
화화(啝啝):아이들이 슬퍼하는 소리.
주034)
슬흐며:슬퍼하며. 슳-(동사 어간)+으며.
주035)
깃구:기뻐함은. -(동사 어간)+움(명사형어미)+은.
주036)
짒아:집의 아이. ‘ㅅ’은 관형격조사.
주037)
뉘:누가. 누+ㅣ.
주038)
료:하리오. -+리+고/오.
주039)
무리오:물으리오. 묻-+리+고/오.
주040)
기우려:기울여. 기울-+이(사동접미사)+어.
주041)
나토아:나타내어. 낱-+오(사동접미사)+아.
주042)
그듸를:그대에게.
주043)
알외야:알려. 알-+외(사동접미사)+아.
주044)
알의:알게. 알-+긔/게. ‘ㄹ’ 뒤에서 ‘ㄱ’ 약화. ‘-게’와 ‘-긔’는 수의적으로 교체됨.
주045)
얀다:하였느냐. -+어/아/야+ㄴ다. ‘-ㄴ다’는 2인칭 주어문에 쓰이는 의문 종결형식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