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9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9
  • 약사여래를 공양하는 방법과 속명번의 공덕
  • 약사여래를 공양하는 방법과 속명번의 공덕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약사여래를 공양하는 방법과 속명번의 공덕 2


[약사여래를 공양하는 방법과 속명번의 공덕 2]
그 病 사 아미어나 아로리어나 病니 주001)
병니:
앓는 사람(병-ㄴ-이).
위야 藥師瑠璃光如來 歸依야 한  請야 이 經을 닑고 七層燈의 주002)
블:
불.
혀고 주003)
혀고:
켜고 (혀-고).
五色 續命神幡 주004)
속명신번:
목숨을 이어주는 신기한 번. 「번」은 부처님의 위덕을 표시하는 깃발.
면 【續命神幡은 목숨 니 神奇 幡이라】 시혹

석보상절 9:31ㄱ


주005)
병:
병하는 이의, 앓는 이의(병-ㄴ-이-). 「--」는 파생가지. 「-」는 「-ㄴ-이」가 준 것.
넉시 이 고대 도라와 티 子細히 보리니 닐웨어나 주006)
닐웨어나:
이레거나 (←닐웨-거나).
스믈리 주007)
스믈리:
스무하루.
어나 셜흔다쐐 주008)
셜흔닷쐐:
서른닷새.
어나 마아래 주009)
마아래:
마혼아흐레.
어나 디내오 病 넉시 도로  저긔 주010)
저긔:
깨어날 때에(-ㅭ적-의).
므로셔 주011)
-으로셔:
으로부터.
 야 주012)
-하야:
-듯하여.
됴 業이며 구즌 業엣 果報 주013)
과보:
인과응보.
 다 각야 알리니 제 보아 아론 젼 주014)
:
까닭.
외야 주015)
외야:
다시. 다시는.
현마 주016)
현마:
치마.
모딘 罪業 주017)
죄업:
사람의 몸·입·마음의 삼업으로 지은 죄.
을 짓디 아니리니 이럴

석보상절 9:31ㄴ

 淨信 善男子 善女人히 다 뎌 藥師瑠璃光如來ㅅ 일후믈 디녀 제 히메 주018)
히메:
힘으로 (힘-에). 「-에」는 자료의 뜻을 가진 토 「-으로」.
홀 야로 恭敬야 供養 주019)
:
하여야 (-ㅸ-아). 「-ㅸ-(←--)」은 「供養」의 객체인 「藥師…일훔」을 높임. 「-아」는 「-아야」.
리로소다 주020)
-로소라:
-옵니다. 오이다.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약사여래를 공양하는 방법과 속명번의 공덕 2]
그때 병하는(앓는) 사람의 친척이거나 아는 이거나 병하는 이를 위하여 약사유리광여래께 귀의하여 많은 중을 청하여 이 경을 읽고 칠층등에 불을 켜고, 오색의 속명신번을 달면 【「속명신번」은 목숨을 잇는 신기한 번이다.】 혹시 앓는 이의 넋이 이 곳에 돌아와 꿈같이 자세히 볼 것이니, 이레(칠일)거나 스무하루거나, 설흔닷새거나, 마흔아흐레거나 지내고, 앓는 이의 넋이 도로 깰 적에 꿈으로부터 깨듯하여 좋은 업이며 궂은 업의 과보를 다 생각하여 알 것이니, 제가 보아 안 까닭으로 다시는 차마 악한 죄업을 짓지 아니할 것이니 이러하므로 법을 믿는 선남자와 선여자들이 모두 저 약사유리광여래의 이름을 지니어 제 힘으로 할 양으로 공경하여 공양하여야 할 것이 오이다(하겠습니다).
Ⓒ 역자 | 김석득 / 1991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병니:앓는 사람(병-ㄴ-이).
주002)
블:불.
주003)
혀고:켜고 (혀-고).
주004)
속명신번:목숨을 이어주는 신기한 번. 「번」은 부처님의 위덕을 표시하는 깃발.
주005)
병:병하는 이의, 앓는 이의(병-ㄴ-이-). 「--」는 파생가지. 「-」는 「-ㄴ-이」가 준 것.
주006)
닐웨어나:이레거나 (←닐웨-거나).
주007)
스믈리:스무하루.
주008)
셜흔닷쐐:서른닷새.
주009)
마아래:마혼아흐레.
주010)
저긔:깨어날 때에(-ㅭ적-의).
주011)
-으로셔:으로부터.
주012)
-하야:-듯하여.
주013)
과보:인과응보.
주014)
:까닭.
주015)
외야:다시. 다시는.
주016)
현마:치마.
주017)
죄업:사람의 몸·입·마음의 삼업으로 지은 죄.
주018)
히메:힘으로 (힘-에). 「-에」는 자료의 뜻을 가진 토 「-으로」.
주019)
:하여야 (-ㅸ-아). 「-ㅸ-(←--)」은 「供養」의 객체인 「藥師…일훔」을 높임. 「-아」는 「-아야」.
주020)
-로소라:-옵니다. 오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