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금강경삼가해 제4

  • 역주 금강경삼가해
  • 역주 금강경삼가해 제4
  •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 구경무아분 2
메뉴닫기 메뉴열기

구경무아분 2


【경】 何以故오 若菩薩이 有我相人相衆生相壽者相면 卽非菩薩이니 所以者何오 須菩提야 實無有法야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니라

【說誼】

금강경삼가해 권4:3ㄱ

因甚道要須不生於化오 若謂我能度生며 我是發心者ㅣ로라 린댄 我人이 競作야 能所ㅣ 紛然이라 卽非菩薩이니라

므스글 주001)
므스글:
무엇을. 므슥[何]+을.
주002)
인(因):
‘인연(因緣)’의 인은 결과를 낳게 하는 직접적 또는 내부적 원인, 연은 인을 도와 결과를 낳게 하는 간접적 또는 외부적 원인. 원인과 조건. 인은 친인(親因), 내인(內因) 등으로 불리고, 연은 소연(疎緣), 외연(外緣) 등으로 불린다.
야 닐오 모로매 化호매 나디 아니홈고 주003)
아니홈고:
아니함인가. 아니+-+옴/움(명사형어미)+고(의문 보조사).
다가 내 能히 衆生 度노라 며 내 이 發心 사미로라 주004)
사미로라:
사람이로다. 사+이(서술격조사)+오/우+라. ‘-오/우-’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로-’로 교체됨.
야 니린댄 주005)
니린댄:
말한다면. 니-+리+ㄴ댄.
나와 괘 주006)
괘:
남이. [他人]+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체언의 병렬에서 병렬되는 마지막 체언 뒤에도 접속조사가 결합하는 경우가 많다.
토아 니러 能과 所왜 어즈러워 주007)
어즈러워:
어지러워. 어즐(불규칙적 어근)+(형용사파생 접미사)+어. 어즈러〉어즈러워.
곧 菩薩이 아니니라

무엇을 인하여 일컫되 모름지기 교화함에 나지 못함(교화한다는 생각을 내지 못함)인가? 만일 내가 능히 중생을 제도하노라 하며 내가 능히 이것이(바로) 발심한 사람이로다 하여 말한다면 나와 남이 다투어 일어나 능(能)과 소(所)가 어지러워(뒤섞여) 곧 보살이 아니니라.

【說誼】我能我是 因甚道非菩薩오 實際理地옌 曾無伊麽事ㅣ니 我人이 頓盡코 能所ㅣ 俱寂야 方與實際로 相應去在리라

주008)
내:
나+ㅣ(주격)→‧내(거성). 나+ㅣ(관형격)→내(평성).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한편 중세국어에서는 1인칭 겸칭 대명사 ‘저’가 쓰이지 않았다.
能호라 며 내 이로라 주009)
이로라:
옳다. 이[是]+Ø(서술격조사)+오/우+다/라.
호 므스글 因야 菩薩이 아니라 니시뇨 實際 理 주010)
ㅅ: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핸 주011)
핸:
땅에는. ㅎ[地]+애(부사격조사)+ㄴ(보조사). ‘ㅎ’은 ㅎ종성체언.
간도 주012)
간도:
잠깐도. ‘간’이 ‘嘗’의 번역으로 쓰인 예가 매우 많다. 더구나 ‘ 念’과 함께 한 구(句)를 구성하는 일이 많아, 이 때에는 ‘일찍이’로 번역하는 것이 옳을 듯하다.
이런 이리 업스니 나와 괘 다 업고 能과 所 주013)
능소(能所):
능동으로 인식하는 주체와 피동으로 인식되는 대상.
왜 다 괴외야 주014)
괴외야:
고요하여야[寂]. 괴외++야+(보조사). 어근 ‘괴외-’의 발음은 [koj ·oj]. 순행동화로 ‘괴’[koj·joj](두중 24:55)로도 변함. j 음이 탈락해 ‘고요’[ko ·jo](두중 2:16)로도 썼는데, 이는 중세국어의 ‘ㅚ’가 이중모음 [oj]이었음을 전제한 것이다. ‘’는 강조 또는 단독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체언이나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된다.
비르서 주015)
비르서:
비로소. 비릇-[始]+어. 활용형이 부사로 굳어짐.
實際와로 서르 應리라

내가 능하다 하며 내가 옳다 함을 무엇을 인하여 보살이 아니라고 말씀하시는가? 실제 진리의 땅(자리)에는 잠깐도 이런 일이 없으니, 나와 남이 다 없고 능소가 다 고요하여야 비로소 실제와 서로 응하리라.

【冶父】少他一分 又爭得이리오

주016)
뎌:
저.
주017)
분(分):
부분.
이 업슨 주018)
: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중세국어에서 목적격조사 ‘-ㄹ’과 ‘-/를’의 교체는 수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는 항상 ‘-ㄹ’만이 쓰인다.
어듸  주019)
어듸:
어찌. ‘어딋던/어듸/어딋’과 같은 이표기가 씌었음.
得리

금강경삼가해 권4:3ㄴ

【 分은 四相 주020)
사상(四相):
중생의 네 가지 그릇된 관념. 5온의 요소들 속에 자아라는 나의 본체가 있고 나의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아상(我相), 자아가 인간이 된다고 생각하는 인상(人相), 자아는 5온에 의해 생긴다고 생각하는 중생상(衆生相), 자아는 어느 시기 동안 수명을 갖고 머문다고 생각하는 수자상(壽者相).
 니니라】

저 한 부분이 없는 것을 또 어찌 얻으리오?【한 부분은 사상을 이른 것이다.】

【說誼】我人이 頓盡며 能所ㅣ 俱寂호미 功極則不無커니와 以實而觀컨댄 又爭得也ㅣ리오

나와 괘 다 업스며 주021)
능(能):
동작의 주체가 되는 것. 인식의 주체.
주022)
소(所):
동작의 객체가 되는 것. 인식의 객체.
왜 다 괴외호미 功이 至極호 곧 업디 아니커니와 實 주023)
:
-로써. -+어. ‘’는 부사.
보건댄  어듸 주024)
어듸:
어찌. ‘어딋던/어듸/어딋’과 같은 이표기가 씌었음.
리오 주025)
리오:
하리오? 하겠는가? -+리+고/오.

나와 남이 다 없으며 능(能)과 소(所)가 다 고요함이 공(功)이 지극함은 곧 없지 아니하거니와 실(實)로써 본다면 또 어찌 얻으리오?

【頌】獨坐翛然一室이 空니 更無南北與西東도다 雖然不借陽和力나 爭奈桃花一樣紅이니라

오 주026)
오:
혼자. 〉오.
안자셔 주027)
안자셔:
앉아서. 앉-+아+이시/시-[有]+어. ‘시-’는 ‘이시-’의 이형태. ‘有’를 나타내는 동사 어간은 ‘이시-, 잇-, 시-’ 세 가지 형태소를 가지고 있는데, 원칙적으로 모음 앞에서는 ‘이시-’가 쓰이고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이며, 동사 ‘두-’ 뒤에서는 ‘-, ㅅ-’으로 나타난다.
翛然야  지비 뷔니 주028)
뷔니:
비니. 뷔다〉비다.
외야 주029)
외야:
다시. ‘외’도 부사로 쓰였음.
南과 北과 西와 東괘 업도다 비록 陽和 주030)
양화(陽和):
따뜻한 봄볕.
의 히믈 비디 아니나컨 주031)
아니나컨마:
아니하였으나 그렇건만. 어절의 경계를 넘어서 음운 축약이 발생함. ‘아니나’의 ‘-나’가 역접의 의미를 띠므로 ‘건마’의 통합은 수의적이다. ¶ ‘녀라커늘컨마 = 녀라 거늘 건마’〈남명집언해 하39ㄱ〉.
桃花ㅣ   주032)
:
모습. ‘’는 한자어 ‘樣姿’인데, 대개 한글로 적힘.
로 블그니라

혼자 앉아서 소연(翛然)하여 한 집이 비니, 다시 남과 북과 서와 동이 없도다. 비록 양화(陽和)의 힘을 빌지 아니하였으나 그렇건만 복숭아 꽃이 한 모양으로 붉으니라.

【說誼】脫然物外야 更無拪泊處니 莫把此境야 云究竟이라 라 敢道此亦猶未在라 노라 雖然不用苦鍛鍊이나 自有本地風光이 爛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주033)
물(物):
사물. 현상.
밧긔 주034)
밧긔:
밖으로. [外]+의(부사격조사). 여기의 ‘-의’는 ‘-에서’가 아니라 ‘-으로’의 뜻. ‘-의’는 관형격조사와 형태가 같은 이른바 특수처소부사격조사인데, 이러한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버서 주035)
버서:
벗어나.
외야 주036)
외야:
다시. ‘외’도 부사로 씌었음.
주037)
깃:
깃. 둥지[巢].
기서 주038)
기서:
둥지를 틀고 살아. -에 거주하여. 깃-[棲]+어.
브툴 주039)
브툴:
붙을. 의지할. 븥-[依]+오/우+ㄹ.
고디 주040)
고디:
곳이. 곧[處]+이. ‘곧’은 장소를 의미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이고, 사물이나 개념을 지시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인다.
업스

금강경삼가해 권4:4ㄱ

니 이 境을 자바 究竟이라 니디 말라 이  오히려 주041)
오히려:
게다가. 또한. 현대국어의 ‘오히려’는 ‘일반적인 기준이나 예상, 짐작, 기대와는 전혀 반대가 되거나 다르게’란 뜻을 지니는데, 중세국어에서는 이 외에 ‘게다가’와 유사한 의미로도 쓰였다.
잇디 아니타 주042)
아니타:
아니하다고. 중세국어의 인용문에는 인용부사격조사 ‘고, -라고’가 안 쓰임.
구틔여 니노라 비록 苦로이 주043)
고(苦)로이:
괴로이. ‘고롭다’가 ‘괴롭다’로 변화함.
鍜練호 디 아니나 주044)
제:
스스로의.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이처럼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本地옛 風光이 빗나미 주045)
빗나미:
빛남이. 빛+나+옴/움+이. ‘나-’는 거성인데 명사형어미 ‘-옴’과 결합하면서 ‘오’는 탈락하고 ‘나-’가 상성으로 교체됨.
잇니라
Ⓒ 언해 | 자성대비 / 1482년(성종 13)

물(物) 밖으로 벗어나 다시 깃들이어 붙을 곳이 없으니, 이 경계를 잡아서 궁극의 경지라 말하지 말라. 이것이 또 오히려 있지 않다고 굳이 말하노라. 비록 괴로이 단련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지만 스스로의 본지(本地)의 풍광(風光)이 빛남이 있느니라.
Ⓒ 역자 | 김영배 / 2007년 12월 1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므스글:무엇을. 므슥[何]+을.
주002)
인(因):‘인연(因緣)’의 인은 결과를 낳게 하는 직접적 또는 내부적 원인, 연은 인을 도와 결과를 낳게 하는 간접적 또는 외부적 원인. 원인과 조건. 인은 친인(親因), 내인(內因) 등으로 불리고, 연은 소연(疎緣), 외연(外緣) 등으로 불린다.
주003)
아니홈고:아니함인가. 아니+-+옴/움(명사형어미)+고(의문 보조사).
주004)
사미로라:사람이로다. 사+이(서술격조사)+오/우+라. ‘-오/우-’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로-’로 교체됨.
주005)
니린댄:말한다면. 니-+리+ㄴ댄.
주006)
괘:남이. [他人]+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체언의 병렬에서 병렬되는 마지막 체언 뒤에도 접속조사가 결합하는 경우가 많다.
주007)
어즈러워:어지러워. 어즐(불규칙적 어근)+(형용사파생 접미사)+어. 어즈러〉어즈러워.
주008)
내:나+ㅣ(주격)→‧내(거성). 나+ㅣ(관형격)→내(평성).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한편 중세국어에서는 1인칭 겸칭 대명사 ‘저’가 쓰이지 않았다.
주009)
이로라:옳다. 이[是]+Ø(서술격조사)+오/우+다/라.
주010)
ㅅ:‘-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그 밖의 경우에는 ‘-/의’가 쓰임.
주011)
핸:땅에는. ㅎ[地]+애(부사격조사)+ㄴ(보조사). ‘ㅎ’은 ㅎ종성체언.
주012)
간도:잠깐도. ‘간’이 ‘嘗’의 번역으로 쓰인 예가 매우 많다. 더구나 ‘ 念’과 함께 한 구(句)를 구성하는 일이 많아, 이 때에는 ‘일찍이’로 번역하는 것이 옳을 듯하다.
주013)
능소(能所):능동으로 인식하는 주체와 피동으로 인식되는 대상.
주014)
괴외야:고요하여야[寂]. 괴외++야+(보조사). 어근 ‘괴외-’의 발음은 [koj ·oj]. 순행동화로 ‘괴’[koj·joj](두중 24:55)로도 변함. j 음이 탈락해 ‘고요’[ko ·jo](두중 2:16)로도 썼는데, 이는 중세국어의 ‘ㅚ’가 이중모음 [oj]이었음을 전제한 것이다. ‘’는 강조 또는 단독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체언이나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된다.
주015)
비르서:비로소. 비릇-[始]+어. 활용형이 부사로 굳어짐.
주016)
뎌:저.
주017)
분(分):부분.
주018)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중세국어에서 목적격조사 ‘-ㄹ’과 ‘-/를’의 교체는 수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는 항상 ‘-ㄹ’만이 쓰인다.
주019)
어듸:어찌. ‘어딋던/어듸/어딋’과 같은 이표기가 씌었음.
주020)
사상(四相):중생의 네 가지 그릇된 관념. 5온의 요소들 속에 자아라는 나의 본체가 있고 나의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아상(我相), 자아가 인간이 된다고 생각하는 인상(人相), 자아는 5온에 의해 생긴다고 생각하는 중생상(衆生相), 자아는 어느 시기 동안 수명을 갖고 머문다고 생각하는 수자상(壽者相).
주021)
능(能):동작의 주체가 되는 것. 인식의 주체.
주022)
소(所):동작의 객체가 되는 것. 인식의 객체.
주023)
:-로써. -+어. ‘’는 부사.
주024)
어듸:어찌. ‘어딋던/어듸/어딋’과 같은 이표기가 씌었음.
주025)
리오:하리오? 하겠는가? -+리+고/오.
주026)
오:혼자. 〉오.
주027)
안자셔:앉아서. 앉-+아+이시/시-[有]+어. ‘시-’는 ‘이시-’의 이형태. ‘有’를 나타내는 동사 어간은 ‘이시-, 잇-, 시-’ 세 가지 형태소를 가지고 있는데, 원칙적으로 모음 앞에서는 ‘이시-’가 쓰이고 자음 앞에서는 ‘잇-’이 쓰이며,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나 부사 ‘마니’의 뒤일 경우에는 ‘시-’가 쓰이며, 동사 ‘두-’ 뒤에서는 ‘-, ㅅ-’으로 나타난다.
주028)
뷔니:비니. 뷔다〉비다.
주029)
외야:다시. ‘외’도 부사로 쓰였음.
주030)
양화(陽和):따뜻한 봄볕.
주031)
아니나컨마:아니하였으나 그렇건만. 어절의 경계를 넘어서 음운 축약이 발생함. ‘아니나’의 ‘-나’가 역접의 의미를 띠므로 ‘건마’의 통합은 수의적이다. ¶ ‘녀라커늘컨마 = 녀라 거늘 건마’〈남명집언해 하39ㄱ〉.
주032)
:모습. ‘’는 한자어 ‘樣姿’인데, 대개 한글로 적힘.
주033)
물(物):사물. 현상.
주034)
밧긔:밖으로. [外]+의(부사격조사). 여기의 ‘-의’는 ‘-에서’가 아니라 ‘-으로’의 뜻. ‘-의’는 관형격조사와 형태가 같은 이른바 특수처소부사격조사인데, 이러한 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다.
주035)
버서:벗어나.
주036)
외야:다시. ‘외’도 부사로 씌었음.
주037)
깃:깃. 둥지[巢].
주038)
기서:둥지를 틀고 살아. -에 거주하여. 깃-[棲]+어.
주039)
브툴:붙을. 의지할. 븥-[依]+오/우+ㄹ.
주040)
고디:곳이. 곧[處]+이. ‘곧’은 장소를 의미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이고, 사물이나 개념을 지시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인다.
주041)
오히려:게다가. 또한. 현대국어의 ‘오히려’는 ‘일반적인 기준이나 예상, 짐작, 기대와는 전혀 반대가 되거나 다르게’란 뜻을 지니는데, 중세국어에서는 이 외에 ‘게다가’와 유사한 의미로도 쓰였다.
주042)
아니타:아니하다고. 중세국어의 인용문에는 인용부사격조사 ‘고, -라고’가 안 쓰임.
주043)
고(苦)로이:괴로이. ‘고롭다’가 ‘괴롭다’로 변화함.
주044)
제:스스로의.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이처럼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주045)
빗나미:빛남이. 빛+나+옴/움+이. ‘나-’는 거성인데 명사형어미 ‘-옴’과 결합하면서 ‘오’는 탈락하고 ‘나-’가 상성으로 교체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