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금강경삼가해 제4

  • 역주 금강경삼가해
  • 역주 금강경삼가해 제4
  • 17. 구경무아분(究竟無我分)
  • 구경무아분 6
메뉴닫기 메뉴열기

구경무아분 6


【경】 若有人이 言호 如來ㅣ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라 면 須菩提야 實無有法야 佛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니 須菩

금강경삼가해 권4:8ㄴ

提야 如來所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ㅣ 於是中에 無實無虛니

【說誼】前言佛샤 以明無得無實시고 此言法샤 以明所得이 無虛시니 若論佛義컨댄 猶如大虛ㅣ 廓然無諸相며 寂然無去住야

알 주001)
알:
앞에는. 앞에서는. 앒[前]+/의+ㄴ(보조사).
부텨 니샤 得 업스며 實 업슨 주002)
업슨:
없는. 없-+은.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결합하지 않음.
주003)
: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중세국어에서 목적격조사 ‘-ㄹ’과 ‘-/를’의 교체는 수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는 항상 ‘-ㄹ’만이 쓰인다.
 기시고 이 주004)
이:
여기서는 이[此]+ㆁ+에(부사격조사)+ㄴ(보조사). ‘ㆁ’은 장소를 가리키는 형태소와 관련이 있어 보임. 공시적으로는 ‘이’를 부사로 기술할 수 있음.
法을 니샤 得혼 배 虛 업슨   기시니 다가 佛義 論컨댄 큰 虛空이 훤히 諸相 업스며 괴외야 주005)
괴외야:
고요하여. 괴외++야. 어근 ‘괴외-’의 발음은 [koj·oj]. 순행동화로 ‘괴’[koj·joj](두중 24:55)로도 변함. j 음이 탈락해 ‘고요’[ko·jo](두중 2:16)로도 썼는데, 이는 중세국어의 ‘ㅚ’가 이중모음 [oj]이었음을 전제한 것이다.
가며 住홈 업솜 주006)
업솜:
없음. 일반적으로는 ‘업숨’이 쓰이나 이 책에서는 ‘없-’ 뒤에 ‘-우-’가 아닌 ‘-오-’가 결합함.
야

앞에서는 부처를 말씀하셔서 얻음 없으며 실(實) 없는 것을 〈부처를 말씀하심으로〉써 밝히시고, 여기에서는 법을 말씀하셔서 얻은 바가 헛됨이 없는 것을 〈법을 말씀하심으로〉써 밝히시니, 만일 부처님의 뜻을 논한다면 큰 허공이 환히 제상이 없으며 고요하여 가며 머묾 없음 같아서,

【說誼】盡十方世界都盧是一身이라 更無二相이어니 傳介什麽ㅣ며 得介什麽오 所以道實無有法이 如來得阿耨菩提等이시니라

十方世界 주007)
시방세계(十方世界):
온 세계. 온 세상.
모로기 주008)
모로기:
온통, 모두, ‘문득. 갑자기’의 뜻으로도 쓰임. ‘渾(혼연히)’의 번역으로 쓰인 것(금삼 3:48ㄴ)은 여기의 ‘모로기’와 통한다.
주009)
이:
이것은. 한문의 직역에 따라 번역한 것.
 모미라 외야 주010)
외야:
다시. ‘외’도 부사로 쓰였음.
두 相이 업거니 주011)
업거니:
없으니. 없+거(확정법 선어말어미)+니.
傳호미

금강경삼가해 권4:9ㄱ

므스기며 주012)
므스기며:
무엇이며. 므슥+이+며.
得호미 므스고 주013)
므스고:
무엇인가. 므스(의문대명사)+고(의문 보조사).
이런 로 니샤 實로 法이 이셔 如來ㅣ 阿耨菩提 주014)
아뇩보리(阿耨菩提):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준말. 무상정등각. 최고의 지혜.
 得홈 업다 샨 주015)
샨:
하신. -+샤+오/우+ㄴ.
주016)
등(等):
관형사형 ‘샨’에 ‘等’이 바로 결합하였으므로 ‘等’은 명사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시니라

다 시방세계가 온통 이것이 한 몸이라 다시 두 상(相)이 없으니, 전한다는 것은 무엇이며 얻는다는 것이 무엇인가? 이런 까닭으로 이르시되, 실로 법이 있어서 여래가 아뇩보리(阿耨菩提)를 얻음이 없다고 하신 〈말씀〉 등이시니라.

【說誼】若論法義컨댄 如彼大虛엣 白日相似야 萬像森羅差別이 全身이며 見聞覺知의 應用이 無妨니

다가 法義 주017)
법의(法義):
불법의 가르침과 그 의미.
 論컨댄 뎌 큰 虛空앳 白日 주018)
백일(白日):
밝은 해.
주019)
이:
-과. ‘백일(白日)이’의 ‘이’는 비교부사격조사.
서르 야 주020)
야:
같아서. -+야.
萬像森羅 差別이 오 주021)
오:
온전한. 오-[全]+ㄴ(관형사형어미). 종성 ㄹ이 매개모음 앞에서 탈락함.
모미며 보며 드르며 아로 주022)
아로:
앎의. 알-+옴/움+.
應用호미 마곰 주023)
마곰:
막음. 방해함. 막-+옴.
업스니

만일 법의 뜻을 논한다면 저 큰 허공의 백일과 서로 같아서 만상 삼라와 차별된 완전한 몸이요, 견문각지가 응용함이 막음이 없으니,

【說誼】這裏옌 說聽이 亦不無며 傳得이 亦不無니 所以道無實無虛ㅣ라 시니 雖然無實이나 亦非無實也ㅣ니라

이 주024)
이:
여기서는 이[此]+ㆁ+에(부사격조사)+ㄴ(보조사). ‘ㆁ’은 장소를 가리키는 형태소와 관련이 있어 보임. 공시적으로는 ‘이’를 부사로 기술할 수 있음.
니며 주025)
니며:
이르며. 설하며.
드로미 주026)
드로미:
들음이. 듣/들-+옴+이.
 업디 아니며 傳며 得호미  업디 아니니 이런 로 주027)
로:
까닭으로. (의존명사)+로(부사격조사).
니샤 實 업스며 虛 업다 시니 비록 實 업스나  實 업순 주028)
업순:
없는. 없-+오/우+ㄴ(관형사형어미). ‘없-’은 이 책에서 명사형은 ‘업솜’으로, 관형사형은 ‘업순’으로 나타난다.
주029)
디:
것이. (의존명사)+ㅣ(보격조사).
아니니라 주030)
아니니라:
아니니라. 아니(명사)+ㅣ(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

여기에는 설하며 들음이 또 없지 아니하며, 전하며 얻음이 또 없지 아니하니, 이런 까닭으로 이르시되, 실(實)도 없고 허(虛)도 없다 하시니, 비록 실이 없으나 또 한편으로는 실 없는 것이 아니니라.

【冶父】富嫌千口少고 貧恨一身多ㅣ니라

가며닌 주031)
가며닌:
부유한 이는. 가멸-[富]+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千口 주032)
천구(千口):
천 명의 식구.
져고 주033)
져고:
적음을. 젹-+옴(명사형어미)+.
츠기 주034)
츠기:
불만족스럽게. ‘한스럽게. 측은하게’란 뜻도 있음. 측(惻)+이(부사파생 접미사). ‘측다(=한그럽다. 싫다)’란 형용사도 있음.
너기고 주035)
너기고:
여기고. 너기-+고.
가난닌 주036)
가난닌:
가난한 이는. 가난-+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037)
:
한[一].
모미 주038)
모미:
몸이. 몸[身]+이.
하 주039)
하:
많음을. 하-[多]+옴/움+/을. 선어말어미 ‘-오/우-’는 어간 모음이 ‘ㅏ, ㅓ, ㅗ, ㅜ’일 경우 드러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만 상성으로(:함) 바뀜.
애와티니라 주040)
애와티니라:
한탄하느니라. ‘애와티-’는 ‘애[腸]+밭-[마르다. 타다]+이(피동접미사)’의 구조로 보인다. 애티-〉애와티-.

부유한 이는 천 명의 가족도 적음을 불만족스럽게 여기고, 가난한 이는 한 몸도 많음을 애달파하느니라.

금강경삼가해 권4:9ㄴ

【說誼】實而無實며 虛而無虛니라

實호 實 업스며 虛호 虛 업스니라 주041)
업스니라:
없느니라. 없-+으니+라.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결합하지 않음.

실답되 실 없으며 허하되 허 없느니라.

【頌】生涯如夢若淨雲니 活計都無야 絶六親이로다 留得一雙靑白眼야 笑看無限往來人다

生涯 주042)
생애(生涯):
살림살이가. ‘ㅣ’ 또는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로 끝나는 한자어 체언 뒤에서 주격조사의 출현은 수의적임.
며 주043)
며:
같으며.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 구룸 니 사롤 주044)
사롤:
살아갈. 살-+오/우+ㄹ(관형사형어미).
혜미 주045)
혜미:
계책이. 혜-+ㅁ(명사파생접미사)+이. 명사형은 ‘혜욤(혜-+옴)’임.
다 업서 六親이 긋도다 주046)
긋도다:
끊어지도다. 긏-[絶]+도+다. 8종성표기법.
 雙ㅅ 프르며  누늘 머믈워 주047)
머믈워:
머무르게 하여. 지니고서. 머믈-+우(사동접미사)+어.
그지업시 주048)
그지업시:
끝없이. 그지[限]+없-+이(부사파생접미사).
가며 오며  사 우 주049)
우:
웃어. 웃으며. -+어.
보다【六親 父母 妻子와 兄弟왜라】

생애가 꿈 같으며 뜬구름 같으니, 살아갈 헤아림(계책)이 다 없어 6친이 끊어지도다. 한 쌍의 푸르며 흰 눈을 머물러(얻어서) 끝없이 가고오는 사람을 웃으며 보도다【6친은 부모 처자와 형제이다.】

【說誼】莫怪寥寥無一物라 伊家活計 自如然니라 莫謂一向空無物라 左之右之예 應無虧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寥寥 주050)
요요(寥寥):
쓸쓸함.
야  것도 업소 주051)
업소:
없음읋. 없-+옴+.
히 너기디 말라 주052)
말라:
말라. ‘-라’는 라체 명령형 종결어미. ‘말-’에 ‘-아라’가 결합하면 ‘마아라’로 나타난다.
이 짒 活計 주053)
제:
스스로가.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이처럼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그러니라 갓 주054)
갓:
한결같이.
뷔여 주055)
뷔여:
비어. 뷔-[空]+어.
物 업다 니디 말라 왼녁 올 녀긔 주056)
올녀긔:
오른쪽으로. 녁+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應호미 이조미 주057)
이조미:
이지러짐이. 부족함이. 잊-[虧]+옴/움(명사형어미)+이.
업스니라
Ⓒ 언해 | 자성대비 / 1482년(성종 13)

쓸쓸하여 한 가지도 없음을 황당히 여기지 말라. 이 집의 살림살이는 스스로가(본래부터) 그러하니라. 한결같이 비어서 물(物)이 없다고 말하지 말라. 왼쪽 오른쪽으로 응함이 이지러짐이 없도다.
Ⓒ 역자 | 김영배 / 2007년 12월 1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알:앞에는. 앞에서는. 앒[前]+/의+ㄴ(보조사).
주002)
업슨:없는. 없-+은.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결합하지 않음.
주003)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중세국어에서 목적격조사 ‘-ㄹ’과 ‘-/를’의 교체는 수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는 항상 ‘-ㄹ’만이 쓰인다.
주004)
이:여기서는 이[此]+ㆁ+에(부사격조사)+ㄴ(보조사). ‘ㆁ’은 장소를 가리키는 형태소와 관련이 있어 보임. 공시적으로는 ‘이’를 부사로 기술할 수 있음.
주005)
괴외야:고요하여. 괴외++야. 어근 ‘괴외-’의 발음은 [koj·oj]. 순행동화로 ‘괴’[koj·joj](두중 24:55)로도 변함. j 음이 탈락해 ‘고요’[ko·jo](두중 2:16)로도 썼는데, 이는 중세국어의 ‘ㅚ’가 이중모음 [oj]이었음을 전제한 것이다.
주006)
업솜:없음. 일반적으로는 ‘업숨’이 쓰이나 이 책에서는 ‘없-’ 뒤에 ‘-우-’가 아닌 ‘-오-’가 결합함.
주007)
시방세계(十方世界):온 세계. 온 세상.
주008)
모로기:온통, 모두, ‘문득. 갑자기’의 뜻으로도 쓰임. ‘渾(혼연히)’의 번역으로 쓰인 것(금삼 3:48ㄴ)은 여기의 ‘모로기’와 통한다.
주009)
이:이것은. 한문의 직역에 따라 번역한 것.
주010)
외야:다시. ‘외’도 부사로 쓰였음.
주011)
업거니:없으니. 없+거(확정법 선어말어미)+니.
주012)
므스기며:무엇이며. 므슥+이+며.
주013)
므스고:무엇인가. 므스(의문대명사)+고(의문 보조사).
주014)
아뇩보리(阿耨菩提):‘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준말. 무상정등각. 최고의 지혜.
주015)
샨:하신. -+샤+오/우+ㄴ.
주016)
등(等):관형사형 ‘샨’에 ‘等’이 바로 결합하였으므로 ‘等’은 명사로 보아야 할 것이다.
주017)
법의(法義):불법의 가르침과 그 의미.
주018)
백일(白日):밝은 해.
주019)
이:-과. ‘백일(白日)이’의 ‘이’는 비교부사격조사.
주020)
야:같아서. -+야.
주021)
오:온전한. 오-[全]+ㄴ(관형사형어미). 종성 ㄹ이 매개모음 앞에서 탈락함.
주022)
아로:앎의. 알-+옴/움+.
주023)
마곰:막음. 방해함. 막-+옴.
주024)
이:여기서는 이[此]+ㆁ+에(부사격조사)+ㄴ(보조사). ‘ㆁ’은 장소를 가리키는 형태소와 관련이 있어 보임. 공시적으로는 ‘이’를 부사로 기술할 수 있음.
주025)
니며:이르며. 설하며.
주026)
드로미:들음이. 듣/들-+옴+이.
주027)
로:까닭으로. (의존명사)+로(부사격조사).
주028)
업순:없는. 없-+오/우+ㄴ(관형사형어미). ‘없-’은 이 책에서 명사형은 ‘업솜’으로, 관형사형은 ‘업순’으로 나타난다.
주029)
디:것이. (의존명사)+ㅣ(보격조사).
주030)
아니니라:아니니라. 아니(명사)+ㅣ(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
주031)
가며닌:부유한 이는. 가멸-[富]+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032)
천구(千口):천 명의 식구.
주033)
져고:적음을. 젹-+옴(명사형어미)+.
주034)
츠기:불만족스럽게. ‘한스럽게. 측은하게’란 뜻도 있음. 측(惻)+이(부사파생 접미사). ‘측다(=한그럽다. 싫다)’란 형용사도 있음.
주035)
너기고:여기고. 너기-+고.
주036)
가난닌:가난한 이는. 가난-+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037)
:한[一].
주038)
모미:몸이. 몸[身]+이.
주039)
하:많음을. 하-[多]+옴/움+/을. 선어말어미 ‘-오/우-’는 어간 모음이 ‘ㅏ, ㅓ, ㅗ, ㅜ’일 경우 드러나지 않고 어간의 성조만 상성으로(:함) 바뀜.
주040)
애와티니라:한탄하느니라. ‘애와티-’는 ‘애[腸]+밭-[마르다. 타다]+이(피동접미사)’의 구조로 보인다. 애티-〉애와티-.
주041)
업스니라:없느니라. 없-+으니+라. ‘없-’은 형용사이므로 ‘--’가 결합하지 않음.
주042)
생애(生涯):살림살이가. ‘ㅣ’ 또는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로 끝나는 한자어 체언 뒤에서 주격조사의 출현은 수의적임.
주043)
며:같으며. ‘-’는 ‘(부사)’에 ‘-’가 붙어 형성된 형용사인데, ‘니(+-+니)’와 같은 활용형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 새로운 어간 ‘-’이 형성되었다.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044)
사롤:살아갈. 살-+오/우+ㄹ(관형사형어미).
주045)
혜미:계책이. 혜-+ㅁ(명사파생접미사)+이. 명사형은 ‘혜욤(혜-+옴)’임.
주046)
긋도다:끊어지도다. 긏-[絶]+도+다. 8종성표기법.
주047)
머믈워:머무르게 하여. 지니고서. 머믈-+우(사동접미사)+어.
주048)
그지업시:끝없이. 그지[限]+없-+이(부사파생접미사).
주049)
우:웃어. 웃으며. -+어.
주050)
요요(寥寥):쓸쓸함.
주051)
업소:없음읋. 없-+옴+.
주052)
말라:말라. ‘-라’는 라체 명령형 종결어미. ‘말-’에 ‘-아라’가 결합하면 ‘마아라’로 나타난다.
주053)
제:스스로가.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이처럼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주054)
갓:한결같이.
주055)
뷔여:비어. 뷔-[空]+어.
주056)
올녀긔:오른쪽으로. 녁+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57)
이조미:이지러짐이. 부족함이. 잊-[虧]+옴/움(명사형어미)+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