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금강경삼가해 제4

  • 역주 금강경삼가해
  • 역주 금강경삼가해 제4
  • 23.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
  • 정심행선분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정심행선분 1


【경】 復次須菩提야 是法이 平等야 無有高

금강경삼가해 권4:44ㄴ

下니 是名阿耨多羅三藐三菩提니 以無我無人無衆生無壽者로 修一切善法면 卽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리라

【說誼】佛因空生之問샤 答以生亦非生이며 佛亦無得이라 시고 乃云샤 是法이 平等야 無有高下ㅣ 是名阿耨多羅三藐三菩提라 시니

부톄 주001)
부톄:
부처께서. 부텨+ㅣ(주격조사). 중세 국어에서는 [+높임]의 체언 뒤에서도 주격 조사 ‘-이/ㅣ’가 일반적으로 쓰임.
空生 주002)
공생(空生):
수보리. 부처님 10대 제자의 한 사람.
주003)
:
-의. 주어적 기눙을 가진 관형어에 쓰였다.
묻오 因샤 對答샤 生이  生 아니며 부톄  得 업스니라 시고 니샤 이 法이 平等야 노며 가옴 주004)
가옴:
낮음. -+갑+옴/움.
업소미 이 일후미 阿耨菩提라 시니

부처께서 공생(수보리)이 여쭘을 인하셔서 대답하시되, 삶이 또 삶 아니며, 부처가 또 깨달은 것이 없느니라 하시고, 이르시되, 이 법이 평등하여 높으며 낮음이 없는 것이 이것이 이름이 아뇩보리라 하시니,

【說誼】 生非生則不異於佛고 佛無得則不異於生시니 是名平等야 無有高下

금강경삼가해 권4:45ㄱ

ㅣ니라

生이 生이 아니면 부텨에 주005)
부텨에:
부처와. 중세국어에서는 ‘-에’가 ‘다다’와 호응할 수 있음.
다디 주006)
다디:
다르지. ‘-디’는 보조적 연결어미.
아니고 부톄 得 업스시면 衆生애 다디 아니시니 이 일후미 平等야 노며 가옴 업소미라 주007)
업소미라:
없음이다. ‘없-’ 뒤에는 명사형어미로서 ‘-움’이 쓰이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책에서는 ‘-옴’이 결합한 예가 많이 나타남.

삶이 삶 아니면 부처에서 다르지 아니하고, 부처께서 깨달으신 것 없으시면 중생에서 다르지 아니하시니, 이것이 이름이 평등하여 높으며 낮음 없는 것이다.

【說誼】前言無得시고 此言卽得은 何也오 前明本有샤 令不屈於凡下시고 此明新熏샤 使功齊於諸聖시니

알 주008)
알:
앞에는. 앞에서는. 앒[前]+/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得 업소 니시고 이 주009)
이:
여기서는 이[此]+ㆁ+에(부사격조사)+ㄴ(보조사). ‘ㆁ’은 장소를 가리키는 형태소와 관련이 있어 보임. 공시적으로는 ‘이’를 부사로 기술할 수 있음.
곧 得리라 니샤 엇뎨오 주010)
엇뎨오:
어찌된 것인가? 어떠한 것인가? 엇뎨[何]+고/오(설명의문). 여기서 ‘엇뎨’는 명사로 쓰인 것임.
알 本來 이쇼 기샤 주011)
기샤:
밝히시어. -+이(사동접미사)+샤+아.
凡下애 굽디 아니케 시고 이 새 닷고 주012)
닷고:
닦음을. -+옴+.
기샤 功이 모 聖人ㅅ게 주013)
ㅅ게:
-께. ㅅ(관형격조사)+(의존명사)+에(부사격조사).
게 주014)
게:
나란하게. +(탈락)+게.
시니

앞에서는 깨달음 없음을 말씀하시고, 여기서는 곧 깨달으리라고 말씀하신 것은 왜 그런가? 앞에서는 본래 있음을 밝히시어 하급의 범부에게 굽히지 아니하게 하시고, 여기에서는 새로운 닦음(훈습)을 밝히시어 공이 모든 성인과 나란하게 하시니,

【說誼】若恃其本有고 不以新熏로 熏之면 則持珠行丏야 永處輪廻리라

다가 그 本來 이쇼 주015)
이쇼:
있음을. 이시-+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有’를 나타내는 동사 어간은 ‘이시-, 잇-, 시-’ 세 가지 형태소를 가지고 있는데, 원칙적으로 모음 앞에서는 ‘이시-’가 쓰이고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이며, 동사 ‘두-’ 뒤에서는 ‘-, ㅅ-’으로 나타난다.
믿고 새 닷고로 닷디 주016)
닷디:
닦지. -+디.
아니면 곧 구스를 디녀 녀 주017)
녀:
-[走]+니-[行]+어. 합성동사. 그러나 대개 ‘-’은 ‘走’의 의미를 벗어나게 되었고, ‘니-’는 접사적 성격으로 변화하여 동작의 [지속]을 의미하게 됨.
비러 주018)
비러:
빌어. 빌-[乞]+어.
기리 주019)
기리:
길이. 오래. 길-+이(부사파생접미사). 파생명사는 ‘길-+의’로 구성된 ‘기릐’이다. 이른바 척도형용사들이 이렇게 구별되는 경향을 보인다. ‘기리 : 기릐, 기피 : 기픠, 노피 : 노, 너비 : 너븨’ 등.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도 있었다.
輪迴예 이시리라

만일 그 본래 있음을 믿고 새 닦음으로 닦지 아니하면 곧 구슬을 지니고서 다니면서 빌어먹어(보배를 가지고 거지생활을 하여) 길이 윤회에 처하리라.

【冶父】山高海深며 日生月落놋다

뫼히 주020)
뫼히:
산이. 묗[山]+이.
놉고 주021)
놉고:
높고.‘높→놉’은 8종성표기법.
바리 주022)
바리:
바다가. 바[海]+이.
기프며 주023)
:
해가. [日]+Ø(주격조사).
돋고 리 디놋다

산이 높고 바다가 깊으며 해가 돋고 달이 지는구나.

【說誼】

금강경삼가해 권4:45ㄴ

所謂平等은 豈是夷岳實淵며 截鶴續鳧然後然哉리오 長者란 任其長고 短者란 任其短고 高處란 任其高고 低處란 任其低니라

닐온밧 주024)
닐온밧:
이른바. 니-+오/우+ㄴ(관형사형어미)+바(의존명사)+ㅅ(관형격조사).
平等은 엇뎨 이 뫼 주025)
뫼:
산을. 묗[山]+.
平케 야 모 몌우며 주026)
몌우며:
메우며. 몌-+우(사동접미사)+며.
鶴 버혀 주027)
버혀:
베어. 버히-+어.
올히 주028)
올히:
오리를. 올히+.
니 주029)
니:
이은. 연결한. -+은.
에 주030)
에:
-에야. ‘’는 강조 또는 단독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체언이나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된다.
그러리오 알온 주031)
알온:
긴. 희귀어이다. 어간은 ‘알오-’로 보인다.
거스란 주032)
거스란:
것일랑은. ‘-으란’은 보조사.
알오 주033)
알오:
긺을. 알오-+옴/움+.
므더니 주034)
므더니:
무던히. 므던(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 접미사).
너기고 뎌른 주035)
뎌른:
짧은. 뎌르-+ㄴ.
거스란 그 뎔오 주036)
뎔오:
빫음을. 뎌르-+옴/움+을.
므더니 너기고 노 란 주037)
란:
땅일랑은. +란.
노포 므더니 너기고 가온 란 가오 므더니 너귤 주038)
너귤:
여길. 너기-+오/우+ㄹ.
디니라

이른바의 평등은 어찌 이것이 산을 평평하게 하여 못을 메우며 학을 베어 오리를 이은(학의 다리를 잘라 오리의 다리에 이은) 후에야 그러하리오? 긴 것은 그 긺을 무던히 여기고 짧은 것은 그 짧음을 무던히 여기고 높은 땅일랑은 높음을 무던히 여기고 낮은 땅일랑은 낮음을 무던히 여길지니라.

【頌】僧是僧兮오 俗是俗이며 喜則笑兮고 悲則哭니 若能於此애 善叅詳면 六六이 從來로 三十六이니라

은 이 이오 쇼 주039)
쇼:
속인은. 숗[俗]+.
이 쇼히며 깃브거든 웃고 슬프거든 우니 다가 能히 이 주040)
이:
여기에. 이것에. 기원적으로는 ‘이(대명사)+ㆁ+에(처소격)’로 구성된 것으로 보임.
이대 주041)
이대:
잘(부사). ‘좋다’란 뜻을 갖는 형용사 ‘읻-’에 접미사 ‘-애’가 붙은 것.
리면 주042)
리면:
참고하면. 살펴보면.
여슷 여스시 녜브터 오로 셜흔 여스시니라

중은 이것은 중이고 속인은 이것은 속인이며, 기쁘면 웃고 슬프면 우나니, 만일 능히 여기에 잘 참고하여 살피면 6·6은 예로부터 36이니라.

【說誼】何須喚僧作俗이리오 不必忍喜云哭이니 但能隨流

금강경삼가해 권4:46ㄱ

認性면 彼彼元來平等이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엇뎨 모로매 을 블러 쇼 주043)
쇼:
속인을. 숗[俗]+(목적격조사).
리오 구틔여 주044)
구틔여:
구태여. 구틔여[敢].
깃부믈 주045)
깃부믈:
기쁨을. -+브(형용사파생 접미사)+옴/움+을.
마 우루믈 니디 아니홀디니 오직 能히 流를 조차 性을 알면 뎌마다 본 주046)
본:
본디. 원래.
平等이니라
Ⓒ 언해 | 자성대비 / 1482년(성종 13)

어찌 모름지기 중을 불러 속인을 만들겠는가(중을 속인이라 하겠는가)? 구태여 기쁨을 참아 우는 소리를 내지 아니하리니, 오직 능히 흐름을 좇아 성을 알면 저마다 본디 평등하니라.
Ⓒ 역자 | 김영배 / 2007년 12월 1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부톄:부처께서. 부텨+ㅣ(주격조사). 중세 국어에서는 [+높임]의 체언 뒤에서도 주격 조사 ‘-이/ㅣ’가 일반적으로 쓰임.
주002)
공생(空生):수보리. 부처님 10대 제자의 한 사람.
주003)
:-의. 주어적 기눙을 가진 관형어에 쓰였다.
주004)
가옴:낮음. -+갑+옴/움.
주005)
부텨에:부처와. 중세국어에서는 ‘-에’가 ‘다다’와 호응할 수 있음.
주006)
다디:다르지. ‘-디’는 보조적 연결어미.
주007)
업소미라:없음이다. ‘없-’ 뒤에는 명사형어미로서 ‘-움’이 쓰이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책에서는 ‘-옴’이 결합한 예가 많이 나타남.
주008)
알:앞에는. 앞에서는. 앒[前]+/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주009)
이:여기서는 이[此]+ㆁ+에(부사격조사)+ㄴ(보조사). ‘ㆁ’은 장소를 가리키는 형태소와 관련이 있어 보임. 공시적으로는 ‘이’를 부사로 기술할 수 있음.
주010)
엇뎨오:어찌된 것인가? 어떠한 것인가? 엇뎨[何]+고/오(설명의문). 여기서 ‘엇뎨’는 명사로 쓰인 것임.
주011)
기샤:밝히시어. -+이(사동접미사)+샤+아.
주012)
닷고:닦음을. -+옴+.
주013)
ㅅ게:-께. ㅅ(관형격조사)+(의존명사)+에(부사격조사).
주014)
게:나란하게. +(탈락)+게.
주015)
이쇼:있음을. 이시-+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有’를 나타내는 동사 어간은 ‘이시-, 잇-, 시-’ 세 가지 형태소를 가지고 있는데, 원칙적으로 모음 앞에서는 ‘이시-’가 쓰이고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이며, 동사 ‘두-’ 뒤에서는 ‘-, ㅅ-’으로 나타난다.
주016)
닷디:닦지. -+디.
주017)
녀:-[走]+니-[行]+어. 합성동사. 그러나 대개 ‘-’은 ‘走’의 의미를 벗어나게 되었고, ‘니-’는 접사적 성격으로 변화하여 동작의 [지속]을 의미하게 됨.
주018)
비러:빌어. 빌-[乞]+어.
주019)
기리:길이. 오래. 길-+이(부사파생접미사). 파생명사는 ‘길-+의’로 구성된 ‘기릐’이다. 이른바 척도형용사들이 이렇게 구별되는 경향을 보인다. ‘기리 : 기릐, 기피 : 기픠, 노피 : 노, 너비 : 너븨’ 등.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도 있었다.
주020)
뫼히:산이. 묗[山]+이.
주021)
놉고:높고.‘높→놉’은 8종성표기법.
주022)
바리:바다가. 바[海]+이.
주023)
:해가. [日]+Ø(주격조사).
주024)
닐온밧:이른바. 니-+오/우+ㄴ(관형사형어미)+바(의존명사)+ㅅ(관형격조사).
주025)
뫼:산을. 묗[山]+.
주026)
몌우며:메우며. 몌-+우(사동접미사)+며.
주027)
버혀:베어. 버히-+어.
주028)
올히:오리를. 올히+.
주029)
니:이은. 연결한. -+은.
주030)
에:-에야. ‘’는 강조 또는 단독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체언이나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된다.
주031)
알온:긴. 희귀어이다. 어간은 ‘알오-’로 보인다.
주032)
거스란:것일랑은. ‘-으란’은 보조사.
주033)
알오:긺을. 알오-+옴/움+.
주034)
므더니:무던히. 므던(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 접미사).
주035)
뎌른:짧은. 뎌르-+ㄴ.
주036)
뎔오:빫음을. 뎌르-+옴/움+을.
주037)
란:땅일랑은. +란.
주038)
너귤:여길. 너기-+오/우+ㄹ.
주039)
쇼:속인은. 숗[俗]+.
주040)
이:여기에. 이것에. 기원적으로는 ‘이(대명사)+ㆁ+에(처소격)’로 구성된 것으로 보임.
주041)
이대:잘(부사). ‘좋다’란 뜻을 갖는 형용사 ‘읻-’에 접미사 ‘-애’가 붙은 것.
주042)
리면:참고하면. 살펴보면.
주043)
쇼:속인을. 숗[俗]+(목적격조사).
주044)
구틔여:구태여. 구틔여[敢].
주045)
깃부믈:기쁨을. -+브(형용사파생 접미사)+옴/움+을.
주046)
본:본디. 원래.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