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8(상)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8(상)
  • 세주(世胄)
  • 서산 검찰사 두씨 시어사에게 드리는 입주의 시[入奏行贈西山檢察使竇侍御]
메뉴닫기 메뉴열기

서산 검찰사 두씨 시어사에게 드리는 입주의 시[入奏行贈西山檢察使竇侍御]


入秦〈奏〉 주001)
입주(入奏)
대궐에 들어가 아뢰는 것. 원제목의 ‘입진(入秦)’은 ‘입주(入奏)’의 잘못이다.
行贈西山檢察使 주002)
검찰사(檢察使)
신당서, 구당서, 회요 등의 역사책에는 ‘검찰사’란 관직이 나타나지 않는다. 검찰사는 상설된 관직이 아닌 것으로 본다. 당시 사천(四川)에 토번에 대비한 군사적 임무를 맡은 사람이 필요하였을 것인데 그 임무를 임시로 맡은 사람을 ‘검찰사’라 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侍御 주003)
시어(侍御)
군왕을 모시고 받드는 사람을 가리킨다. 당나라 때에는 궁중의 ‘시어사(侍御史)’를 가리켰다. 감찰어사가 시어가 된다.
주004)
두 시어(竇侍御)
두(竇)씨 성을 가진 시어사(侍御史). 두씨 성을 가진 사람이 시어사의 신분을 가졌던 것으로 본다.
주005)
입주행증서산검찰사두시어(入奏行贈西山檢察使竇侍御)
서산 검찰사 두씨 시어사에게 드리는 입주의 시. 이 시는 보응(報應) 원년(762)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성도(成都)의 초당(草堂)에 있었다. 두(竇)씨 성을 가진 인물이 시어사로 서산 검찰사를 맡았다가 임기를 마치고 성도로 돌아와 대궐에 아뢸 예정이었다. 두보는 그가 떠나가는 것을 위하여 이 시를 지었다.

입진〈주〉행증서산검찰사두시어
(서산 검찰사 두씨 시어사에게 드리는 입주의 시)

竇侍御 주006)
두시어(竇侍御)
두시어(竇侍御)+(보조사). 두시어는. 두(竇)씨 성을 가진 시어사(侍御史). 두씨 성을 가진 사람이 시어사의 신분을 가졌던 것으로 본다.
驥之子鳳之雛 年未三十忠義俱

竇侍御 驥의 주007)
기(驥)의
기(驥)+의(관형격 조사). 천리마의. 기(驥)는 좋은 말을 뜻한다. 북위(北魏)의 배경란(裵景鸞)이 나이는 어리나 재주가 뛰어나, 당시 사람들이 그를 가리켜 ‘기자(驥子)’라 칭하였다고 한다. 이는 두시어를 미화한 것이다.
아리며 주008)
아리며
아[子]#이(지정 형용사)-+-며(연결 어미). 아들이며.
鳳의 삿기로소니 주009)
삿기로소니
삿기[雛]#이(지정 형용사)-+-로소니(연결 어미). 새끼이니. ¶ 말도 아니코 안잿거시든 머리예 가치 삿기 치더니 사미 보고 荒唐히 너겨(한 말도 아니하고 앉아 있으셨는데 머리에 까치 새끼 쳤는데 사람들이 보고 황당히 여겨)〈석상 3:38ㄴ〉.
나히 주010)
나히
나ㅎ[年齡]+이(주격 조사). 나이가. ¶이 내 아리라 커든 그 百歲옛 사도  나 져므닐 쳐 닐오 이 내 아비니 우릴 나하 기르니라(이 사람이 내 아들이다 하매, 그 백세의 사람도 또 나이 어린 이를 가리켜 이르기를 이 사람이 내 아비니 우리를 낳아 기른 것이다.)〈법화 5:115ㄴ〉.
셜흐니 주011)
셜흐니
셜흔[三十]+이(주격 조사). 서른이.
몯야셔 주012)
몯야셔
몯[不, 未]+-(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셔(보조사). 못하여서. 못 되어서. 안 되어서.
忠과 義왜 주013)
충(忠)과 의(義)왜
충(忠)+과(접속 조사)#의(義)+와(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충(忠)과 의(義)가.
도다 주014)
도다
[俱]-+-도다(감탄 어미). 갖추어져 있도다. 갖추도다. ‘다’가 중세어에서는 자동사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悲와 智왜 서르 도며 두 利ㅣ자 人天의 供養 受얌직 야 날로 萬兩 黃金을 리라 호미니(슬픔과 지혜와 서로 도우며 두 이가 갖추어져 사람하늘의 공양을 받음 직하여 날로 만냥 황금을 사라지게 하리라 함이니)〈목우자 15ㄱ〉. 一乘法 中엔 다룜과 브륨과 가야오며 므거운 纖悉(섬실) 法이【纖은 혀글 씨라】몯니 업슨  가비니(일승의 법 가운데는 다스림과 부려짐과 가볍고 무거운 섬실한 법이【섬은 작은 것이다.】구비되지 못한 것이 없는 것을 비유하니)〈법화 2:196ㄴ〉.

【한자음】 두시어기지자봉지추 년미삼십충의구
【언해역】 두(竇) 시어사는 천리마[驥]의 아들이며 봉황의 새끼이니, 나이 서른이 못 되어서 충(忠)과 의(義)가 갖추도다.

骨鯁絶代無 烱如一叚淸冰出萬壑 置在迎風

분류두공부시언해 권8:22ㄱ

寒露之玉壺【骨鯁은 如肉之有骨이며 魚之有鯁이니 言剛正也ㅣ라 迎風寒露 漢ㅅ 館名이라 此 言侍御의 胷襟이 淸澈也ㅣ라】

骨鯁 호미 주015)
골경(骨鯁) 호미
골경(骨鯁)#[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뼈와 가시를 하는 것이. 뼈와 가시를 가지는 것이. 뼈와 가시를 갖추는 것이.
代예 주016)
대(代)예
대(代)+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대에. 대신할 것에서.
그처 주017)
그처
긏[絶]-+-어(연결 어미). 끊어져. ¶持経 사 허러든 罪 重호 부텻  긋논 젼라(불경을 가진 사람을 헐뜯으면 죄가 중함은 부처의 씨를 없게 하기 때문이다.)〈월석 15:46ㄴ〉. 소 면 어루 더울  權勢ㅣ 무레 그츠니 삼가 알 갓가이 말라 丞相이 믜리라(손을 쬐면 가히 더울 듯한 권세가 무리에 끊어지니(다른 사람의상대가 되지 않으니) 삼가 앞에 가까이 말라. 승상이 미워할 것이다.)〈두시(초) 11:18ㄴ~19ㄱ〉.
업스니
주018)
대(代)예 그처 업스니
대신할 것에서 끊어져 없으니. 비교할 것이 없으니.
고미 주019)
고미
[明, 炯(형, 빛나다)]-+-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밝음이.
낫 주020)
 낫
[一]#낯[箇]. 한 낱. 한 조각. 중세어의 ‘낯’이 ‘낱’이 되었다. ¶柴門엣 雜남기 즈믄 나치 외야 가니 블근 橘와 누른 甘子 이 해 업도다(섶나무문의 잡나무가 천 개(그루) 되어 가는데 붉은 귤(橘)과 누런 감자(甘子)는 이 땅에 없도다.)〈두시(초) 10:14ㄴ〉.
 주021)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맑은.
어르 주022)
어르
어름[冰]+(대격 조사). 얼음을.
萬壑애 주023)
만학(萬壑)애
만학(萬壑)+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만학에. 첩첩산중에.
가 내야 주024)
가 내야
가[行]-+-아(연결 어미)#내[出]-+-아(연결 어미). 가서 내어. 여기의 ‘가’가 원문의 무슨 한자를 번역한 것인지 알 수 없다. ‘일가(一叚)’를 생각해 볼 수 있으나, ‘가(叚)’는 ‘빌리다’를 뜻하는 것이니, 해당된다고 보기 어렵다. 더구나, 다른 본에는 이 ‘가(叚)’자가 ‘단(段)’으로 되어 있는 것이 있다. ‘단(段)’이라 하여도 ‘가서’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迎風寒露館ㅅ 주025)
영풍한로관(迎風寒露館)ㅅ
영풍한로(迎風寒露)#관(館)+ㅅ(관형격 조사). ‘영풍(迎風)’과 ‘한로(寒露)’는 한나라 대궐의 궁전 이름이다. 한로관(寒露館)이 ‘노한관(露寒館)’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玉壺애 주026)
옥호(玉壺)애
옥호(玉壺)+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옥호에. 옥병에.
노햇 주027)
노햇
놓[置]-+-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놓여 있는. 놓고 있는. ¶디 예  노호미 됴니 가야온 매 믌결 나미 더듸도다(지는 해에 배를 띄우는 것이 좋으니 가벼운 바람에 물결 이는 것이 더디도다.)〈두시(초) 15:30ㄱ〉.
도다 주028)
도다
[如]+-(형용사 파생 접미사)-+-도다(감탄 어미). 듯하도다.

【한자음】 골경절대무 형여일가청빙출만학 치재영풍한로지옥호【‘뼈와 가시’는, 살이 뼈를 가진 것과 같으며, 물고기가 가시를 가진 것과 같으니, 강직하고 바른 것을 말한다. ‘영풍(迎風)’과 ‘한로(寒露)’는 한나라 대궐의 궁전 이름이다. 이는 두(竇) 시어사의 가슴 속이 아주 맑은 것을 말한다.】
【언해역】 뼈와 가시를 가진 것(강직한 것)이 대신할 것에서 끊어져 없으니(비교할 것이 없으니), 밝음이 한 조각 맑은 얼음을 첩첩산중에 가 〈끄집어〉 내어서 영풍관, 한로관의 옥병에 놓아(넣어) 둔 듯하도다.

蔗漿歸廚金盌凍 洗滌煩熱足以寧君軀【蔗漿은 取甘蔗汁야 作漿니 可以除煩熱이니 言天子ㅣ 方憂 吐蕃야 不無內熱시니 侍御ㅣ 入奏야 忠言이 上沃帝心호미 如蔗漿然也ㅣ라】

蔗漿이 주029)
자장(蔗漿)이
자장(蔗漿)+이(주격 조사). 사탕수수 미음이.
브븨셔 가니 주030)
브븨셔 가니
브[廚(주)]+의셔(출격 조사, 부사격 조사)#가[行]-+-니(연결 어미). 부엌에서 가니. 부엌에서 그곳에 가니. ‘가니’는 금주발에 가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 브레 덴  고툐  브 안ㅅ 가온  細末야 甘草ㅅ  녀허  므레 라 라(또 불에 덴 살을 고치되 찬 부엌 안 가운데 흙을 가늘게 하여 감초 가루를 넣어 찬 물에 말아 바르라.)〈구급방 하:12ㄱ〉.
金盌이 주031)
금완(金盌)이
금완(金盌)+이(주격 조사). 금주발이.
주032)
얼[凍]-+-ㄴ(관형사형 어미). 언. ¶믄득 호니 紅顔인 저긔 서리와 이스리 階砌와 門의 어렛거든 되 고 그륜 활 고 시울 울여 虛히 쏘디 아니다라(문득 생각하니 〈내가〉 홍안이었을 적에 서리와 이슬이 섬돌과 문에 얼어 있으면 호마 타고 그림 그린 활을 끼고 시울을 울게 하여 헛되이 쏘지 아니하였도다.)〈두시(초) 10:26ㄱ〉.
니 어즈러운 주033)
어즈러운
어즈럽[煩]-+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어지러운. 괴로운.
더위 시서 주034)
시서
싯[洗, 滌(척)]-+-어(연결 어미). 씻어. ¶公子 어름므를 調和고 고온 사 蓮ㅅ 시를 싯놋다(공자(公子)는 얼음물을 고루 섞고, 고운 사람은 연(뿌리) 실을 씻는도다.)〈두시(초) 15:30ㄱ〉.
足히 주035)
[用]-+-어(연결 어미). 써. ¶以  논 디라(이는 써 하는 뜻이다)〈월석 1:석서 5ㄴ〉.
님 모 주036)
님 모
님금[王]+ㅅ(관형격 조사)#몸[軀]+(대격 조사). 임금의 몸을.
便安케 리로디〈다〉 주037)
리로디〈다〉
[爲]-+-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하리로다. 할 것이로다.

【한자음】 자장귀주금완동 세척번열족이녕군구【사탕수수 미음은 달콤한 사탕수수 즙을 내어 미음을 만드는 것이니, 가히 어지러운 더위를 제거할 수 있으니, 천자가 바야흐로 토번( 吐蕃)을 근심하여 내열이 없을 수 없으니, 시어가 들어가 아뢰니 충성스런 말이 황제의 마음에 하늘에서 물을 내리는 것처럼 사탕수수 미음이 그와 같았다는 말이다.】
【언해역】 사탕수수 미음이 부엌에서 〈그곳에〉 가니 금주발이 언 듯하니, 어지러운(괴로운) 더위 씻어 족히 써 임금 몸을 편안케 할 것이로다.

政用踈通合典則 戚聯豪貴耽文儒【踈通 言其施爲通

분류두공부시언해 권8:22ㄴ

暢也ㅣ라】

政事  호미 주038)
정사(政事)  호미
정사(政事)#[用]-+-어(연결 어미)#[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정사를 써 하는 것이. 정사를 하는 것이.
疎通 주039)
소통(疏通)
원문의 주석에, ‘그 행하는 것이 통창(通暢)되었다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두(竇) 시어사가 시어사로서, 검찰사로서 직무를 잘하여 황제의 마음이 흡족하도록 조리가 분명하고 밝게 되었다는 것이다.
야 法에 마니 주040)
마니
맞[合]-+-(조음소)-+-니(연결 어미). 맞으니. ¶네 法을 다 諦라 니샤 그 디 實야 理예 마자 어긔유미 업슬 遺敎애 닐오  어루 게 며  어루 덥게 려니와 부텨 니샨 四諦 다게 몯리라 니라(네 법을 다 체라 이르심은 그 뜻이 진실하여 이치에 맞아 어김이 없으므로 유교경에 이르기를, 해를 가히 차게 하며, 달을 가히 덥게 하려니와 부처님이 이르신 사체(四諦)는 달리 못하리라고 한 것이다.)〈법화 2:154ㄱ〉.
아미 주041)
아미
아[親戚, 親屬]+이(주격 조사). 친척이. 친속이. ¶須達이 또 무로 婚姻 위야 아미 오나 이바도려 노닛가(수달이 또 말하되, 혼인을 위하여 친척이 오게 되면 잔치하려 하시는 것입니까?)〈석보 6:16ㄱ〉.
豪貴예 주042)
호귀(豪貴)예
호귀(豪貴)+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권력과 부에.
니쇼 주043)
니쇼
[連, 聯]-+-어(연결 어미)#시[有]-+-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연결 어미). 이어 있으되. ¶家風을 니 節操ㅣ 오히려 긋디 아니니 政事논 됴 소리 이제 예 잇도다(가풍(家風)을 잇고 있는 절개와 지조가 오히려 그치지 않으니 정사를 하는 좋은 소리는 이제 여기 있도다.)〈두시(초) 15:16ㄴ〜17ㄱ〉.
글 주044)
글
글[文]+-(형용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글하는. 글공부하는.
션 주045)
션
션[儒]+(대격 조사). 선비를.
즐기놋다 주046)
즐기놋다
즐기[樂, 耽]-+-(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관형격 조사)-+-다(종결 어미). 즐기는구나.

【한자음】 정용소통합전칙 척련호귀탐문유【소통은 그것을 베프는 것이 통하여 밝아지는 것을 말한다.】
【언해역】 정사를 써 하는 것이 소통하여 법에 맞으니, 친속이 권력과 부에 이어 있으되, 글하는 선비를 즐기는구나.

兵革未息人未蘇 天子亦念西南隅【西南隅 謂蜀이라】

兵革이 주047)
병혁(兵革)이
병혁(兵革)+이(주격 조사). 병란이. 전란이.
긋디 주048)
긋디
긏[止, 息]-+-디(연결 어미). 그치지. ¶구루미 그츠니 蓮  뫼히 큰 길헤 디럿고 하히 개니 宮읫 버드리 長春에 어드웟도다(구름이 끊어지니 연꽃 같은 산이 큰 길에 다다라 있고 하늘이 개니 궁궐의 버들이 장춘궁(長春宮)에 어두웠도다.)〈두시(초) 14:37ㄱ〉.
아니야 주049)
아니야
아니[不, 非]+-(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아니하여.
사미 蘇復디 주050)
소복(蘇復)디
소복(蘇復)+디(연결 어미). 회복하지. 되살아나지.
몯 주051)
몯
‘몯[不能]+-(형용사 파생 접미사)-+-ㄹ(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또는 ‘몯[不能]+-(형용사 파생 접미사)-+-ㄹ(연결 어미)’. 못하기 때문에. 못하므로. ‘-ㄹ’를 연결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天子ㅣ 주052)
천자(天子)ㅣ
천자(天子)+이(주격 조사). 천자가.
西南 모 주053)
서남(西南) 모
서남(西南)#모ㅎ[隅]+(대격 조사). 서남쪽 모퉁이를.
思念시니라 주054)
사념(思念)시니라
사념(思念)+-(동사 파생 접미사)-+-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생각하시는 것이다. 염려하시는 것이다. 걱정하시는 것이다.

【한자음】 병혁미식인미소 천자역념서남우【‘서남쪽 모퉁이’는 촉(蜀)을 말한다.】
【언해역】 전란이 그치지 아니하여 사람이 되살아나지 못하기 때문에, 천자가 또 서남 모퉁이를 염려하시는 것이다.

吐蕃憑陵氣頗麤 竇氏檢察應時須

吐蕃이 주055)
토번(吐蕃)이
토번(吐蕃)+이(주격 조사). 토번이. 토번의, ‘번(蕃)’은 고대 장족(藏族)이 스스로 칭한 이름이다. 6세기에 지금의 서장산(西藏山) 남쪽 지구에서 흥기한 것으로 되어 있다. 서장 지역에 나타난 제1의 정권이다. 고대 장족(藏族)이 청장(青藏) 고원에 건립한 정권은 AD 618〜842까지 지속되었다.
憑陵야 주056)
빙릉(憑陵)야
빙릉(憑陵)+-(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세력을 믿고 침범하여.
氣運이 모 주057)
모
자못.
멀터우니 주058)
멀터우니
멀텁[荒, 麤]-+-으(조음소)-+-니(연결 어미). 거치니. ¶想念 미 멀터닌 尋이라 고 닌 伺ㅣ라 니(상념의 마음이 거친 것은 심이라 하고, 가는 것은 사라 하니)〈월석 12:43ㄱ〉.
竇氏의 檢察호미 주059)
검찰(檢察)호미
검찰(檢察)+-(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검찰함이. 검찰하는 것이. 검찰사의 직분을 수행함이.
時節ㅅ 주060)
시절(時節)ㅅ
시절(時節)+ㅅ(관형격 조사). 당시의. 당대의. 시대의.
求호 주061)
구(求)호
구(求)+-(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구함을. 구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을.
맛마 주062)
맛마
맛갊[應]-+-아(연결 어미). 응하여. 대응하여. ¶ 惡으로 天下 놀래요 맛고 브르디 아니며 아로미 世間 밧긔 나디 아니호(또 악으로 천하를 놀라게 하되 대답하고 부르지 아니하며, 아는 것이 세상 밖에 나지 아니하며)〈법화 2:28ㄴ〉. 蹈七寶華 妙淨密行 應이라 應은 맛 씨라(도칠보화는 묘정 밀행의 응(應)이다. 응(應)은 보응한다는 말이다.)〈월석 15:36ㄱ〉.
나도다 주063)
나도다
나[生, 出]-+-도다(감탄 어미). 생기도다.

【한자음】 토번빙릉기파추 두씨검찰응시수
【언해역】 토번이 침범하여 기운이 자못 거치니, 두씨의 검찰하는 것이 시대가 구하는 것에 응하여 생기도다.

運粮繩橋壯士喜 斬木火井窮猿呼【繩橋火井은 皆在蜀다 言運粮饋軍故로 士喜고 斬木爲柵故로 猿이 失所依而呼也ㅣ라】

繩橋애 주064)
승교(繩橋)애
승교(繩橋)+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매듭다리에. 승교는 대나무껍질로 꼰 밧줄 네 가닥을 씨줄로 하고 칡과 등나무를 날줄로 하여 땋아서 그 위에 나무판을 놓아 만든 현수교이다. 여기서 말하는 승교는 무주(茂州) 문천현(汶川縣) 민강(岷江)에 있는 다리로, 당대(唐代)에 가장 유명했던 다리라 한다.〈김만원 외 (2006) 참조〉.
軍粮을 주065)
군량(軍粮)을
군량(軍粮)+을(대격 조사). 군대식량을.
옮기니 壯士ㅣ 주066)
장사(壯士)ㅣ
장사(壯士)+이(주격 조사). 장사가.
깃고 주067)
깃고
(喜)-+-고(연결 어미). 기쁘고. 기뻐하고. 어간 ‘-’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깃-’으로 나타난다. ¶城郭 졋 벼 깃노니 便安 時節의 吉祥호 브르노라(성곽을 지고 있는 벼를 기뻐하노니 편안한 시절에 길상함을 노래부르노라.)〈두시(초) 15:34ㄱ〉.
火井縣에 주068)
화정현(火井縣)에
화정현(火井縣)+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화정현에. 화정(火井)은 천연가스가 나오는 광정(鑛井)을 말한다. 화정 주변의 나무를 베어 산불이 번지지 않게 하는데, 숲이 깎이므로, 숲속에 사는 동물들이 내몰리게 된다.
남 주069)
남
*[木]+(대격 조사). 나무를. ‘*’은 ‘나모’의 곡용을 위한 추상적 기본형이다. 독립형은 ‘나모’이다. ¶나모 아래 다 보옛 師子座ㅣ 이쇼 노 五由旬이오 種種 보로 미고(나무 아래 모두 보배로 된 사자좌 있으되, 높이 5유순이고, 갖가지 보배로 꾸미고)〈월석 15:76ㄱ〉.
버히니 주070)
버히니
버히[斬]-+-니(연결 어미). 베니.
窮迫 주071)
궁박(窮迫)
궁박(窮迫)+-(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가난하고 구차한. 의지할 곳을 잃은. 숨을 곳 없이 내몰리는.
나비 주072)
나비
납[猿]+이(주격 조사). 납이. 원숭이가. ¶다 해  디거늘 거믄 나비 우니 녯 나라핸 서릿 前에  그려기 오니라(다른 땅에 해 지거늘 검은 원숭이 우나니 옛 나라에는 서리 전에 흰 기러기 오는 것이다.)〈두시(초) 11:28ㄴ〉.
우르놋다 주073)
우르놋다
울[呼]-+-으(조음소)-+-(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종결 어미). 우는구나. ¶이틋나래 俱夷 자다가 니르샤 해 디여 우르시며 王과 大愛道와도 슬허 우르시며 나랏 사미 다 슬허 두루 얻니더라(이튿날 구이 자다가 일어나시어 땅에 엎들여 우시며 왕과 대애도와도 슬퍼 울며 나라의 사람이 다 슬퍼 두루 얻으러 다니더라.)〈석상 3:30ㄴ〉.

【한자음】 운량승교장사희 참목화정궁원호【현수교와 불우물(火井)은 모두 촉에 있다. 곡식을 날라 군인들을 먹이므로 장사가 기뻐하고, 나무를 베어 목책을 하는 고로 원숭이가 의지할 곳을 잃어 울부짖는 것을 말한다.】
【언해역】 현수교에 군량을 옮기니 장사(壯士)가 기뻐하고, 화정현(火井縣)에 나무를 베니 숨을 곳 없이 내몰리는 원숭이가 우는구나.

분류두공부시언해 권8:23ㄱ

八州刺史思一戰 三城守邊却可圖【八州 侍御의 所檢察州也ㅣ라 三城은 西山三城也ㅣ라】

여듧 옰 주074)
여듧 옰
여듧[八]#올[州]+ㅅ(관형격 조사). 여덟 고을의. 여덟 주(州)의. 송주(松州), 유주(維州), 공주(恭州), 봉주(蓬州), 아주(雅州), 여주(黎州), 요주(姚州), 실주(悉州)의 여덟 주를 말한다.
刺史ㅣ 주075)
자사(刺史)ㅣ
자사(刺史)+이(주격 조사). 자사가. 자사는 중국 한나라 때에, 군(郡)․국(國)을 감독하기 위하여 각 주에 둔 감찰관으로, 당나라․송나라를 거쳐 명나라 때 없어졌다고 한다.
번 주076)
번
[一]#번(番). 한번. ‘두 번’에 대하여 상대적인 의미를 가지고 쓰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체가 단어의 자격을 가지는 것으로 본다.
사호고져 주077)
사호고져
사호[戰]-+-고져(연결 어미). 싸우고자. ¶ 리 도혀 서르 사호며 星辰이 조 모다 리놋다(해 달이 도리어 서로 싸우며, 별들이 자주 모여 에워싸는구나.)〈두시(초) 10:10ㄴ〉.
니 주078)
니
[思]+-(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생각하나니. 생각하니.
세 城으로 주079)
세 성(城)으로
세[三]#성(城)+으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세 성으로. 〈당서(唐書)〉에 팽주(彭州)에는 양관(羊灌), 전붕(田朋), 착승교(笮繩轎)의 세 수착성(守捉城)이 있다고 하였는데, 세 성은 이를 가리킨다고 한다.(한성무 외 (1997) 참조)
 주080)

[邊]+(대격 조사). 가를. 변방을. ¶ 우흿 얼구른 내 올로 늘구니 하  風俗 내 서르 親호라(강 위의 정경은 내 홀로 늙으니 하늘 가의 풍속을 내 〈보건댄〉 서로 친하구나.)〈두시(초) 11:36ㄱ〉.
守禦호 주081)
수어(守禦)호
수어(守禦)+-(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보조사). 지킴은. 지키는 것은.
도혀 주082)
도혀
도리어[却].
어루 주083)
어루
가히. ¶淸淨야  업스며 圓明야 료미 업서 어루 노피 며 머리 드러 거 光明이 盛大야 先宗 더러디 아니리라(청정하여 끝이 없으며 원명하여 가림이 없어야 가히 높이 날며 멀리 들어 거의 광명이 성대하여 선종을 더럽히지 아니할 것이다.)〈몽법 46ㄴ〉.
圖謀리로다 주084)
도모(圖謀)리로다
도모(圖謀)+-(동사 파생 접미사)-+-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도모할 것이도다.
주085)
## 마다
[年]+마다(보조사). 해마다. ¶마다 冬至ㅅ 나래 기리 나그내 외요니 忽忽히 기픈 시르미 사  긋누르다(해마다 동짓날에 오래 나그네 되니 갑자기 깊은 시름이 사람의 마음을 찍어누른다.)〈두시(초) 11:36ㄱ〉.

【한자음】 팔주자사사일전 삼성수변각가도【‘팔주(八州)’는 시어사가 검찰하는 주이다. ‘삼성(三城)’은 서산의 세 성이다.】
【언해역】 여덟 고을 자사(刺史)가 한번 싸우고자 생각하니, 세 성(城)으로 변방을 지키는 것은 도리어 가히 도모할 것이로다.

此行入奏計未小 密奉聖旨恩應殊

이 行애 주086)
이 행(行)애
이[此]#행(行)+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이번 감에. 이번 행차에. 이번 길에.
드러가 주087)
드러가
들[入]-+-어(연결 어미)#가[去]-+-아(연결 어미). 들어가.
엳 주088)
엳
엳[奏]-+-(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여쭙는. ¶말 엳고 쳔 만히 시러 王舍城으로 가며 길헤 艱難 사 보아 다 布施더라(사유를 여쭙고 재물을 많이 실어 왕사성으로 가며 길에 가난한 사람을 보면 다 보시를 하더라.)〈석보 6:15ㄴ〉.
혜아료미 주089)
혜아료미
혜아리[計]-+-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헤아림이. 계획이. 의도가. 계책이.
젹디 아니니 주090)
젹디 아니니
젹[小]-+-디(연결 어미)#아니[不, 非, 未]+-(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적지 아니하니. 적지 않으니.
秘密히 주091)
비밀(秘密)히
비밀(秘密)+-(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비밀히. 남몰래.
님금 들 주092)
들
[意, 旨]+을(대격 조사). 뜻을.
받와 주093)
받와
받[奉]-+-(화자 겸양 접미사)-+-아(연결 어미). 받들어. ¶니건  이  御床 받와 五更 三點에 鵷鷺ㅅ 行列에 드노라(지난해 이맘 때 어상(御床)을 받들어 오경(五更) 3점에 원로(鵷鷺) 행렬에 드노라.)〈두시(초) 11:34ㄴ〉.
恩惠 이 주094)
이
(當當)+-(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당당히. 마땅히. 응당. 어쩔 수 없이.
달이 주095)
달이
다[異, 殊]-+-이(부사 파생 접미사). 달리. ¶ 블근 수글 짓날 자바 오로 외여 둣다가 립츈 나래 마 머고 다 사 주디 말라(또 붉은 수탉을 동짓날에 잡아 온전히 말려 두었다가 입춘날에 삶아 먹되 다른 사람 주지 말라.)〈온역 5ㄱ~ㄴ〉.
시리로다 주096)
시리로다
‘[爲]-+-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또는 ‘[爲]-+-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다(감탄 어미)’. 하실 것이로다. ‘-로다’는 ‘-도다’의 지정 형용사 ‘이-’ 뒤에서의 변이형이며, ‘-도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감탄 선어말 어미 ‘-도-’와 어말 어미 ‘-다’의 결합을 재구조화한 것이다.

【한자음】 차행입주계미소 밀봉성지은응수
【언해역】 이번 길에 〈대궐에〉 들어가 여쭙는 계책이 작지 아니하니, 남몰래 임금 뜻을 받들어(받들었으니) 은혜를 마땅히 달리 하실 것이로다.

繡衣春當霄漢立 綵服日向庭闈趨【繡衣 御史ㅅ 所着이오 綵服은 孝子之衣니 言侍御ㅣ 入奏天陛고 覲親家庭也ㅣ라】

繡혼 주097)
수(繡)혼
수(繡)#[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수를 놓은.수놓은. 중세어에서는 ‘수놓다’와 같은 말이 나타나지 않는다. ‘수다’라고 나온다.
오로 주098)
오로
옷[衣]+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옷으로.
주099)
수(繡)혼 오로
수놓은 옷으로. 여기서는 대궐에 들어가 아뢸 때 입는 옷으로, 관복을 뜻함.
보 주100)
보
봄[春]+(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봄에.
하 當야 주101)
하 당(當)야
하ㅎ[天]+(대격 조사)#당(當)+-(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하늘을 마주하여. 여기서는 ‘소한(霄漢)’이 하늘, 곧 황제를 가리킨다.
셔고 주102)
셔고
셔[立]-+-고(연결 어미). 서고.
빗난 오로 주103)
빗난 오로
빛[光, 色]#나[生]-+-ㄴ(관형사형 어미)#옷[衣, 服]+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빛난 옷으로. 빛나는 옷으로. 여기서 빛나는 옷은 효도와 관련되는 색동옷을 말한다.
나날 주104)
나날
날[日]+날[日]. 나날이. 매일.
庭闈 주105)
정위(庭闈)
부모가 거처하는 방이라는 뜻으로, 부모를 이르는 말.
 向야 리로다 주106)
리로다
‘[走, 趨]-+-(조음소)-+-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또는 ‘[走, 趨]-+-(조음소)-+-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다(감탄 어미)’. 달릴 것이로다. 달릴 것이도다.

【한자음】 수의춘당소한립 채복일향정위추【수놓은 옷은 어사가 입는 것이고, 색동옷은 효자의 옷이니, 시어사가 대궐 섬돌에 들어가 아뢰고, 가정에서 부모를 뵙는 것을 말한다.】
【언해역】 수놓은 옷으로 봄에 하늘(황제)을 마주하여 서고, 빛나는 옷으로 매일 부모를 향하여 달릴 것이로다.

省郞京尹必俯

분류두공부시언해 권8:23ㄴ

拾 江花未落還成都

省郞 주107)
성랑(省郞)
성(省)의 낭관(郞官). 낭관은 당나라 중추가 되는 여러 성의 관리를 말함.
京尹 주108)
경윤(京尹)
경도(京都)의 윤(尹). 윤(尹)은 영윤(令尹), 부윤(府尹), 경조윤(京兆尹) 등에 해당되는데, 한대(漢代) 이후 경조윤은 흔히 경기지구의 행정장관을 가리킨다. 당나라 때의 동도(東都), 서도(西都), 북도(北都)와 주(州)와 군(郡)의 부에는 부윤을 두었다.
반기 주109)
반기
반드시.
구버 주110)
구버
굽[俯]-+-어(연결 어미). 굽어. 굽혀. 구부려. ¶ 병니 잇 온 노호[]로 견조워 [] 노 구펴 야 두라(또 병 앓는 사람 있는 창 가운데를 노끈(새끼줄)으로 견주어 벽에 노끈을 굽혀 매어 두라(양쪽 벽에 새끼줄을 매어 창문 가운데에 새끼줄이 늘어지도록 하라).)〈온역 19ㄴ〉.
주리로소니 주111)
주리로소니
‘[拾]-+-으(조음소)-+-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소니(연결 어미). 또는 ‘[拾]-+-으(조음소)-+-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소니(연결 어미)’. 주으리니.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리-’는 동명사 어미와 지정 형용사 어간 ‘이-’의 결합을 재구조화한 것이다. ‘-로소니’는 ‘-도(감탄 선어말 어미)-+-소(확인성의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를 재구조화한 것이다.
맷 주112)
맷
[江]+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강의.
고지 주113)
고지
곶[花]+이(주격 조사). 꽃이.
디디 주114)
디디
디[落]-+-디(연결 어미). 지지. 떨어지지. ¶구루믄  므를 조차 디고  블근 뫼 흐느러 슬프도다(구름은 흰 물을 따라 떨어지고, 바람은 붉은 산을 흔들어 슬프도다.)〈두시(초) 11:8ㄱ〉.
아니얏거든 주115)
아니얏거든
아니[不]+-(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거(대상성의 선어말 어미)-+-든(연결 어미). 아니하였거든. 아니하여.
成都 주116)
성도(成都)
중국 사천(四川) 분지 서부에 있는 도시. 중국 남서부 교통의 요충지로 삼국 시대 촉한의 도읍이었다. 지금은 사천성(四川省)의 성도(省都)이다.
도라오리로다 주117)
도라오리로다
‘돌[回]-+-아(연결 어미)#오[來]-+-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또는 ‘돌[回]-+-아(연결 어미)#오[來]-+-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다(감탄 어미)’. 돌아올 것이로다. 돌아올 것이도다.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리-’는 동명사 어미 ‘-ㄹ’과 지정 형용사 어간 ‘이-’의 결합을 재구조화한 것이다.

【한자음】 성랑경윤필부습 강화미락환성도
【언해역】 성(省)의 낭관(郞官)과 경도(京都)의 윤(尹)을 반드시 굽혀 주을 것이니, 강의 꽃이 지지 아니하여 성도에 돌아올 것이로다.

江花未落還成都 肯訪浣花老翁無

맷 고지 디디 아니얏거든 成都애 도라오리니 浣花앳 주118)
완화(浣花)앳
완화(浣花)+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완화의. 완화는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의 유명한 공원의 하나. 지금은 두보를 기념하는 초당이 있고, 작은 개울, 대나무 숲, 작은 다리, 난석(卵石), 작은 오두막집 등이 꾸며져 있다. 두보는 엄무의 호의로 완화계에 있는 초당에 돌아와 살았다.
늘근 한아비 주119)
늘근 한아비
늙[老]-+-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하[大]-+-ㄴ(관형사형 어미)#아비(父)+(대격 조사). 늙은 할아비를. ¶블근 대이 님 命을 좃니 銀印을 늘근 한아비 주놋다(붉은 대 붓이 임금의 명(命)을 좇으니, 은인(銀印)을 늙은 할아비를 주는구나.)〈두시(초) 10:14ㄱ〉.
주120)
오[來]-+-아(연결 어미). 와. 와서. ‘오-+-아’는 반드시 축약형 ‘와’로 쓰인다.
볼다 주121)
볼다
‘보[見, 訪]+-ㄹ(동명사 어미)+다(의문 보조사). 또는 ‘보[見, 訪]+-ㄹ다(의문 어미)’. 볼 것인가. ‘-ㄹ다’를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말다 주122)
말다
‘말[勿]+-ㄹ(동명사 어미)+다(의문 보조사). 또는 ‘물[勿]-+-ㄹ다(의문 어미)’. 말 것인가. ‘-ㄹ다’를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한자음】 강화미락환성도 긍방완화로옹무
【언해역】 강물에 꽃이 지지 아니하면(아니하여) 성도(成都)에 돌아올 것이니, 완화(浣花)의 늙은 할아비를 와 볼 것인가, 말 것인가?

爲君酤酒滿眼酤 與奴白飯馬靑芻【蜀人이 用竹筒酤酒니 筒上애 有穿繩眼니 滿眼酤 言滿迫筒眼也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그듸 주123)
그듸
그듸[君]+(대격 조사). 그대를.
爲야 수를 사 주124)
수를 사
술[酒]+을(대격 조사)#사[買, 酤]-+-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연결 어미). 술을 사되. 연결 어미 ‘-’는 거의 언제나 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 ‘-오/우/아/어-’를 동반한다. 그 이형태의 하나에 ‘-아-’가 있다고 보아 여기서는 그것을 ‘-아-’로 상정한 것이다.
누네 주125)
누네
눈[眼]+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눈에. 여기서 ‘눈’은 ‘눈금’을 가리킨다.
기 주126)
기
[滿]+-(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득히. 가득하게. ¶햇 두듥과  蒲애  나니 블근 宮殿에셔 닉디 아니호 玉壺애 기 담놋다(들판의 두둑과 강 개펄에서 가장자리에 나는데 붉은 궁전에서 익지 아니하되 옥으로 만든 병에 가득 담는도다.)〈두시(초) 15:21ㄴ〉.
사고 으란 주127)
으란
[奴]+으란(보조사). 종을랑. 종일랑.
 바 주128)
 바
[白]-+-ㄴ(관형사형 어미)#밥[飯]+(대격 조사). 흰 밥을. ¶도혀 疑心호 柂樓ㅅ 미틔셔 나죗밥 먹고 越ㅅ 中에셔 녀논가 노라(도리어 의심하되 방향타 누각 밑에서 저녁밥 먹고 월(越)나라 가운데서 다니는가 하노라.)〈두시(초) 15:7ㄴ〉.
주고 란 주129)
란
[馬]+란(보조사). 말을랑. 말일랑. ¶後에 오  니 엇뎨 머믈리오 軒檻 當야  브려 錦茵에 드놋다(후에 오는 말 탄 사람은 어찌 머물 것인가? 헌함(軒檻)에 당도하여 말을 내려 비단요(비단요는 포장을 한 도로를 말한다고 한다)에 드는구나.)〈두시(초) 11:18ㄴ〉.
프른  주130)
프른 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芻]+(대격 조사). 푸른 꼴을. ¶프른 리  性에 마()니 됴 새 사 도라와쇼 아놋다(푸른 꼴이 말의 먹성에 맞으니 좋은 새 사람의 돌아와 있음을 아는구나.)〈두시(초) 15:4ㄱ〉.
호리라 주131)
호리라
‘[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또는 ‘[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하리라.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리-’를 상정하는 것은 ‘-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의 결합에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위군고주만안고 여노백반마청추【촉 사람이 죽통을 사용하여 술을 사니, 통 위에 뚫어 놓은 줄눈이 있으니, ‘눈에 가득하게 사는 것’은 통의 눈에 가깝게 차는 것을 말한다.】
【언해역】 그대를 위하여 술을 사되 눈에 가득히 사고, 종일랑 흰 밥을 주고 말일랑 푸른 꼴을 하리라(주리라).
Ⓒ 역자 | 임홍빈 / 2015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입주(入奏) : 대궐에 들어가 아뢰는 것. 원제목의 ‘입진(入秦)’은 ‘입주(入奏)’의 잘못이다.
주002)
검찰사(檢察使) : 신당서, 구당서, 회요 등의 역사책에는 ‘검찰사’란 관직이 나타나지 않는다. 검찰사는 상설된 관직이 아닌 것으로 본다. 당시 사천(四川)에 토번에 대비한 군사적 임무를 맡은 사람이 필요하였을 것인데 그 임무를 임시로 맡은 사람을 ‘검찰사’라 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주003)
시어(侍御) : 군왕을 모시고 받드는 사람을 가리킨다. 당나라 때에는 궁중의 ‘시어사(侍御史)’를 가리켰다. 감찰어사가 시어가 된다.
주004)
두 시어(竇侍御) : 두(竇)씨 성을 가진 시어사(侍御史). 두씨 성을 가진 사람이 시어사의 신분을 가졌던 것으로 본다.
주005)
입주행증서산검찰사두시어(入奏行贈西山檢察使竇侍御) : 서산 검찰사 두씨 시어사에게 드리는 입주의 시. 이 시는 보응(報應) 원년(762)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성도(成都)의 초당(草堂)에 있었다. 두(竇)씨 성을 가진 인물이 시어사로 서산 검찰사를 맡았다가 임기를 마치고 성도로 돌아와 대궐에 아뢸 예정이었다. 두보는 그가 떠나가는 것을 위하여 이 시를 지었다.
주006)
두시어(竇侍御) : 두시어(竇侍御)+(보조사). 두시어는. 두(竇)씨 성을 가진 시어사(侍御史). 두씨 성을 가진 사람이 시어사의 신분을 가졌던 것으로 본다.
주007)
기(驥)의 : 기(驥)+의(관형격 조사). 천리마의. 기(驥)는 좋은 말을 뜻한다. 북위(北魏)의 배경란(裵景鸞)이 나이는 어리나 재주가 뛰어나, 당시 사람들이 그를 가리켜 ‘기자(驥子)’라 칭하였다고 한다. 이는 두시어를 미화한 것이다.
주008)
아리며 : 아[子]#이(지정 형용사)-+-며(연결 어미). 아들이며.
주009)
삿기로소니 : 삿기[雛]#이(지정 형용사)-+-로소니(연결 어미). 새끼이니. ¶ 말도 아니코 안잿거시든 머리예 가치 삿기 치더니 사미 보고 荒唐히 너겨(한 말도 아니하고 앉아 있으셨는데 머리에 까치 새끼 쳤는데 사람들이 보고 황당히 여겨)〈석상 3:38ㄴ〉.
주010)
나히 : 나ㅎ[年齡]+이(주격 조사). 나이가. ¶이 내 아리라 커든 그 百歲옛 사도  나 져므닐 쳐 닐오 이 내 아비니 우릴 나하 기르니라(이 사람이 내 아들이다 하매, 그 백세의 사람도 또 나이 어린 이를 가리켜 이르기를 이 사람이 내 아비니 우리를 낳아 기른 것이다.)〈법화 5:115ㄴ〉.
주011)
셜흐니 : 셜흔[三十]+이(주격 조사). 서른이.
주012)
몯야셔 : 몯[不, 未]+-(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셔(보조사). 못하여서. 못 되어서. 안 되어서.
주013)
충(忠)과 의(義)왜 : 충(忠)+과(접속 조사)#의(義)+와(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충(忠)과 의(義)가.
주014)
도다 : [俱]-+-도다(감탄 어미). 갖추어져 있도다. 갖추도다. ‘다’가 중세어에서는 자동사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悲와 智왜 서르 도며 두 利ㅣ자 人天의 供養 受얌직 야 날로 萬兩 黃金을 리라 호미니(슬픔과 지혜와 서로 도우며 두 이가 갖추어져 사람하늘의 공양을 받음 직하여 날로 만냥 황금을 사라지게 하리라 함이니)〈목우자 15ㄱ〉. 一乘法 中엔 다룜과 브륨과 가야오며 므거운 纖悉(섬실) 法이<원주>【纖은 혀글 씨라】몯니 업슨  가비니(일승의 법 가운데는 다스림과 부려짐과 가볍고 무거운 섬실한 법이<원주>【섬은 작은 것이다.】구비되지 못한 것이 없는 것을 비유하니)〈법화 2:196ㄴ〉.
주015)
골경(骨鯁) 호미 : 골경(骨鯁)#[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뼈와 가시를 하는 것이. 뼈와 가시를 가지는 것이. 뼈와 가시를 갖추는 것이.
주016)
대(代)예 : 대(代)+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대에. 대신할 것에서.
주017)
그처 : 긏[絶]-+-어(연결 어미). 끊어져. ¶持経 사 허러든 罪 重호 부텻  긋논 젼라(불경을 가진 사람을 헐뜯으면 죄가 중함은 부처의 씨를 없게 하기 때문이다.)〈월석 15:46ㄴ〉. 소 면 어루 더울  權勢ㅣ 무레 그츠니 삼가 알 갓가이 말라 丞相이 믜리라(손을 쬐면 가히 더울 듯한 권세가 무리에 끊어지니(다른 사람의상대가 되지 않으니) 삼가 앞에 가까이 말라. 승상이 미워할 것이다.)〈두시(초) 11:18ㄴ~19ㄱ〉.
주018)
대(代)예 그처 업스니 : 대신할 것에서 끊어져 없으니. 비교할 것이 없으니.
주019)
고미 : [明, 炯(형, 빛나다)]-+-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밝음이.
주020)
 낫 : [一]#낯[箇]. 한 낱. 한 조각. 중세어의 ‘낯’이 ‘낱’이 되었다. ¶柴門엣 雜남기 즈믄 나치 외야 가니 블근 橘와 누른 甘子 이 해 업도다(섶나무문의 잡나무가 천 개(그루) 되어 가는데 붉은 귤(橘)과 누런 감자(甘子)는 이 땅에 없도다.)〈두시(초) 10:14ㄴ〉.
주021)
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맑은.
주022)
어르 : 어름[冰]+(대격 조사). 얼음을.
주023)
만학(萬壑)애 : 만학(萬壑)+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만학에. 첩첩산중에.
주024)
가 내야 : 가[行]-+-아(연결 어미)#내[出]-+-아(연결 어미). 가서 내어. 여기의 ‘가’가 원문의 무슨 한자를 번역한 것인지 알 수 없다. ‘일가(一叚)’를 생각해 볼 수 있으나, ‘가(叚)’는 ‘빌리다’를 뜻하는 것이니, 해당된다고 보기 어렵다. 더구나, 다른 본에는 이 ‘가(叚)’자가 ‘단(段)’으로 되어 있는 것이 있다. ‘단(段)’이라 하여도 ‘가서’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주025)
영풍한로관(迎風寒露館)ㅅ : 영풍한로(迎風寒露)#관(館)+ㅅ(관형격 조사). ‘영풍(迎風)’과 ‘한로(寒露)’는 한나라 대궐의 궁전 이름이다. 한로관(寒露館)이 ‘노한관(露寒館)’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주026)
옥호(玉壺)애 : 옥호(玉壺)+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옥호에. 옥병에.
주027)
노햇 : 놓[置]-+-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놓여 있는. 놓고 있는. ¶디 예  노호미 됴니 가야온 매 믌결 나미 더듸도다(지는 해에 배를 띄우는 것이 좋으니 가벼운 바람에 물결 이는 것이 더디도다.)〈두시(초) 15:30ㄱ〉.
주028)
도다 : [如]+-(형용사 파생 접미사)-+-도다(감탄 어미). 듯하도다.
주029)
자장(蔗漿)이 : 자장(蔗漿)+이(주격 조사). 사탕수수 미음이.
주030)
브븨셔 가니 : 브[廚(주)]+의셔(출격 조사, 부사격 조사)#가[行]-+-니(연결 어미). 부엌에서 가니. 부엌에서 그곳에 가니. ‘가니’는 금주발에 가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 브레 덴  고툐  브 안ㅅ 가온  細末야 甘草ㅅ  녀허  므레 라 라(또 불에 덴 살을 고치되 찬 부엌 안 가운데 흙을 가늘게 하여 감초 가루를 넣어 찬 물에 말아 바르라.)〈구급방 하:12ㄱ〉.
주031)
금완(金盌)이 : 금완(金盌)+이(주격 조사). 금주발이.
주032)
언 : 얼[凍]-+-ㄴ(관형사형 어미). 언. ¶믄득 호니 紅顔인 저긔 서리와 이스리 階砌와 門의 어렛거든 되 고 그륜 활 고 시울 울여 虛히 쏘디 아니다라(문득 생각하니 〈내가〉 홍안이었을 적에 서리와 이슬이 섬돌과 문에 얼어 있으면 호마 타고 그림 그린 활을 끼고 시울을 울게 하여 헛되이 쏘지 아니하였도다.)〈두시(초) 10:26ㄱ〉.
주033)
어즈러운 : 어즈럽[煩]-+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어지러운. 괴로운.
주034)
시서 : 싯[洗, 滌(척)]-+-어(연결 어미). 씻어. ¶公子 어름므를 調和고 고온 사 蓮ㅅ 시를 싯놋다(공자(公子)는 얼음물을 고루 섞고, 고운 사람은 연(뿌리) 실을 씻는도다.)〈두시(초) 15:30ㄱ〉.
주035)
 : [用]-+-어(연결 어미). 써. ¶以  논 디라(이는 써 하는 뜻이다)〈월석 1:석서 5ㄴ〉.
주036)
님 모 : 님금[王]+ㅅ(관형격 조사)#몸[軀]+(대격 조사). 임금의 몸을.
주037)
리로디〈다〉 : [爲]-+-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하리로다. 할 것이로다.
주038)
정사(政事)  호미 : 정사(政事)#[用]-+-어(연결 어미)#[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정사를 써 하는 것이. 정사를 하는 것이.
주039)
소통(疏通) : 원문의 주석에, ‘그 행하는 것이 통창(通暢)되었다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두(竇) 시어사가 시어사로서, 검찰사로서 직무를 잘하여 황제의 마음이 흡족하도록 조리가 분명하고 밝게 되었다는 것이다.
주040)
마니 : 맞[合]-+-(조음소)-+-니(연결 어미). 맞으니. ¶네 法을 다 諦라 니샤 그 디 實야 理예 마자 어긔유미 업슬 遺敎애 닐오  어루 게 며  어루 덥게 려니와 부텨 니샨 四諦 다게 몯리라 니라(네 법을 다 체라 이르심은 그 뜻이 진실하여 이치에 맞아 어김이 없으므로 유교경에 이르기를, 해를 가히 차게 하며, 달을 가히 덥게 하려니와 부처님이 이르신 사체(四諦)는 달리 못하리라고 한 것이다.)〈법화 2:154ㄱ〉.
주041)
아미 : 아[親戚, 親屬]+이(주격 조사). 친척이. 친속이. ¶須達이 또 무로 婚姻 위야 아미 오나 이바도려 노닛가(수달이 또 말하되, 혼인을 위하여 친척이 오게 되면 잔치하려 하시는 것입니까?)〈석보 6:16ㄱ〉.
주042)
호귀(豪貴)예 : 호귀(豪貴)+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권력과 부에.
주043)
니쇼 : [連, 聯]-+-어(연결 어미)#시[有]-+-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연결 어미). 이어 있으되. ¶家風을 니 節操ㅣ 오히려 긋디 아니니 政事논 됴 소리 이제 예 잇도다(가풍(家風)을 잇고 있는 절개와 지조가 오히려 그치지 않으니 정사를 하는 좋은 소리는 이제 여기 있도다.)〈두시(초) 15:16ㄴ〜17ㄱ〉.
주044)
글 : 글[文]+-(형용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글하는. 글공부하는.
주045)
션 : 션[儒]+(대격 조사). 선비를.
주046)
즐기놋다 : 즐기[樂, 耽]-+-(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관형격 조사)-+-다(종결 어미). 즐기는구나.
주047)
병혁(兵革)이 : 병혁(兵革)+이(주격 조사). 병란이. 전란이.
주048)
긋디 : 긏[止, 息]-+-디(연결 어미). 그치지. ¶구루미 그츠니 蓮  뫼히 큰 길헤 디럿고 하히 개니 宮읫 버드리 長春에 어드웟도다(구름이 끊어지니 연꽃 같은 산이 큰 길에 다다라 있고 하늘이 개니 궁궐의 버들이 장춘궁(長春宮)에 어두웠도다.)〈두시(초) 14:37ㄱ〉.
주049)
아니야 : 아니[不, 非]+-(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아니하여.
주050)
소복(蘇復)디 : 소복(蘇復)+디(연결 어미). 회복하지. 되살아나지.
주051)
몯 : ‘몯[不能]+-(형용사 파생 접미사)-+-ㄹ(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또는 ‘몯[不能]+-(형용사 파생 접미사)-+-ㄹ(연결 어미)’. 못하기 때문에. 못하므로. ‘-ㄹ’를 연결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주052)
천자(天子)ㅣ : 천자(天子)+이(주격 조사). 천자가.
주053)
서남(西南) 모 : 서남(西南)#모ㅎ[隅]+(대격 조사). 서남쪽 모퉁이를.
주054)
사념(思念)시니라 : 사념(思念)+-(동사 파생 접미사)-+-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생각하시는 것이다. 염려하시는 것이다. 걱정하시는 것이다.
주055)
토번(吐蕃)이 : 토번(吐蕃)+이(주격 조사). 토번이. 토번의, ‘번(蕃)’은 고대 장족(藏族)이 스스로 칭한 이름이다. 6세기에 지금의 서장산(西藏山) 남쪽 지구에서 흥기한 것으로 되어 있다. 서장 지역에 나타난 제1의 정권이다. 고대 장족(藏族)이 청장(青藏) 고원에 건립한 정권은 AD 618〜842까지 지속되었다.
주056)
빙릉(憑陵)야 : 빙릉(憑陵)+-(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세력을 믿고 침범하여.
주057)
모 : 자못.
주058)
멀터우니 : 멀텁[荒, 麤]-+-으(조음소)-+-니(연결 어미). 거치니. ¶想念 미 멀터닌 尋이라 고 닌 伺ㅣ라 니(상념의 마음이 거친 것은 심이라 하고, 가는 것은 사라 하니)〈월석 12:43ㄱ〉.
주059)
검찰(檢察)호미 : 검찰(檢察)+-(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검찰함이. 검찰하는 것이. 검찰사의 직분을 수행함이.
주060)
시절(時節)ㅅ : 시절(時節)+ㅅ(관형격 조사). 당시의. 당대의. 시대의.
주061)
구(求)호 : 구(求)+-(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구함을. 구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을.
주062)
맛마 : 맛갊[應]-+-아(연결 어미). 응하여. 대응하여. ¶ 惡으로 天下 놀래요 맛고 브르디 아니며 아로미 世間 밧긔 나디 아니호(또 악으로 천하를 놀라게 하되 대답하고 부르지 아니하며, 아는 것이 세상 밖에 나지 아니하며)〈법화 2:28ㄴ〉. 蹈七寶華 妙淨密行 應이라 應은 맛 씨라(도칠보화는 묘정 밀행의 응(應)이다. 응(應)은 보응한다는 말이다.)〈월석 15:36ㄱ〉.
주063)
나도다 : 나[生, 出]-+-도다(감탄 어미). 생기도다.
주064)
승교(繩橋)애 : 승교(繩橋)+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매듭다리에. 승교는 대나무껍질로 꼰 밧줄 네 가닥을 씨줄로 하고 칡과 등나무를 날줄로 하여 땋아서 그 위에 나무판을 놓아 만든 현수교이다. 여기서 말하는 승교는 무주(茂州) 문천현(汶川縣) 민강(岷江)에 있는 다리로, 당대(唐代)에 가장 유명했던 다리라 한다.〈김만원 외 (2006) 참조〉.
주065)
군량(軍粮)을 : 군량(軍粮)+을(대격 조사). 군대식량을.
주066)
장사(壯士)ㅣ : 장사(壯士)+이(주격 조사). 장사가.
주067)
깃고 : (喜)-+-고(연결 어미). 기쁘고. 기뻐하고. 어간 ‘-’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깃-’으로 나타난다. ¶城郭 졋 벼 깃노니 便安 時節의 吉祥호 브르노라(성곽을 지고 있는 벼를 기뻐하노니 편안한 시절에 길상함을 노래부르노라.)〈두시(초) 15:34ㄱ〉.
주068)
화정현(火井縣)에 : 화정현(火井縣)+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화정현에. 화정(火井)은 천연가스가 나오는 광정(鑛井)을 말한다. 화정 주변의 나무를 베어 산불이 번지지 않게 하는데, 숲이 깎이므로, 숲속에 사는 동물들이 내몰리게 된다.
주069)
남 : *[木]+(대격 조사). 나무를. ‘*’은 ‘나모’의 곡용을 위한 추상적 기본형이다. 독립형은 ‘나모’이다. ¶나모 아래 다 보옛 師子座ㅣ 이쇼 노 五由旬이오 種種 보로 미고(나무 아래 모두 보배로 된 사자좌 있으되, 높이 5유순이고, 갖가지 보배로 꾸미고)〈월석 15:76ㄱ〉.
주070)
버히니 : 버히[斬]-+-니(연결 어미). 베니.
주071)
궁박(窮迫) : 궁박(窮迫)+-(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가난하고 구차한. 의지할 곳을 잃은. 숨을 곳 없이 내몰리는.
주072)
나비 : 납[猿]+이(주격 조사). 납이. 원숭이가. ¶다 해  디거늘 거믄 나비 우니 녯 나라핸 서릿 前에  그려기 오니라(다른 땅에 해 지거늘 검은 원숭이 우나니 옛 나라에는 서리 전에 흰 기러기 오는 것이다.)〈두시(초) 11:28ㄴ〉.
주073)
우르놋다 : 울[呼]-+-으(조음소)-+-(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종결 어미). 우는구나. ¶이틋나래 俱夷 자다가 니르샤 해 디여 우르시며 王과 大愛道와도 슬허 우르시며 나랏 사미 다 슬허 두루 얻니더라(이튿날 구이 자다가 일어나시어 땅에 엎들여 우시며 왕과 대애도와도 슬퍼 울며 나라의 사람이 다 슬퍼 두루 얻으러 다니더라.)〈석상 3:30ㄴ〉.
주074)
여듧 옰 : 여듧[八]#올[州]+ㅅ(관형격 조사). 여덟 고을의. 여덟 주(州)의. 송주(松州), 유주(維州), 공주(恭州), 봉주(蓬州), 아주(雅州), 여주(黎州), 요주(姚州), 실주(悉州)의 여덟 주를 말한다.
주075)
자사(刺史)ㅣ : 자사(刺史)+이(주격 조사). 자사가. 자사는 중국 한나라 때에, 군(郡)․국(國)을 감독하기 위하여 각 주에 둔 감찰관으로, 당나라․송나라를 거쳐 명나라 때 없어졌다고 한다.
주076)
번 : [一]#번(番). 한번. ‘두 번’에 대하여 상대적인 의미를 가지고 쓰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체가 단어의 자격을 가지는 것으로 본다.
주077)
사호고져 : 사호[戰]-+-고져(연결 어미). 싸우고자. ¶ 리 도혀 서르 사호며 星辰이 조 모다 리놋다(해 달이 도리어 서로 싸우며, 별들이 자주 모여 에워싸는구나.)〈두시(초) 10:10ㄴ〉.
주078)
니 : [思]+-(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생각하나니. 생각하니.
주079)
세 성(城)으로 : 세[三]#성(城)+으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세 성으로. 〈당서(唐書)〉에 팽주(彭州)에는 양관(羊灌), 전붕(田朋), 착승교(笮繩轎)의 세 수착성(守捉城)이 있다고 하였는데, 세 성은 이를 가리킨다고 한다.(한성무 외 (1997) 참조)
주080)
 : [邊]+(대격 조사). 가를. 변방을. ¶ 우흿 얼구른 내 올로 늘구니 하  風俗 내 서르 親호라(강 위의 정경은 내 홀로 늙으니 하늘 가의 풍속을 내 〈보건댄〉 서로 친하구나.)〈두시(초) 11:36ㄱ〉.
주081)
수어(守禦)호 : 수어(守禦)+-(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보조사). 지킴은. 지키는 것은.
주082)
도혀 : 도리어[却].
주083)
어루 : 가히. ¶淸淨야  업스며 圓明야 료미 업서 어루 노피 며 머리 드러 거 光明이 盛大야 先宗 더러디 아니리라(청정하여 끝이 없으며 원명하여 가림이 없어야 가히 높이 날며 멀리 들어 거의 광명이 성대하여 선종을 더럽히지 아니할 것이다.)〈몽법 46ㄴ〉.
주084)
도모(圖謀)리로다 : 도모(圖謀)+-(동사 파생 접미사)-+-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도모할 것이도다.
주085)
## 마다 : [年]+마다(보조사). 해마다. ¶마다 冬至ㅅ 나래 기리 나그내 외요니 忽忽히 기픈 시르미 사  긋누르다(해마다 동짓날에 오래 나그네 되니 갑자기 깊은 시름이 사람의 마음을 찍어누른다.)〈두시(초) 11:36ㄱ〉.
주086)
이 행(行)애 : 이[此]#행(行)+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이번 감에. 이번 행차에. 이번 길에.
주087)
드러가 : 들[入]-+-어(연결 어미)#가[去]-+-아(연결 어미). 들어가.
주088)
엳 : 엳[奏]-+-(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여쭙는. ¶말 엳고 쳔 만히 시러 王舍城으로 가며 길헤 艱難 사 보아 다 布施더라(사유를 여쭙고 재물을 많이 실어 왕사성으로 가며 길에 가난한 사람을 보면 다 보시를 하더라.)〈석보 6:15ㄴ〉.
주089)
혜아료미 : 혜아리[計]-+-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헤아림이. 계획이. 의도가. 계책이.
주090)
젹디 아니니 : 젹[小]-+-디(연결 어미)#아니[不, 非, 未]+-(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적지 아니하니. 적지 않으니.
주091)
비밀(秘密)히 : 비밀(秘密)+-(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비밀히. 남몰래.
주092)
들 : [意, 旨]+을(대격 조사). 뜻을.
주093)
받와 : 받[奉]-+-(화자 겸양 접미사)-+-아(연결 어미). 받들어. ¶니건  이  御床 받와 五更 三點에 鵷鷺ㅅ 行列에 드노라(지난해 이맘 때 어상(御床)을 받들어 오경(五更) 3점에 원로(鵷鷺) 행렬에 드노라.)〈두시(초) 11:34ㄴ〉.
주094)
이 : (當當)+-(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당당히. 마땅히. 응당. 어쩔 수 없이.
주095)
달이 : 다[異, 殊]-+-이(부사 파생 접미사). 달리. ¶ 블근 수글 짓날 자바 오로 외여 둣다가 립츈 나래 마 머고 다 사 주디 말라(또 붉은 수탉을 동짓날에 잡아 온전히 말려 두었다가 입춘날에 삶아 먹되 다른 사람 주지 말라.)〈온역 5ㄱ~ㄴ〉.
주096)
시리로다 : ‘[爲]-+-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또는 ‘[爲]-+-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다(감탄 어미)’. 하실 것이로다. ‘-로다’는 ‘-도다’의 지정 형용사 ‘이-’ 뒤에서의 변이형이며, ‘-도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감탄 선어말 어미 ‘-도-’와 어말 어미 ‘-다’의 결합을 재구조화한 것이다.
주097)
수(繡)혼 : 수(繡)#[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수를 놓은.수놓은. 중세어에서는 ‘수놓다’와 같은 말이 나타나지 않는다. ‘수다’라고 나온다.
주098)
오로 : 옷[衣]+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옷으로.
주099)
수(繡)혼 오로 : 수놓은 옷으로. 여기서는 대궐에 들어가 아뢸 때 입는 옷으로, 관복을 뜻함.
주100)
보 : 봄[春]+(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봄에.
주101)
하 당(當)야 : 하ㅎ[天]+(대격 조사)#당(當)+-(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하늘을 마주하여. 여기서는 ‘소한(霄漢)’이 하늘, 곧 황제를 가리킨다.
주102)
셔고 : 셔[立]-+-고(연결 어미). 서고.
주103)
빗난 오로 : 빛[光, 色]#나[生]-+-ㄴ(관형사형 어미)#옷[衣, 服]+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빛난 옷으로. 빛나는 옷으로. 여기서 빛나는 옷은 효도와 관련되는 색동옷을 말한다.
주104)
나날 : 날[日]+날[日]. 나날이. 매일.
주105)
정위(庭闈) : 부모가 거처하는 방이라는 뜻으로, 부모를 이르는 말.
주106)
리로다 : ‘[走, 趨]-+-(조음소)-+-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또는 ‘[走, 趨]-+-(조음소)-+-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다(감탄 어미)’. 달릴 것이로다. 달릴 것이도다.
주107)
성랑(省郞) : 성(省)의 낭관(郞官). 낭관은 당나라 중추가 되는 여러 성의 관리를 말함.
주108)
경윤(京尹) : 경도(京都)의 윤(尹). 윤(尹)은 영윤(令尹), 부윤(府尹), 경조윤(京兆尹) 등에 해당되는데, 한대(漢代) 이후 경조윤은 흔히 경기지구의 행정장관을 가리킨다. 당나라 때의 동도(東都), 서도(西都), 북도(北都)와 주(州)와 군(郡)의 부에는 부윤을 두었다.
주109)
반기 : 반드시.
주110)
구버 : 굽[俯]-+-어(연결 어미). 굽어. 굽혀. 구부려. ¶ 병니 잇 온 노호[]로 견조워 [] 노 구펴 야 두라(또 병 앓는 사람 있는 창 가운데를 노끈(새끼줄)으로 견주어 벽에 노끈을 굽혀 매어 두라(양쪽 벽에 새끼줄을 매어 창문 가운데에 새끼줄이 늘어지도록 하라).)〈온역 19ㄴ〉.
주111)
주리로소니 : ‘[拾]-+-으(조음소)-+-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소니(연결 어미). 또는 ‘[拾]-+-으(조음소)-+-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소니(연결 어미)’. 주으리니.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리-’는 동명사 어미와 지정 형용사 어간 ‘이-’의 결합을 재구조화한 것이다. ‘-로소니’는 ‘-도(감탄 선어말 어미)-+-소(확인성의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를 재구조화한 것이다.
주112)
맷 : [江]+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강의.
주113)
고지 : 곶[花]+이(주격 조사). 꽃이.
주114)
디디 : 디[落]-+-디(연결 어미). 지지. 떨어지지. ¶구루믄  므를 조차 디고  블근 뫼 흐느러 슬프도다(구름은 흰 물을 따라 떨어지고, 바람은 붉은 산을 흔들어 슬프도다.)〈두시(초) 11:8ㄱ〉.
주115)
아니얏거든 : 아니[不]+-(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거(대상성의 선어말 어미)-+-든(연결 어미). 아니하였거든. 아니하여.
주116)
성도(成都) : 중국 사천(四川) 분지 서부에 있는 도시. 중국 남서부 교통의 요충지로 삼국 시대 촉한의 도읍이었다. 지금은 사천성(四川省)의 성도(省都)이다.
주117)
도라오리로다 : ‘돌[回]-+-아(연결 어미)#오[來]-+-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또는 ‘돌[回]-+-아(연결 어미)#오[來]-+-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다(감탄 어미)’. 돌아올 것이로다. 돌아올 것이도다.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리-’는 동명사 어미 ‘-ㄹ’과 지정 형용사 어간 ‘이-’의 결합을 재구조화한 것이다.
주118)
완화(浣花)앳 : 완화(浣花)+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완화의. 완화는 사천성(四川省) 성도(成都)의 유명한 공원의 하나. 지금은 두보를 기념하는 초당이 있고, 작은 개울, 대나무 숲, 작은 다리, 난석(卵石), 작은 오두막집 등이 꾸며져 있다. 두보는 엄무의 호의로 완화계에 있는 초당에 돌아와 살았다.
주119)
늘근 한아비 : 늙[老]-+-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하[大]-+-ㄴ(관형사형 어미)#아비(父)+(대격 조사). 늙은 할아비를. ¶블근 대이 님 命을 좃니 銀印을 늘근 한아비 주놋다(붉은 대 붓이 임금의 명(命)을 좇으니, 은인(銀印)을 늙은 할아비를 주는구나.)〈두시(초) 10:14ㄱ〉.
주120)
와 : 오[來]-+-아(연결 어미). 와. 와서. ‘오-+-아’는 반드시 축약형 ‘와’로 쓰인다.
주121)
볼다 : ‘보[見, 訪]+-ㄹ(동명사 어미)+다(의문 보조사). 또는 ‘보[見, 訪]+-ㄹ다(의문 어미)’. 볼 것인가. ‘-ㄹ다’를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주122)
말다 : ‘말[勿]+-ㄹ(동명사 어미)+다(의문 보조사). 또는 ‘물[勿]-+-ㄹ다(의문 어미)’. 말 것인가. ‘-ㄹ다’를 의문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주123)
그듸 : 그듸[君]+(대격 조사). 그대를.
주124)
수를 사 : 술[酒]+을(대격 조사)#사[買, 酤]-+-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연결 어미). 술을 사되. 연결 어미 ‘-’는 거의 언제나 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 ‘-오/우/아/어-’를 동반한다. 그 이형태의 하나에 ‘-아-’가 있다고 보아 여기서는 그것을 ‘-아-’로 상정한 것이다.
주125)
누네 : 눈[眼]+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눈에. 여기서 ‘눈’은 ‘눈금’을 가리킨다.
주126)
기 : [滿]+-(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득히. 가득하게. ¶햇 두듥과  蒲애  나니 블근 宮殿에셔 닉디 아니호 玉壺애 기 담놋다(들판의 두둑과 강 개펄에서 가장자리에 나는데 붉은 궁전에서 익지 아니하되 옥으로 만든 병에 가득 담는도다.)〈두시(초) 15:21ㄴ〉.
주127)
으란 : [奴]+으란(보조사). 종을랑. 종일랑.
주128)
 바 : [白]-+-ㄴ(관형사형 어미)#밥[飯]+(대격 조사). 흰 밥을. ¶도혀 疑心호 柂樓ㅅ 미틔셔 나죗밥 먹고 越ㅅ 中에셔 녀논가 노라(도리어 의심하되 방향타 누각 밑에서 저녁밥 먹고 월(越)나라 가운데서 다니는가 하노라.)〈두시(초) 15:7ㄴ〉.
주129)
란 : [馬]+란(보조사). 말을랑. 말일랑. ¶後에 오  니 엇뎨 머믈리오 軒檻 當야  브려 錦茵에 드놋다(후에 오는 말 탄 사람은 어찌 머물 것인가? 헌함(軒檻)에 당도하여 말을 내려 비단요(비단요는 포장을 한 도로를 말한다고 한다)에 드는구나.)〈두시(초) 11:18ㄴ〉.
주130)
프른  :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芻]+(대격 조사). 푸른 꼴을. ¶프른 리  性에 마()니 됴 새 사 도라와쇼 아놋다(푸른 꼴이 말의 먹성에 맞으니 좋은 새 사람의 돌아와 있음을 아는구나.)〈두시(초) 15:4ㄱ〉.
주131)
호리라 : ‘[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또는 ‘[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하리라.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리-’를 상정하는 것은 ‘-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의 결합에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