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8(상)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8(상)
  • 세주(世胄)
  • 현령 적박제에게 부친다[寄狄明府博濟]
메뉴닫기 메뉴열기

현령 적박제에게 부친다[寄狄明府博濟]


明府 주001)
명부(明府)
명부군(明府君)의 약칭으로, 당대에는 현령(縣令)에 대한 별칭으로 사용하였다. 당 이후에는 흔히 현령을 가리켰다. 한나라 때는 군수(郡守)가 사는 곳을 부(府)라고 하였는데, 이때 ‘부(府)’는 높여 부르는 명칭이다.
博濟
주002)
기적명부박제(寄狄明府博濟)
명부(현령) 적박제(狄博濟)에게 부친다. 이 시는 대력(大曆) 2년(767), 기주(夔州)에서 지은 것이라 한다. 두보는 이 시를 지어 그에게 기증하였는데, 그 형제가 재주가 많고, 그 조부가 사직에 공을 세웠음을 추가로 서술하고 있다. 아울러 의연함과 귀함으로 위안을 삼을 것과 가문의 역사로 불의에 저항할 것을 권하고 있다.
주003)
# 적박제(狄博濟)
두보의 이종사촌동생. 당(唐)나라의 명재상 적인걸(狄仁傑)의 증손이다. 적인걸은 당 중종(中宗) 때 사람으로 봉호(封號)는 양공(梁公)이다. 무후(武后)를 물러나게 하고 중종을 복위시켜 당을 중흥시킴. 어진 선비를 등용하여 사람들이 “천하의 도리(桃李)가 모두 공(公)의 문(門)에 있다”는 평을 들었다. 무삼사(武三思)의 기녀(妓女) 소아(素娥)가 공경(公卿)을 초대한 잔치에 적인걸이 온다는 말을 듣고 벽속에 숨어 나오지 않았는데, 까닭을 물으니, “자기는 요망한 것인데 이제 양공은 당대의 바른 분이라 제가 감히 뵙지 못한다”고 했다고 한다.〈한시어사전 참조〉.

기적명부박제
(현령 적박제에게 부친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8:16ㄴ

梁公曾孫我姨弟 不見十年官濟濟【狄仁傑이 封梁國公이라 母의 娣妹之子曰姨弟라 濟濟 盛也ㅣ라】

梁公 주004)
양공(梁公)
양공(梁公)+(관형격 조사). 양공의. 양공은 당나라 초엽의 명신. 산서성 사람. 고종 때에, 강남(江南) 순무사가 되고, 또 위주(魏州) 자사로 거란(契丹)의 내습을 평정하여 공을 세움. 즉천무후에게 직간하여, 그 친조카 무삼사(武三思)에게 황통의 원로로 예우를 받았으며, 예종(睿宗) 때에 양국공(梁國公)에 추봉됨. 시호는 문혜(文惠)이다. 위의 ‘적박제(狄博濟)’항 참조.
曾孫이오 주005)
증손(曾孫)이오
증손(曾孫)#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연결 어미 ‘-고’의 ‘ㄱ’이 지정 형용사 ‘이-’ 뒤에서 탈락한 것이다.
姨弟로소니 주006)
이제(姨弟)로소니
이제(姨弟)#이(지정 형용사)-+-로소니(연결 어미). 이종사촌동생이니.
열 예 주007)
열 예
열[十]#[年]+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열 해에. 열 해 동안에. 십년 동안.
벼스릐 주008)
벼스릐
벼슬[官職]+의(관형격 조사). 벼슬의.
濟濟호 주009)
제제(濟濟)호
제제(濟濟)+-(형용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무성함을. 번성함을.
보디 주010)
보디
보[見]-+-디(연결 어미). 보지. 여기서는 ‘찾지’의 뜻으로 해석해야 과거의 일이 된다. ‘몯리로다’가 미래로 되어 있다고 하여 ‘벼슬의 번성함’이 미래의 일이 되는 것이 아니다. 다른 데서 찾으려고 해야 찾을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몯리로다 주011)
몯리로다
몯[不能]+-(동사 파생 접미사)-+-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못하리로다. 못할 것이로다.

【한자음】 양공증손아이제 불견십년관제제적인걸(狄仁傑)양국공(梁國公)으로 봉해졌다. 어머니의 여동생 자매들의 아들을 이제
(姨弟; 이종사촌동생)
라 한다. 제제(濟濟)는 무성한 것이다.】
【언해역】 양공(梁公)의 증손이고 내 이종사촌동생이니, 열 해 동안에 벼슬의 번성함을 〈다른 데서〉 보지 못할 것이로다.

大賢之後竟陵遲 浩蕩古今同一體【大賢 指梁公이라 陵遲 衰替皃ㅣ니 此 言博濟以大賢之後로 衰替니 주012)
쇠체(衰替)니
쇠약하여 달리 모습이 바뀌니. 쇠약한 모습을 하니. 쇠미(衰微)한 모습을 하니. 쇠약해지니.
興替之事ㅣ 古今이 皆然也ㅣ라】

 주013)

가장. 매우 한껏.
어디 주014)
어디
어딜[賢]-+-ㄴ(동명사 어미)+(관형격 조사). 어진이의. 어진 사람의.
後子孫이 주015)
후자손(後子孫)이
후자손(後子孫)+이(주격 조사). 뒤의 자손이. 후손이. 여기서는 양공의 증손인 적박제를 가리킨다.
매 주016)
매
마침내.
陵遲 주017)
능지(陵遲)
쇠약하여 모습이 달리 바뀜.
니 浩蕩히 주018)
호탕(浩蕩)히
호탕(浩蕩)+-(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호탕하게. 끝이 없이. 널리. 널리 보면.
녜와 주019)
녜와
녜[舊, 古]+와(접속 조사). 옛과.
이졔왜 주020)
이졔왜
이제[今]+와(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이제와가. 이제가.
가지로 주021)
가지로
[一]#가지[種]+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한가지로. 마찬가지로.
體ㅣ 주022)
체(體)ㅣ
체(體)+이(주격 조사). 몸이.
도다 주023)
도다
[如]-+-도다(감탄 어미). 같도다. ‘-’가 ‘-’으로 축약된 뒤에 ‘-’에 내파화가 적용되어 ‘-’과 같이 된 것으로 본다. 결과적으로 ‘-’에서 ‘’가 탈락한 것이 된다.

【한자음】 대현지후경릉지 호탕고금동일체【대현(大賢)은 양공(梁公)을 가리킨다. 능지(陵遲)는 쇠하여 다르게 바뀐 모습이니, 이는 적박제(狄博濟)가 양공 이후로 쇠약하여 몸이 바뀐 모습이니, 흥하고 쇠하여 바뀌는 일이 옛날과 지금이 모두 그렇다 함이다.】
【언해역】 매우 어진 사람의 뒷자손이 마침내 쇠하여 달리 되니, 널리 〈보면〉 옛날과 이제가 한가지로 몸이 같도다.

比看伯叔四十人 有才無命百寮底

요조 주024)
요조
요[這]#즈[頃]. 요즈음. 표기가 ‘요조’과 같이 된 것은 ‘요’에 의한 모음의 동화 작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아〉자비 주025)
이〈아〉자비
아저씨. 아버지와 같은 항렬의 남자를 이르는 말. ‘이’는 ‘아’의 잘못이다.
마 주026)
마
마흔. ¶이 부텻 나히 닐흔둘히러시니 穆王 마여슷찻  乙丑ㅣ라 (이때가 부처님의 나이 일흔둘이셨는데, 목왕 마흔여섯째 해 을축이다.)〈월석 11:11ㄱ〉.
사
주027)
마 사
마흔 사람을. ‘마흔 사람’의 아저씨는 두보의 아버지 형제들이 ‘마흔 사람’이나 될 정도로 많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보니 조 주028)
조
조[才]+(보조사). 재주는.
잇고 주029)
명(命)
명운(命運). 운명. 운(運). 여기서는 관운(官運)을 말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은 업서 百寮ㅅ 주030)
백료(百寮)ㅅ
백료(百寮)+ㅅ(관형격 조사). 모든 벼슬아치의. 백관(百官)의.
아래셔 주031)
아래셔
아래[下]+셔(보조사). 아래서.
니놋다 주032)
니놋다
[走]-+니[行]-+-(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종결 어미). 다니는구나. ‘니-’가 ‘니-’와 같이 된 것은 자음동화의 예를 보이는 것이다. ¶貴며 賤 사미 다 物에 브리여 니니 그듸 조차 다시 예 디나오미 어렵도다(귀하며 천한 사람이 다 사물에 부림을 받아 다니니 그대를 좇아 다시 여기에 지나는 것이 어렵도다.)〈두시(초) 15:33ㄱ〉.

【한자음】 비간백숙사십인 유재무명백료저
【언해역】 요즘 아저씨 마흔 사람을 보니, 재주는 있고 운(運)은 없어 백관(百官) 아래서 다니는구나.

今者兄弟一百人 幾人卓

분류두공부시언해 권8:17ㄱ

絶秉周禮【左傳에 魯秉周禮라 니 此 言博濟의 兄弟ㅣ 卓然守梁公禮法者ㅣ 幾人고】

이제 兄弟ㅣ 주033)
형제(兄弟)ㅣ
형제(兄弟)+이(주격 조사). 형제가.
一百 사매 주034)
일백(一百) 사매
일백(一百)#사[人]+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일 백 사람에. 일 백 사람 중에. 백 사람 중에.
몃 사미 주035)
몃 사미
몇[幾]#사[人]+이(주격 조사). 몇 사람이.
卓絶야 주036)
탁절(卓絶)야
탁절(卓絶)+-(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더할 나위 없이 뛰어나. 아주 뛰어나.
周禮 주037)
주례(周禮)
주례(周禮)+(대격 조사). 주(周)나라의 예의와 제도를.
자뱃니오 주038)
자뱃니오
잡[秉]-+-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잡고 있는 것인가. 지키고 있는 것인가. ¶뫼햇 미 오히려 자뱃 소내  니 햇 이스리 새려 머구메 밋도다(산의 바람이 오히려 잡고 있는 손에 가득한 듯하니 들의 이슬이 새로 먹음에 미치도다.)〈두시(초) 15:23ㄱ〉.

【한자음】 금자형제일백인 기인탁절병주례【『좌전』에, 노나라가 주나라의 예의와 제도를 잡았다 하는데, 이는 적박제(狄博濟)의 형제가 뛰어나 양공의 예법을 지키는 사람이 몇 사람이나 되겠는가?】
【언해역】 이제 형제가 백 사람에 몇 사람이 아주 뛰어나, 주나라의 예의와 제도를 잡고(지키고) 있는 것인가?

在汝更用文章爲 長兄白眉復天啓馬良 주039)
마량(馬良)
삼국 시기 촉한의 관원(187~222). 자는 계상(季常). 양양(襄陽)의 의성(宜城), 즉 지금의 호북성 의성 사람이다. 형제 5인이 모두 재주가 뛰어나 명성이 자자하였다고 한다.
兄弟 五人이 並有才名호 良의 眉間애 有白毛더라 長兄은 指博濟다】

네게 이셔 주040)
네게 이셔
너[汝]+에게(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이시[有]-+-어(연결 어미). 너에게 있어. 너에게 있어서. 네가.
다시 文章 주041)
문장(文章)
문장(文章)+(대격 조사). 문장을. 글을.
 니 주042)
 니
[用]-+-어(연결 어미)#[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써서 하니. 써서 하고 있으니. 가지고 하고 있으니.
兄 주043)
형(兄)
[長]+형(兄). 장형. 맏형. 여기서 장형은, 언해의 주석에 의하면, 적박제(狄博濟)를 가리킨다.
눈섭 니 주044)
눈섭 니
눈섭[眉]#[白]-+-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대격 조사). 눈썹 흰 것을.
하히 주045)
하히
하ㅎ[天]+이(주격 조사). 하늘이.
여러 내시도다 주046)
여러 내시도다
열[開]-+-어(연결 어미)#나[出]-+-이(사동 파생 접미사)-+-시(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도다(감탄 어미). 열어 내시도다.

【한자음】 재여갱용문장위 장형백미부천계【마량(馬良)의 형제 5인이 모두 재주와 명성을 가졌으되, 마량의 미간에 하얀 털이 있었다. 장형은 박제(博濟)를 가리킨다.】
【언해역】 네게 있어서는 다시 문장을 써서(가지고) 하고 있으니, 맏형 눈썹 흰 것을 하늘이 열어 내시도다.

汝門請從曾公說 太后當朝多巧詆

네 家門을 주047)
네 가문(家門)을
너[汝]+의(관형격 조사)#가문(家門)+을(대격 조사). 너의 가문을.
請 주048)
청(請)
청(請)+-(동사 파생 접미사)-+-ㄴ(연결 어미). 청하면.
주049)
네 가문(家門)을 청(請)
너의 가문을 말하라고 청하면.
曾祖브터 주050)
증조(曾祖)브터
증조(曾祖)+브터(보조사). 증조부터.
닐오리니 주051)
닐오리니
니[謂, 說]-+-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니(연결 어미). 이를 것이니. 말할 것이니.
太后ㅣ 주052)
태후(太后)ㅣ
태후(太后)+이(주격 조사). 무측천(武則天)이. 측천무후가. 무측천(624~705)의 이름은 무조(武曌)이고, 병주(并州) 문수(文水) 사람이다. 중국 역사상 유일한 정통적 여황제이다. 즉위 나이가 가장 많고(67세 즉위), 수명이 가장 오랜 황제(82세)의 하나이다. 당조의 공신인 무사확의 차녀이다. 스스로 자립하여 황제가 되고, 낙양을 도읍으로 정하고, 신도(神都)라 칭하였으며, 무주왕조(武周王朝)를 세웠다. 음탕하고 간악하여 황위를 찬탈한 요녀라는 비난과, 민생을 보살펴서 나라를 훌륭히 다스린 여걸이라는 칭송을 같이 받고 있다.〈백도백과, 위키백과 참조〉.
朝 주053)
조(朝)
조정(朝廷)을.
當얏거 주054)
당(當)얏거
당(當)+-(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거(연결 어미). 지키고 있었거늘. 지키고 있었는데. 맡았거늘.
工巧히 주055)
공교(工巧)히
공교(工巧)+(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교묘히.
詆壞리 주056)
저괴(詆壞)리
저괴(詆壞)+-(동사 파생 접미사)-+-ㄹ(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헐뜯어 무너뜨리려는 사람.
하더니라 주057)
하더니라
하[多]-+-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 단절의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많던 것이다. 많았던 것이다. ¶海內옛 文章애 위두 사미   디 하도다(나라 안의, 문장에서 우두머리가 되는 사람이 강가에 뜻이 많도다.)〈두시(초) 15:26ㄱ〉.

【한자음】 여문청종증공설 태후당조다교저
【언해역】 네 가문을 청하면, 증조부터 말할 것이니, 태후가 조정을 지키고 있었는데 교묘히 헐뜯어 무너뜨리려는 사람이 많았던 것이다.

狄公執政在末年 濁河終不汚淸濟【黃河 常濁고 濟水 常淸니 不汚者 言梁公이

분류두공부시언해 권8:17ㄴ

獨立야 不爲群邪의 所亂也ㅣ라】

狄公 주058)
적공(狄公)
적공(狄公)+(관형격 조사). 적공의. 여기서 적공은 적인걸(狄仁傑) 즉 양공을 가리킨다. 적인걸(630~700)의 자는 회영(懷英)으로, 태원(太原, 산서성 태원시) 사람이다. 시호는 문혜(文惠)이다. 후에 다시 사공(司空)과 양국공(梁國公)이 추증되었다.
政事 주059)
정사(政事)
정치와 행정에 관한 일. 나라를 돌보는. 일. 정권.
자바쇼미 주060)
자바쇼미
잡[執]-+-아(연결 어미)#시[有]-+-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잡고 있음이. 잡고 있는 것이.
末年에 주061)
말년(末年)에
일생의 마지막 무렵에. 61세(691)에 재상이 된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잇더니 흐린 미 주062)
흐린 미
흐리[濁]-+-ㄴ(관형사형 어미)#[江]+이(주격 조사). 흐린 강이. ‘흐린 미’는 ‘탁하(濁河)’를 번역한 것인데, ‘탁하’는 제나라 땅에 있는 강이름이라 한다(한성무 외 (1997) 참조).
배〈매〉 주063)
배〈매〉
마침내. 끝내.
 주064)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맑은.
濟水 주065)
 제수(濟水)
맑은 제수. 이는 청제(淸濟)를 번역한 것이지만. ‘청제’는 제나라 땅의 강이름이라 한다(한성무 외(1997) 참조).
주066)
제수(濟水)
제수(濟水)+(대격 조사). 제수를.
더러이디 주067)
더러이디
더럽[汚]-+-이(사동 파생 접미사)-+-디(연결 어미). 더럽히지. ‘더럽-’의 받침 ‘ㅂ’이 모음 사이에서 약화되어 ‘ㅸ’이 되었다가 탈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더럽다’와 ‘더러이다’는 파생 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없게 된다.
몯니라 주068)
몯니라
몯[不能]+-(동사 파생 접미사)-+-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못한 것이다.

【한자음】 적공집정재말년 탁하종불오청제【황하는 항상 탁하고 제수(濟水)는 항상 맑으니, 더러워지지 않은 것은 양공(梁公)이 독립하여 여러 사악한 일의 어지러운 것을 하지 않은 것이다.】
【언해역】 적공(狄公)의 정사(政事) 잡은 것이 말년에 있었는데, 흐린 강이 끝끝내 맑은 제수(濟水)를 더럽히지 못한 것이다.

國嗣初將付諸武 公獨廷諍守丹陛 禁中冊決詔房陵 前朝長老皆流涕【言武后ㅣ 武三思 주069)
무삼사(武三思)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이복 남형 무원경(武元慶)의 아들. 당나라 병주(幷州) 문수(文水) 사람. 무사확(武士彠)의 손자. 무측천 치하에서 하관(夏官)과 춘관(春官)의 상서를 지내고, 감수국사에 올랐으며, 주(周)나라가 세워진 뒤 양왕(梁王)으로 책봉되어 요직을 역임함. 사성(嗣聖) 14년(697) 재상이 되었다. 중종(中宗)이 복위한 뒤 사공(司空)과 동중서문하삼품(同中書門下三品)을 지냈다. 둘째 아들 무숭훈(武崇訓)이 중종의 딸 안락공주(安樂公主)와 결혼하자 환언범(桓彦范) 등 대신들을 모함하여 조조(曹操)나 사마의(司馬懿)에 비유하였다. 황태자 이중준(李重俊)을 제거하려다가 태자의 거병으로 부자가 함께 참형되었다.〈중국역대인명사전 참조〉.
로 爲儲副ㅣ어 狄公이 諫之대 武后ㅣ 感悟야 詔迎中宗於房陵니라】

나라 니리 주070)
나라 니리
나라[國]#[繼, 嗣]-+-으(조음소)-+-ㄹ(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대격 조사). 나라 이을 이를. 나라 이를 사람을.
처믜 주071)
처믜
처[初]+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처음에.
가져 諸武 주072)
제무(諸武)
여러 가지 무기.
브텨 주073)
브텨
붙[付]-+-이(사동 파생 접미사)-+-거(대상성의 선어말 어미)-+-(어말 어미). 붙게 하거늘. 주게 하거늘. ‘-거늘’을 하나의 어미로 상정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을 다시 동명사 어미 -ㄴ‘과 대격 조사 ’‘로 분석하는 일도 있다.
公이 올로 주074)
올로
홀로.
헤셔 주075)
헤셔
ㅎ[廷]+에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뜰에서.
諫諍야 주076)
간쟁(諫諍)야
간쟁(諫諍)+-(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간쟁하여. 간하여.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간절히 말하여.
丹陛 주077)
단폐(丹陛)
단폐(丹陛)+(대격 조사). 붉은 섬돌을.
守대 주078)
수(守)대
수(守)+-(동사 파생 접미사)-+-ㄴ대(연결 어미). 지킨대. 지켰는대.
禁中에 주079)
금중(禁中)에
금중(禁中)+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궁궐에. 대궐에. 궐내에. ‘금중(禁中)에’가 명사적으로 쓰여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는 기능을 한다.
冊 주080)
책(冊)
책(冊)+(대격 조사). 계획을. 계책을.
決斷야 주081)
결단(決斷)야
결단(決斷)+-(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결단을 내려. 확실히 하여.
주082)
금중(禁中)에 책(冊) 결단(決斷)야
대궐의 계획을 단단히 하여. 대궐의 계획을 확실히 하여. 궁궐의 계획을 단단히 하여.
房陵 주083)
방릉(房陵)
고지명. 지금의 호북성 방현(房縣) 경계이다. 당의 무측천이 중종(中宗)을 이곳으로 옮기게 하였다고 한다.
請니 주084)
청(請)니
청(請)+-(동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청하니.
주085)
방릉(房陵)을 청(請)니
방릉에 갈 것을 청하니. 방릉에 보낼 것을 청하니.
前朝애 주086)
전조(前朝)애
전조(前朝)+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바로 전대의 왕조에.
늘근 사히 주087)
늘근 사히
늙-+-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사[人]+[복수 접미사]+이(주격 조사). 늙은 사람들이.
므를 주088)
므를
눈[眼]+ㅅ(관형격 조사)#믈[水]+를(대격 조사). 눈물을.
흘리니라 주089)
흘리니라
흐르[流]-+-리(사동 파생 접미사)-+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흘린 것이다. 흐르게 한 것이다.

【한자음】 국사초장부제무 공독정쟁수단폐 금중책결조방릉 전조장로개류체【무후가 무삼사(武三思)로 하여금 세자가 되게 하거늘 적공(狄公)이 〈그 부당함을〉 간한대, 무후가 느껴 깨달아 중종(中宗)을 방릉(房陵)에서 맞이할 것을 알린 것을 말한다.】
【언해역】 나라 이을 사람을 처음에 가져 여러 가지 무기에 붙이거늘, 적공이 홀로 뜰에서 임금의 잘못을 간절히 간하며 붉은 섬돌을 지킨대, 궁궐의 계획을 단단히 하여, 방릉을(방릉에 보낼 것을) 청하니 전왕조의 늙은 사람들이 다 눈물을 흘렸네.

太宗社稷一朝正 漢官威儀重昭洗

太宗ㅅ 주090)
태종(太宗)ㅅ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598~649). 성은 이(李). 이름은 세민(世民). 삼성 육부와 조용조 따위의 제도를 정비하였고, 외정(外征)을 행하여 나라의 기초를 쌓았다. 재위 기간은 629~649년이다.
社稷 주091)
사직(社稷)
토지신(土地神)과 곡식신(穀食神)을 뜻하는 말로.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 아 주092)
 아
[一日]+ㅅ(관형격 조사)#아[조]+(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하루의 아침에. 하루 아침에. ¶바 므리 두 자히나마 노니 두 나리면 可히 다시 이긔디 몯리로다(하룻밤에 물이 두 자 넘게 높아졌으니, 두어 날이면 가히 다시 견디지 못할 것이로다.)〈두시(초) 10:4ㄱ〉.
正니 주093)
정(正)니
정(正)+-(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바르니. 바르게 되니.
漢官ㅅ 주094)
한관(漢官)ㅅ
한관(漢官)+ㅅ(관형격 조사). 한관의. 한나라 관리의. 당나라 관리에 대한 환유로 쓰임.
威儀 주095)
위의(威儀)
위의(威儀)+(대격 조사). 위의를. 위엄과 예의를.
도로 주096)
도로
다시.
기 주097)
기
[明, 昭(소)]-+-이(부사 파생 접미사). 밝히. 밝게. ¶  놀애 브르 매예 옮고 프른 하 뎌 부 平床애 갓갑도다(밝은 해는 노래 부르는 소매에 옮고, 푸른 하늘은 피리 부는 평상에 가깝도다.)〈두시(초) 15:29ㄴ〉.
시스니라 주098)
시스니라
싯[洗]-+-으(조음소)-+-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씻은 것이다. ‘-니라’를 어말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公子 어름므를 調和고 고온 사 蓮ㅅ 시를 싯놋다(공자는 얼음물을 고루 섞고, 고운 사람은 연(뿌리) 실을 씻는도다.)〈두시(초) 15:30ㄱ〉.

【한자음】 태종사직일조정 한관위의중소세
【언해역】 태종의 사직이 하루 아침에 바르게 되니, 한나라 관리의 위엄과 예의를 다시 밝게 씻은 것이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8:18ㄱ

危始識不世才 誰謂荼苦甘如薺【言 狄公이 遭國憂危니 茶菜雖曰味苦ㅣ나 不足比梁公의 苦心也ㅣ라】

時節이 주099)
시절(時節)이
시절(時節)+이(주격 조사). 시절이. 당시의 세상이. 당시의 나라의 사정이. 나라의 정세가. ¶感嘆호니 고지 므를 리게 코 여희여 슈믈 슬후니 새  놀래다(시절을 둘러보니 꽃이 눈물을 뿌리게 하고, 떨어져 있음을 슬퍼하니 새가 마음을 놀라게 한다.)〈두시(초) 10:6ㄴ〉.
바라온 주100)
바라온
바랍-+-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위태로운. ¶亂 定며 바라오 더위자바 天地 便安니 邪 것고 正을 나토아 日月이 겨르도다(난을 평정하며 위태로움을 붙잡아 천지 편안하니 사악한 것을 꺾고 바른 것을 나타내어 일월이 한가롭도다.)〈금삼 5:49ㄴ〉.
제 주101)
제
적[時]+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보조사). 적에야. 때에야. ‘제’는 ‘적에’가 축약된 형태로 본다.
世예 업슨 주102)
세(世)예 업슨
세(世)+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없[無]-+-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세상에 없는.
조 주103)
조
조[才]+(대격 조사). 재주를.
비르소 주104)
비르소
비로소[始].
알리로소니 주105)
알리로소니
알[知, 識]-+-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소니(연결 어미). 또는 ‘알[知, 識]-+-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소니(연결 어미)’와 같이 분석할 수 있다. 앞의 것은 동명사 어미 ‘ㄹ’과 지정 형용사 ‘이-’의 결합을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 재구조화한 분석을 보인 것이다.
주106)
누[誰]+이(주격 조사). 누가.
엿귀 주107)
엿귀
여뀌. 여뀟과의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40~8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피침 모양이다. 6~9월에 흰 꽃이 수상(穗狀)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잎과 줄기는 짓이겨 물에 풀어서 고기를 잡는 데 쓴다. 잎은 매운맛이 나며 조미료로 쓰이기도 한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표준국어대사전 참조〉
다 주108)
다
[苦]-+-다(어말 어미). 쓰다. 쓰다고. ¶千二百 舌功德을 得리니 됴커나 굿거나 아답거나 아답디 아니커나 여러 가짓 며  거시 舌根애 이셔 다 變야 됴 마시 외야(천이백 혀 공덕을 얻을 것이니 좋거나 나쁘거나 아름답거나 아름답지 않거나 여러 가지의 쓰며 떫은 것이 혀뿌리에 있어 다 변하여 좋은 맛이 되어)〈석상 19:20ㄱ~ㄴ〉.
니뇨 주109)
니뇨
니[謂]-+-(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이르는 것인가. 말하는 것인가. 의문 어미 ‘-고’의 ‘ㄱ’이 ‘이-’ 뒤에서 탈락한 뒤에 축약이 이루어진 것이다.
로미 주110)
로미
[甘]-+-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닮이. 단 것이.
나 주111)
나
냉이[薺(제)].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로, 높이는 50cm 정도이며, 잎은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5~6월에 흰 꽃이 총상(總狀) 꽃차례로 꽃줄기 끝에 피고 삼각형의 납작한 열매를 맺는다. 어린잎과 뿌리는 식용하며 들이나 밭에 자란다. 한국, 일본, 북반구의 온대 지방에 분포한다. 제채(薺菜)라고도 한다.
도다 주112)
도다
[如]-+-도(감탄의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같도다. ‘도다’와 같은 형식도 나타난다. ‘도다’는 ‘도다’에서 ‘’가 탈락한 것으로 본다. ‘-도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울엣소리 忽然히 즈믄 묏부리옛 비 보내니 곳 氣運은 다 온 가짓 것 섯거 론 香 도다(우레소리 홀연히 천 산꼭대기에 비를 보내니, 꽃 기운은 모두 온갖 것 섞어 만든 향 같도다.)〈두시(초) 10:18ㄱ〉.

【한자음】 시위시식불세재 수위도고감여제【적공(狄公)이 나라의 근심과 위험을 만나니, 여뀌나물이 비록 맛이 쓰나 양공의 고심과 비교하기에 족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언해역】 시절이 위태로운 때에야 세상에 없는 재주를 비로소 알 것이니, 누가 여뀌를 쓰다고 이르는 것인가? 단 것이 냉이 같도다.

汝曹又宜裂土食 身使門戶多旌棨 胡爲飄泊岷漢間 干謁侯王頗歷抵【棨는 戟有衣者ㅣ라】

너희 무른 주113)
너희 무른
너[汝]+희(복수 접미사)#물[衆]+은(보조사). 너희 무리는.
나라 주114)
나라
나라ㅎ[國, 土]+(대격 조사). 나라를.
封야 주115)
봉(封)야
봉(封)+-(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봉하여. 봉토로 나누어. 나누어 가지고.
머거 주116)
머거
먹[食]-+-어(연결 어미). 먹어. 가지고.
주117)
봉(封)야 머거
봉토로 나누어 가지고. 위의 원문에서는 이 부분이 ‘열토식(裂土食)’으로 되어 있으나, ‘열정식(列鼎食)’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전자는 ‘땅을 나누어 가진다’로 해석할 수 있으나, 후자는 ‘솥을 배열하여 먹는다’로 해석된다.
모미 주118)
모미
몸[身]+이(주격 조사). 몸이.
門戶로 여 주119)
문호(門戶)로 여
문으로 하여금.
旌棨 주120)
정계(旌棨)
깃발 달린 창(槍). 이를 정기(旌旗)와 계극(棨戟)을 뜻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정기와 계극은 관원이 출행을 할 때 갖추는 의장으로, 귀한 관리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하게 호미 주121)
하게 호미
하[多]-+-게(연결 어미)#[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많게 하는 것이.
맛커 주122)
맛커
맛당[宜]+-(형용사 파생 접미사)-+-거(대상성의 선어말 어미)-+-(연결 어미). 마땅하거늘. ‘-거’을 연결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을 다시 동명사 어미 ‘-ㄴ’과 대격 조사 ‘’로 분석하는 일도 있다.
엇뎨 주123)
엇뎨
어찌.
岷山 주124)
민산(岷山)
중국의 서부 감숙성(甘肃省) 서남, 사천성(四川省) 북부에 위치한 큰 산. 좌사(左思)의 촉도부(蜀都賦)에 민산(岷山)의 중심은 그 천구상의 하늘 위쪽이 정락(井絡)이 된다고 하였다. 정락은 정숙(井宿)으로, 이십팔성숙(二十八星宿)의 하나이다.
漢水ㅅ 주125)
한수(漢水)ㅅ
한수(漢水)+ㅅ(관형격 조사). 한수의. 한수는 한강(漢江)을 달리 부르는 이름, 장강(長江)의 최대 지류. 호북성 양양시(襄陽市) 아래는 간략하게 양하(襄河)라고 한다. 한강은 섬서성 영강현(寧强縣) 진령(秦岭)의 남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동남으로 흐르다가 섬서성 남부와 호북성 서북과 중부를 지나, 무한시(武漢市)에서 장간으로 흘러든다.〈백도백과 참조〉
예 주126)
예
[間]+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사이에.
飄泊야 주127)
표박(飄泊)야
표박(飄泊)+-(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떠돌아. 떠돌면서.
諸侯王 주128)
제후왕(諸侯王)
제후(諸侯)의 왕을.
干謁야 주129)
간알(干謁)야
사사로운 일로 알현(謁見)을 청하여.
모 주130)
모
자못[頗]. 생각보다 많이.
디나 주131)
디나
디나[歷]-+-아(연결 어미). 지나.
나가니오 주132)
나가니오
[進]-+-아(연결 어미)#가[去]-+-(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나아가는 것인가. ‘다’를 ‘낫다’와 같이 상정하기도 한다.

【한자음】 여조우의렬토식 신사문호다정계 호위표박민한간 간알후왕파력저【계(棨)는 창에 입힌 옷이다.】
【언해역】 너희 무리는 또 땅(나라)을 나누어 가지고, 몸이 문으로 하여금 깃발 달린 창을 많게 함이 마땅하거늘, 어찌 민산과 한수 사이에 떠돌아다니면서 제후왕을 작은 일로 알현을 청하여 자못 지나 나아가는 것인가?

况乃山高水有波 秋風蕭蕭露泥泥【泥泥 露濃也ㅣ라 此 言別時之候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8:18ㄴ

며 주133)
며
하물며.
뫼히 주134)
뫼히
뫼ㅎ[山]+이(주격 조사). 산이.
놉고 주135)
놉고
높[高]-+-고(연결 어미). 높고.
므레 주136)
므레
믈[水]+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물에.
波浪이 주137)
파랑(波浪)이
파(波浪)+이(주격 조사). 파도와 물결이.
잇고  미 주138)
 미
[秋]+ㅅ(관형격 조사)#[風]+이(주격 조사). 가을 바람이.
불오 주139)
불오
불[吹]-+-고(연결 어미). 불고. ‘-오’는 받침 ‘ㄹ’ 뒤에서 ‘-고’의 ‘ㄱ’이 묵음화되어 탈락한 것을 보인다.
이스리 하도다 주140)
이스리 하도다
이슬[露]+이(주격 조사)#하[多]-+-도다(감탄 어미). 이슬이 많도다.

【한자음】 황내산고수유파 추풍소소로니니【니니(泥泥)는 이슬이 짙은 것이다. 이는 특별한 시간의 문후를 말한다.】
【언해역】 하물며 산이 높고 물에 파랑이 있고, 가을 바람이 불고 이슬이 많도다.

虎之飢下巉嵓蛟之橫出淸泚 早歸來黃汚人衣眼易眯【物入眼中曰眯라 此 言岷漢間에 居官者ㅣ 率多麤暴相殘이 如虎蛟의 呑噬니 宜早歸來야 母爲所汚辱也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주린 주141)
주린
주리[飢]-+-ㄴ(관형사형 어미). 주린. 굶주린. ¶餓鬼 주으린 귓거시라 (아귀는 주린 귀신이다.)〈월석 1:46ㄴ〉. 오 鶴 아디 몯리로다 므슷 일로 춤츠니오 주으린 가마괴 사 向야 울오져  도다(홀로 있는 학(鶴)은 알지 못할 것이로다, 무슨 일로 춤추는 것인가(를). 굶주린 까마귀는 사람을 향하여 울고자 하는 듯하도다.)〈두시(초) 15:31ㄴ〉.
버미 주142)
버미
범[虎]+이(주격 조사). 범이. 호랑이가.. ¶中에 놀라아 우를 쏘리 잇거늘 이 다 머리 움치고 잇거늘 金氏 오 내니 버미 마 남지 므러 거늘 金氏 나모활 들오 고함코 나가아 왼소로 남진 잡고 올소로 버믈 티니(밤중에 놀라 부르짖는 소리 있거늘 종이 다 머리를 움츠리고 있거늘 김씨 혼자 내달으니 범이 이미 남편을 물어 달리거늘 김씨 나무활 들고 고함치며 나아가 왼손으로 남편 잡고 오른손으로 범을 치니)〈삼강(런던) 열: 34〉.
뫼로 주143)
뫼로
뫼ㅎ[山]+로(달격 조사). 산으로.
려오며 주144)
려오며
나리[下]-+-어(연결 어미)#오[來]-+-며(연결 어미). 내려오며.
龍 주145)
용(龍)
용(龍)+(관형격 조사). 용의.
거슯수〈주〉미 주146)
거슯수〈주〉미
거슬[逆, 橫]-+-(강세 접미사)-+-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거스름이. ¶다 姓이 서르 모다 기로 토며 뎔오 토아 만 하리 날로 들여 아 生計 기우로 야  背叛야 거슯주메 니르러 門 호며 이플 배혀 믜요 盜賊寃讐티 니(다른 성(姓)이 서로 모두 긴 것을 다투며 짧은 것을 다투어 은밀한 헐뜯음 날로 들게 하여 개인 생계를 기우로 생각하여 써 배반하여 거스름에 이르러 문을 나누며 방문(房門)을 베여 움직임을 도적원수같이 하니)〈내훈 3:40ㄱ〜ㄴ〉.
 주147)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맑은.
므레 주148)
므레
믈[水, 泚]+에(처격 조사 혹은 출격 조사, 부사격 조사). 물에서.
나니 주149)
나니
나[出]-+-(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나나니. 나니.
일 도라오라 누른 드트리 주150)
누른 드트리
누르[黃]-+-ㄴ(관형사형 어미)#드틀[汚]+이(주격 조사). 누런 티끌이.
사 주151)
사 오
사[人]+(관형격 조사).#옷[衣]+(대격 조사). 사람의 옷을.
오 더러이고 주152)
더러이고
더럽[汚]-+-이(사동 파생 접미사)-+-고(연결 어미). 더럽히고. 더럽게 하고. ‘더럽-’의 받침 ‘ㅂ’이 모음 사이에서 약화되어 ‘ㅸ’이 되었다가 탈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더럽다’와 ‘더러이다’는 파생 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없게 된다. ¶ 므러 거믄고와 書冊 안해 더러이고   벌어질 잡노라 사 리티다(흙을 물어 거문고와 서책 안을 더럽히고, 또 나는 벌레를 잡느라 사람을 후려친다.)〈두시(초) 10:7ㄴ〉.
누네 주153)
누네
눈[眼]+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눈에.
수이 주154)
수이
쉽[易]-+-이(부사 파생 접미사). 쉬이. 쉽게. 중세어에 ‘*숩-’이란 어형이 나타나면 ‘수이’의 형성은 비교적 쉽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숩-’이란 어형은 찾아볼 수 없다. ‘쉽+이〉쉬〉수〉수이’와 같은 변화를 상정해 볼 수 있다. ¶正道애 수이 나 게을옴 업고져 린 반기 이 브터 津要 사몰 띠니라(정도에 쉽게 나아가 게으름 없애고자 하는 이는 반드시 이것부터 진요로 삼아야 할 것이다.)〈법화 4:101ㄱ~ㄴ〉. 사마다 수 알에 야(사람마다 쉬이 알게 하여)〈월석 서:12ㄱ~ㄴ〉.
가 주155)
가
가시[荊, 眯(미, 눈에 티가 들다)]. ¶버미 갓고로딘 며 龍이 업더딘 야 가 나모 서리예 롓니 믌 그제와 핏 點을 가매 드리우노라(범이 거꾸러진 듯하며 용이 엎어진 듯하여 가시나무 사이에 버려 있는데, 눈물 흔적과 핏방울을 가슴에 드리우노라.)〈두시(초) 6:41ㄴ〉.
드니라 주156)
드니라
들[入]-+-(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드는 것이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호지기하참암교지횡출청차 조귀래황오인의안역미【물체가 눈 속에 들어가는 것을 미(眯)라 한다. 이는 민산과 한수 사이에 사는 관리가 많은 사람을 거느리고 거칠고 난폭하게 서로 싸우는 것이, 호랑이와 교룡이 삼키고 씹는 것과 같으니, 마땅히 일찍 돌아와 어머니가 욕되게 하는 바가 되는 것이다.】
【언해역】 굶주린 범이 산으로 내려오며 용의 거스름이 맑은 물에 나니 일찍 돌아오라. 누런 먼지가 사람의 옷을 더럽히고 눈에 쉽게 가시가 드는 것이다.
Ⓒ 역자 | 임홍빈 / 2015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명부(明府) : 명부군(明府君)의 약칭으로, 당대에는 현령(縣令)에 대한 별칭으로 사용하였다. 당 이후에는 흔히 현령을 가리켰다. 한나라 때는 군수(郡守)가 사는 곳을 부(府)라고 하였는데, 이때 ‘부(府)’는 높여 부르는 명칭이다.
주002)
기적명부박제(寄狄明府博濟) : 명부(현령) 적박제(狄博濟)에게 부친다. 이 시는 대력(大曆) 2년(767), 기주(夔州)에서 지은 것이라 한다. 두보는 이 시를 지어 그에게 기증하였는데, 그 형제가 재주가 많고, 그 조부가 사직에 공을 세웠음을 추가로 서술하고 있다. 아울러 의연함과 귀함으로 위안을 삼을 것과 가문의 역사로 불의에 저항할 것을 권하고 있다.
주003)
# 적박제(狄博濟) : 두보의 이종사촌동생. 당(唐)나라의 명재상 적인걸(狄仁傑)의 증손이다. 적인걸은 당 중종(中宗) 때 사람으로 봉호(封號)는 양공(梁公)이다. 무후(武后)를 물러나게 하고 중종을 복위시켜 당을 중흥시킴. 어진 선비를 등용하여 사람들이 “천하의 도리(桃李)가 모두 공(公)의 문(門)에 있다”는 평을 들었다. 무삼사(武三思)의 기녀(妓女) 소아(素娥)가 공경(公卿)을 초대한 잔치에 적인걸이 온다는 말을 듣고 벽속에 숨어 나오지 않았는데, 까닭을 물으니, “자기는 요망한 것인데 이제 양공은 당대의 바른 분이라 제가 감히 뵙지 못한다”고 했다고 한다.〈한시어사전 참조〉.
주004)
양공(梁公) : 양공(梁公)+(관형격 조사). 양공의. 양공은 당나라 초엽의 명신. 산서성 사람. 고종 때에, 강남(江南) 순무사가 되고, 또 위주(魏州) 자사로 거란(契丹)의 내습을 평정하여 공을 세움. 즉천무후에게 직간하여, 그 친조카 무삼사(武三思)에게 황통의 원로로 예우를 받았으며, 예종(睿宗) 때에 양국공(梁國公)에 추봉됨. 시호는 문혜(文惠)이다. 위의 ‘적박제(狄博濟)’항 참조.
주005)
증손(曾孫)이오 : 증손(曾孫)#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연결 어미 ‘-고’의 ‘ㄱ’이 지정 형용사 ‘이-’ 뒤에서 탈락한 것이다.
주006)
이제(姨弟)로소니 : 이제(姨弟)#이(지정 형용사)-+-로소니(연결 어미). 이종사촌동생이니.
주007)
열 예 : 열[十]#[年]+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열 해에. 열 해 동안에. 십년 동안.
주008)
벼스릐 : 벼슬[官職]+의(관형격 조사). 벼슬의.
주009)
제제(濟濟)호 : 제제(濟濟)+-(형용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무성함을. 번성함을.
주010)
보디 : 보[見]-+-디(연결 어미). 보지. 여기서는 ‘찾지’의 뜻으로 해석해야 과거의 일이 된다. ‘몯리로다’가 미래로 되어 있다고 하여 ‘벼슬의 번성함’이 미래의 일이 되는 것이 아니다. 다른 데서 찾으려고 해야 찾을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주011)
몯리로다 : 몯[不能]+-(동사 파생 접미사)-+-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못하리로다. 못할 것이로다.
주012)
쇠체(衰替)니 : 쇠약하여 달리 모습이 바뀌니. 쇠약한 모습을 하니. 쇠미(衰微)한 모습을 하니. 쇠약해지니.
주013)
 : 가장. 매우 한껏.
주014)
어디 : 어딜[賢]-+-ㄴ(동명사 어미)+(관형격 조사). 어진이의. 어진 사람의.
주015)
후자손(後子孫)이 : 후자손(後子孫)+이(주격 조사). 뒤의 자손이. 후손이. 여기서는 양공의 증손인 적박제를 가리킨다.
주016)
매 : 마침내.
주017)
능지(陵遲) : 쇠약하여 모습이 달리 바뀜.
주018)
호탕(浩蕩)히 : 호탕(浩蕩)+-(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호탕하게. 끝이 없이. 널리. 널리 보면.
주019)
녜와 : 녜[舊, 古]+와(접속 조사). 옛과.
주020)
이졔왜 : 이제[今]+와(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이제와가. 이제가.
주021)
가지로 : [一]#가지[種]+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한가지로. 마찬가지로.
주022)
체(體)ㅣ : 체(體)+이(주격 조사). 몸이.
주023)
도다 : [如]-+-도다(감탄 어미). 같도다. ‘-’가 ‘-’으로 축약된 뒤에 ‘-’에 내파화가 적용되어 ‘-’과 같이 된 것으로 본다. 결과적으로 ‘-’에서 ‘’가 탈락한 것이 된다.
주024)
요조 : 요[這]#즈[頃]. 요즈음. 표기가 ‘요조’과 같이 된 것은 ‘요’에 의한 모음의 동화 작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주025)
이〈아〉자비 : 아저씨. 아버지와 같은 항렬의 남자를 이르는 말. ‘이’는 ‘아’의 잘못이다.
주026)
마 : 마흔. ¶이 부텻 나히 닐흔둘히러시니 穆王 마여슷찻  乙丑ㅣ라 (이때가 부처님의 나이 일흔둘이셨는데, 목왕 마흔여섯째 해 을축이다.)〈월석 11:11ㄱ〉.
주027)
마 사 : 마흔 사람을. ‘마흔 사람’의 아저씨는 두보의 아버지 형제들이 ‘마흔 사람’이나 될 정도로 많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주028)
조 : 조[才]+(보조사). 재주는.
주029)
명(命) : 명운(命運). 운명. 운(運). 여기서는 관운(官運)을 말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030)
백료(百寮)ㅅ : 백료(百寮)+ㅅ(관형격 조사). 모든 벼슬아치의. 백관(百官)의.
주031)
아래셔 : 아래[下]+셔(보조사). 아래서.
주032)
니놋다 : [走]-+니[行]-+-(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종결 어미). 다니는구나. ‘니-’가 ‘니-’와 같이 된 것은 자음동화의 예를 보이는 것이다. ¶貴며 賤 사미 다 物에 브리여 니니 그듸 조차 다시 예 디나오미 어렵도다(귀하며 천한 사람이 다 사물에 부림을 받아 다니니 그대를 좇아 다시 여기에 지나는 것이 어렵도다.)〈두시(초) 15:33ㄱ〉.
주033)
형제(兄弟)ㅣ : 형제(兄弟)+이(주격 조사). 형제가.
주034)
일백(一百) 사매 : 일백(一百)#사[人]+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일 백 사람에. 일 백 사람 중에. 백 사람 중에.
주035)
몃 사미 : 몇[幾]#사[人]+이(주격 조사). 몇 사람이.
주036)
탁절(卓絶)야 : 탁절(卓絶)+-(형용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더할 나위 없이 뛰어나. 아주 뛰어나.
주037)
주례(周禮) : 주례(周禮)+(대격 조사). 주(周)나라의 예의와 제도를.
주038)
자뱃니오 : 잡[秉]-+-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잡고 있는 것인가. 지키고 있는 것인가. ¶뫼햇 미 오히려 자뱃 소내  니 햇 이스리 새려 머구메 밋도다(산의 바람이 오히려 잡고 있는 손에 가득한 듯하니 들의 이슬이 새로 먹음에 미치도다.)〈두시(초) 15:23ㄱ〉.
주039)
마량(馬良) : 삼국 시기 촉한의 관원(187~222). 자는 계상(季常). 양양(襄陽)의 의성(宜城), 즉 지금의 호북성 의성 사람이다. 형제 5인이 모두 재주가 뛰어나 명성이 자자하였다고 한다.
주040)
네게 이셔 : 너[汝]+에게(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이시[有]-+-어(연결 어미). 너에게 있어. 너에게 있어서. 네가.
주041)
문장(文章) : 문장(文章)+(대격 조사). 문장을. 글을.
주042)
 니 : [用]-+-어(연결 어미)#[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써서 하니. 써서 하고 있으니. 가지고 하고 있으니.
주043)
형(兄) : [長]+형(兄). 장형. 맏형. 여기서 장형은, 언해의 주석에 의하면, 적박제(狄博濟)를 가리킨다.
주044)
눈섭 니 : 눈섭[眉]#[白]-+-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대격 조사). 눈썹 흰 것을.
주045)
하히 : 하ㅎ[天]+이(주격 조사). 하늘이.
주046)
여러 내시도다 : 열[開]-+-어(연결 어미)#나[出]-+-이(사동 파생 접미사)-+-시(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도다(감탄 어미). 열어 내시도다.
주047)
네 가문(家門)을 : 너[汝]+의(관형격 조사)#가문(家門)+을(대격 조사). 너의 가문을.
주048)
청(請) : 청(請)+-(동사 파생 접미사)-+-ㄴ(연결 어미). 청하면.
주049)
네 가문(家門)을 청(請) : 너의 가문을 말하라고 청하면.
주050)
증조(曾祖)브터 : 증조(曾祖)+브터(보조사). 증조부터.
주051)
닐오리니 : 니[謂, 說]-+-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니(연결 어미). 이를 것이니. 말할 것이니.
주052)
태후(太后)ㅣ : 태후(太后)+이(주격 조사). 무측천(武則天)이. 측천무후가. 무측천(624~705)의 이름은 무조(武曌)이고, 병주(并州) 문수(文水) 사람이다. 중국 역사상 유일한 정통적 여황제이다. 즉위 나이가 가장 많고(67세 즉위), 수명이 가장 오랜 황제(82세)의 하나이다. 당조의 공신인 무사확의 차녀이다. 스스로 자립하여 황제가 되고, 낙양을 도읍으로 정하고, 신도(神都)라 칭하였으며, 무주왕조(武周王朝)를 세웠다. 음탕하고 간악하여 황위를 찬탈한 요녀라는 비난과, 민생을 보살펴서 나라를 훌륭히 다스린 여걸이라는 칭송을 같이 받고 있다.〈백도백과, 위키백과 참조〉.
주053)
조(朝) : 조정(朝廷)을.
주054)
당(當)얏거 : 당(當)+-(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잇[有]-+-거(연결 어미). 지키고 있었거늘. 지키고 있었는데. 맡았거늘.
주055)
공교(工巧)히 : 공교(工巧)+(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교묘히.
주056)
저괴(詆壞)리 : 저괴(詆壞)+-(동사 파생 접미사)-+-ㄹ(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헐뜯어 무너뜨리려는 사람.
주057)
하더니라 : 하[多]-+-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 단절의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많던 것이다. 많았던 것이다. ¶海內옛 文章애 위두 사미   디 하도다(나라 안의, 문장에서 우두머리가 되는 사람이 강가에 뜻이 많도다.)〈두시(초) 15:26ㄱ〉.
주058)
적공(狄公) : 적공(狄公)+(관형격 조사). 적공의. 여기서 적공은 적인걸(狄仁傑) 즉 양공을 가리킨다. 적인걸(630~700)의 자는 회영(懷英)으로, 태원(太原, 산서성 태원시) 사람이다. 시호는 문혜(文惠)이다. 후에 다시 사공(司空)과 양국공(梁國公)이 추증되었다.
주059)
정사(政事) : 정치와 행정에 관한 일. 나라를 돌보는. 일. 정권.
주060)
자바쇼미 : 잡[執]-+-아(연결 어미)#시[有]-+-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잡고 있음이. 잡고 있는 것이.
주061)
말년(末年)에 : 일생의 마지막 무렵에. 61세(691)에 재상이 된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062)
흐린 미 : 흐리[濁]-+-ㄴ(관형사형 어미)#[江]+이(주격 조사). 흐린 강이. ‘흐린 미’는 ‘탁하(濁河)’를 번역한 것인데, ‘탁하’는 제나라 땅에 있는 강이름이라 한다(한성무 외 (1997) 참조).
주063)
배〈매〉 : 마침내. 끝내.
주064)
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맑은.
주065)
 제수(濟水) : 맑은 제수. 이는 청제(淸濟)를 번역한 것이지만. ‘청제’는 제나라 땅의 강이름이라 한다(한성무 외(1997) 참조).
주066)
제수(濟水) : 제수(濟水)+(대격 조사). 제수를.
주067)
더러이디 : 더럽[汚]-+-이(사동 파생 접미사)-+-디(연결 어미). 더럽히지. ‘더럽-’의 받침 ‘ㅂ’이 모음 사이에서 약화되어 ‘ㅸ’이 되었다가 탈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더럽다’와 ‘더러이다’는 파생 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없게 된다.
주068)
몯니라 : 몯[不能]+-(동사 파생 접미사)-+-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못한 것이다.
주069)
무삼사(武三思) :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이복 남형 무원경(武元慶)의 아들. 당나라 병주(幷州) 문수(文水) 사람. 무사확(武士彠)의 손자. 무측천 치하에서 하관(夏官)과 춘관(春官)의 상서를 지내고, 감수국사에 올랐으며, 주(周)나라가 세워진 뒤 양왕(梁王)으로 책봉되어 요직을 역임함. 사성(嗣聖) 14년(697) 재상이 되었다. 중종(中宗)이 복위한 뒤 사공(司空)과 동중서문하삼품(同中書門下三品)을 지냈다. 둘째 아들 무숭훈(武崇訓)이 중종의 딸 안락공주(安樂公主)와 결혼하자 환언범(桓彦范) 등 대신들을 모함하여 조조(曹操)나 사마의(司馬懿)에 비유하였다. 황태자 이중준(李重俊)을 제거하려다가 태자의 거병으로 부자가 함께 참형되었다.〈중국역대인명사전 참조〉.
주070)
나라 니리 : 나라[國]#[繼, 嗣]-+-으(조음소)-+-ㄹ(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대격 조사). 나라 이을 이를. 나라 이를 사람을.
주071)
처믜 : 처[初]+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처음에.
주072)
제무(諸武) : 여러 가지 무기.
주073)
브텨 : 붙[付]-+-이(사동 파생 접미사)-+-거(대상성의 선어말 어미)-+-(어말 어미). 붙게 하거늘. 주게 하거늘. ‘-거늘’을 하나의 어미로 상정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을 다시 동명사 어미 -ㄴ‘과 대격 조사 ’‘로 분석하는 일도 있다.
주074)
올로 : 홀로.
주075)
헤셔 : ㅎ[廷]+에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뜰에서.
주076)
간쟁(諫諍)야 : 간쟁(諫諍)+-(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간쟁하여. 간하여.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간절히 말하여.
주077)
단폐(丹陛) : 단폐(丹陛)+(대격 조사). 붉은 섬돌을.
주078)
수(守)대 : 수(守)+-(동사 파생 접미사)-+-ㄴ대(연결 어미). 지킨대. 지켰는대.
주079)
금중(禁中)에 : 금중(禁中)+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궁궐에. 대궐에. 궐내에. ‘금중(禁中)에’가 명사적으로 쓰여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는 기능을 한다.
주080)
책(冊) : 책(冊)+(대격 조사). 계획을. 계책을.
주081)
결단(決斷)야 : 결단(決斷)+-(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결단을 내려. 확실히 하여.
주082)
금중(禁中)에 책(冊) 결단(決斷)야 : 대궐의 계획을 단단히 하여. 대궐의 계획을 확실히 하여. 궁궐의 계획을 단단히 하여.
주083)
방릉(房陵) : 고지명. 지금의 호북성 방현(房縣) 경계이다. 당의 무측천이 중종(中宗)을 이곳으로 옮기게 하였다고 한다.
주084)
청(請)니 : 청(請)+-(동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청하니.
주085)
방릉(房陵)을 청(請)니 : 방릉에 갈 것을 청하니. 방릉에 보낼 것을 청하니.
주086)
전조(前朝)애 : 전조(前朝)+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바로 전대의 왕조에.
주087)
늘근 사히 : 늙-+-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사[人]+[복수 접미사]+이(주격 조사). 늙은 사람들이.
주088)
므를 : 눈[眼]+ㅅ(관형격 조사)#믈[水]+를(대격 조사). 눈물을.
주089)
흘리니라 : 흐르[流]-+-리(사동 파생 접미사)-+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흘린 것이다. 흐르게 한 것이다.
주090)
태종(太宗)ㅅ :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598~649). 성은 이(李). 이름은 세민(世民). 삼성 육부와 조용조 따위의 제도를 정비하였고, 외정(外征)을 행하여 나라의 기초를 쌓았다. 재위 기간은 629~649년이다.
주091)
사직(社稷) : 토지신(土地神)과 곡식신(穀食神)을 뜻하는 말로.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주092)
 아 : [一日]+ㅅ(관형격 조사)#아[조]+(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하루의 아침에. 하루 아침에. ¶바 므리 두 자히나마 노니 두 나리면 可히 다시 이긔디 몯리로다(하룻밤에 물이 두 자 넘게 높아졌으니, 두어 날이면 가히 다시 견디지 못할 것이로다.)〈두시(초) 10:4ㄱ〉.
주093)
정(正)니 : 정(正)+-(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바르니. 바르게 되니.
주094)
한관(漢官)ㅅ : 한관(漢官)+ㅅ(관형격 조사). 한관의. 한나라 관리의. 당나라 관리에 대한 환유로 쓰임.
주095)
위의(威儀) : 위의(威儀)+(대격 조사). 위의를. 위엄과 예의를.
주096)
도로 : 다시.
주097)
기 : [明, 昭(소)]-+-이(부사 파생 접미사). 밝히. 밝게. ¶  놀애 브르 매예 옮고 프른 하 뎌 부 平床애 갓갑도다(밝은 해는 노래 부르는 소매에 옮고, 푸른 하늘은 피리 부는 평상에 가깝도다.)〈두시(초) 15:29ㄴ〉.
주098)
시스니라 : 싯[洗]-+-으(조음소)-+-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씻은 것이다. ‘-니라’를 어말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公子 어름므를 調和고 고온 사 蓮ㅅ 시를 싯놋다(공자는 얼음물을 고루 섞고, 고운 사람은 연(뿌리) 실을 씻는도다.)〈두시(초) 15:30ㄱ〉.
주099)
시절(時節)이 : 시절(時節)+이(주격 조사). 시절이. 당시의 세상이. 당시의 나라의 사정이. 나라의 정세가. ¶感嘆호니 고지 므를 리게 코 여희여 슈믈 슬후니 새  놀래다(시절을 둘러보니 꽃이 눈물을 뿌리게 하고, 떨어져 있음을 슬퍼하니 새가 마음을 놀라게 한다.)〈두시(초) 10:6ㄴ〉.
주100)
바라온 : 바랍-+-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위태로운. ¶亂 定며 바라오 더위자바 天地 便安니 邪 것고 正을 나토아 日月이 겨르도다(난을 평정하며 위태로움을 붙잡아 천지 편안하니 사악한 것을 꺾고 바른 것을 나타내어 일월이 한가롭도다.)〈금삼 5:49ㄴ〉.
주101)
제 : 적[時]+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보조사). 적에야. 때에야. ‘제’는 ‘적에’가 축약된 형태로 본다.
주102)
세(世)예 업슨 : 세(世)+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없[無]-+-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세상에 없는.
주103)
조 : 조[才]+(대격 조사). 재주를.
주104)
비르소 : 비로소[始].
주105)
알리로소니 : 알[知, 識]-+-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소니(연결 어미). 또는 ‘알[知, 識]-+-ㄹ(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소니(연결 어미)’와 같이 분석할 수 있다. 앞의 것은 동명사 어미 ‘ㄹ’과 지정 형용사 ‘이-’의 결합을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로 재구조화한 분석을 보인 것이다.
주106)
뉘 : 누[誰]+이(주격 조사). 누가.
주107)
엿귀 : 여뀌. 여뀟과의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40~8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피침 모양이다. 6~9월에 흰 꽃이 수상(穗狀)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잎과 줄기는 짓이겨 물에 풀어서 고기를 잡는 데 쓴다. 잎은 매운맛이 나며 조미료로 쓰이기도 한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표준국어대사전 참조〉
주108)
다 : [苦]-+-다(어말 어미). 쓰다. 쓰다고. ¶千二百 舌功德을 得리니 됴커나 굿거나 아답거나 아답디 아니커나 여러 가짓 며  거시 舌根애 이셔 다 變야 됴 마시 외야(천이백 혀 공덕을 얻을 것이니 좋거나 나쁘거나 아름답거나 아름답지 않거나 여러 가지의 쓰며 떫은 것이 혀뿌리에 있어 다 변하여 좋은 맛이 되어)〈석상 19:20ㄱ~ㄴ〉.
주109)
니뇨 : 니[謂]-+-(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이르는 것인가. 말하는 것인가. 의문 어미 ‘-고’의 ‘ㄱ’이 ‘이-’ 뒤에서 탈락한 뒤에 축약이 이루어진 것이다.
주110)
로미 : [甘]-+-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닮이. 단 것이.
주111)
나 : 냉이[薺(제)].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로, 높이는 50cm 정도이며, 잎은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5~6월에 흰 꽃이 총상(總狀) 꽃차례로 꽃줄기 끝에 피고 삼각형의 납작한 열매를 맺는다. 어린잎과 뿌리는 식용하며 들이나 밭에 자란다. 한국, 일본, 북반구의 온대 지방에 분포한다. 제채(薺菜)라고도 한다.
주112)
도다 : [如]-+-도(감탄의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같도다. ‘도다’와 같은 형식도 나타난다. ‘도다’는 ‘도다’에서 ‘’가 탈락한 것으로 본다. ‘-도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울엣소리 忽然히 즈믄 묏부리옛 비 보내니 곳 氣運은 다 온 가짓 것 섯거 론 香 도다(우레소리 홀연히 천 산꼭대기에 비를 보내니, 꽃 기운은 모두 온갖 것 섞어 만든 향 같도다.)〈두시(초) 10:18ㄱ〉.
주113)
너희 무른 : 너[汝]+희(복수 접미사)#물[衆]+은(보조사). 너희 무리는.
주114)
나라 : 나라ㅎ[國, 土]+(대격 조사). 나라를.
주115)
봉(封)야 : 봉(封)+-(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봉하여. 봉토로 나누어. 나누어 가지고.
주116)
머거 : 먹[食]-+-어(연결 어미). 먹어. 가지고.
주117)
봉(封)야 머거 : 봉토로 나누어 가지고. 위의 원문에서는 이 부분이 ‘열토식(裂土食)’으로 되어 있으나, ‘열정식(列鼎食)’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전자는 ‘땅을 나누어 가진다’로 해석할 수 있으나, 후자는 ‘솥을 배열하여 먹는다’로 해석된다.
주118)
모미 : 몸[身]+이(주격 조사). 몸이.
주119)
문호(門戶)로 여 : 문으로 하여금.
주120)
정계(旌棨) : 깃발 달린 창(槍). 이를 정기(旌旗)와 계극(棨戟)을 뜻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정기와 계극은 관원이 출행을 할 때 갖추는 의장으로, 귀한 관리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주121)
하게 호미 : 하[多]-+-게(연결 어미)#[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많게 하는 것이.
주122)
맛커 : 맛당[宜]+-(형용사 파생 접미사)-+-거(대상성의 선어말 어미)-+-(연결 어미). 마땅하거늘. ‘-거’을 연결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을 다시 동명사 어미 ‘-ㄴ’과 대격 조사 ‘’로 분석하는 일도 있다.
주123)
엇뎨 : 어찌.
주124)
민산(岷山) : 중국의 서부 감숙성(甘肃省) 서남, 사천성(四川省) 북부에 위치한 큰 산. 좌사(左思)의 촉도부(蜀都賦)에 민산(岷山)의 중심은 그 천구상의 하늘 위쪽이 정락(井絡)이 된다고 하였다. 정락은 정숙(井宿)으로, 이십팔성숙(二十八星宿)의 하나이다.
주125)
한수(漢水)ㅅ : 한수(漢水)+ㅅ(관형격 조사). 한수의. 한수는 한강(漢江)을 달리 부르는 이름, 장강(長江)의 최대 지류. 호북성 양양시(襄陽市) 아래는 간략하게 양하(襄河)라고 한다. 한강은 섬서성 영강현(寧强縣) 진령(秦岭)의 남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동남으로 흐르다가 섬서성 남부와 호북성 서북과 중부를 지나, 무한시(武漢市)에서 장간으로 흘러든다.〈백도백과 참조〉
주126)
예 : [間]+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사이에.
주127)
표박(飄泊)야 : 표박(飄泊)+-(동사 파생 접미사)-+-j(조음소)-+-아(연결 어미). 떠돌아. 떠돌면서.
주128)
제후왕(諸侯王) : 제후(諸侯)의 왕을.
주129)
간알(干謁)야 : 사사로운 일로 알현(謁見)을 청하여.
주130)
모 : 자못[頗]. 생각보다 많이.
주131)
디나 : 디나[歷]-+-아(연결 어미). 지나.
주132)
나가니오 : [進]-+-아(연결 어미)#가[去]-+-(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고(의문 어미). 나아가는 것인가. ‘다’를 ‘낫다’와 같이 상정하기도 한다.
주133)
며 : 하물며.
주134)
뫼히 : 뫼ㅎ[山]+이(주격 조사). 산이.
주135)
놉고 : 높[高]-+-고(연결 어미). 높고.
주136)
므레 : 믈[水]+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물에.
주137)
파랑(波浪)이 : 파(波浪)+이(주격 조사). 파도와 물결이.
주138)
 미 : [秋]+ㅅ(관형격 조사)#[風]+이(주격 조사). 가을 바람이.
주139)
불오 : 불[吹]-+-고(연결 어미). 불고. ‘-오’는 받침 ‘ㄹ’ 뒤에서 ‘-고’의 ‘ㄱ’이 묵음화되어 탈락한 것을 보인다.
주140)
이스리 하도다 : 이슬[露]+이(주격 조사)#하[多]-+-도다(감탄 어미). 이슬이 많도다.
주141)
주린 : 주리[飢]-+-ㄴ(관형사형 어미). 주린. 굶주린. ¶餓鬼 주으린 귓거시라 (아귀는 주린 귀신이다.)〈월석 1:46ㄴ〉. 오 鶴 아디 몯리로다 므슷 일로 춤츠니오 주으린 가마괴 사 向야 울오져  도다(홀로 있는 학(鶴)은 알지 못할 것이로다, 무슨 일로 춤추는 것인가(를). 굶주린 까마귀는 사람을 향하여 울고자 하는 듯하도다.)〈두시(초) 15:31ㄴ〉.
주142)
버미 : 범[虎]+이(주격 조사). 범이. 호랑이가.. ¶中에 놀라아 우를 쏘리 잇거늘 이 다 머리 움치고 잇거늘 金氏 오 내니 버미 마 남지 므러 거늘 金氏 나모활 들오 고함코 나가아 왼소로 남진 잡고 올소로 버믈 티니(밤중에 놀라 부르짖는 소리 있거늘 종이 다 머리를 움츠리고 있거늘 김씨 혼자 내달으니 범이 이미 남편을 물어 달리거늘 김씨 나무활 들고 고함치며 나아가 왼손으로 남편 잡고 오른손으로 범을 치니)〈삼강(런던) 열: 34〉.
주143)
뫼로 : 뫼ㅎ[山]+로(달격 조사). 산으로.
주144)
려오며 : 나리[下]-+-어(연결 어미)#오[來]-+-며(연결 어미). 내려오며.
주145)
용(龍) : 용(龍)+(관형격 조사). 용의.
주146)
거슯수〈주〉미 : 거슬[逆, 橫]-+-(강세 접미사)-+-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거스름이. ¶다 姓이 서르 모다 기로 토며 뎔오 토아 만 하리 날로 들여 아 生計 기우로 야  背叛야 거슯주메 니르러 門 호며 이플 배혀 믜요 盜賊寃讐티 니(다른 성(姓)이 서로 모두 긴 것을 다투며 짧은 것을 다투어 은밀한 헐뜯음 날로 들게 하여 개인 생계를 기우로 생각하여 써 배반하여 거스름에 이르러 문을 나누며 방문(房門)을 베여 움직임을 도적원수같이 하니)〈내훈 3:40ㄱ〜ㄴ〉.
주147)
 : [淸]-+-(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맑은.
주148)
므레 : 믈[水, 泚]+에(처격 조사 혹은 출격 조사, 부사격 조사). 물에서.
주149)
나니 : 나[出]-+-(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나나니. 나니.
주150)
누른 드트리 : 누르[黃]-+-ㄴ(관형사형 어미)#드틀[汚]+이(주격 조사). 누런 티끌이.
주151)
사 오 : 사[人]+(관형격 조사).#옷[衣]+(대격 조사). 사람의 옷을.
주152)
더러이고 : 더럽[汚]-+-이(사동 파생 접미사)-+-고(연결 어미). 더럽히고. 더럽게 하고. ‘더럽-’의 받침 ‘ㅂ’이 모음 사이에서 약화되어 ‘ㅸ’이 되었다가 탈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더럽다’와 ‘더러이다’는 파생 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없게 된다. ¶ 므러 거믄고와 書冊 안해 더러이고   벌어질 잡노라 사 리티다(흙을 물어 거문고와 서책 안을 더럽히고, 또 나는 벌레를 잡느라 사람을 후려친다.)〈두시(초) 10:7ㄴ〉.
주153)
누네 : 눈[眼]+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눈에.
주154)
수이 : 쉽[易]-+-이(부사 파생 접미사). 쉬이. 쉽게. 중세어에 ‘*숩-’이란 어형이 나타나면 ‘수이’의 형성은 비교적 쉽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숩-’이란 어형은 찾아볼 수 없다. ‘쉽+이〉쉬〉수〉수이’와 같은 변화를 상정해 볼 수 있다. ¶正道애 수이 나 게을옴 업고져 린 반기 이 브터 津要 사몰 띠니라(정도에 쉽게 나아가 게으름 없애고자 하는 이는 반드시 이것부터 진요로 삼아야 할 것이다.)〈법화 4:101ㄱ~ㄴ〉. 사마다 수 알에 야(사람마다 쉬이 알게 하여)〈월석 서:12ㄱ~ㄴ〉.
주155)
가 : 가시[荊, 眯(미, 눈에 티가 들다)]. ¶버미 갓고로딘 며 龍이 업더딘 야 가 나모 서리예 롓니 믌 그제와 핏 點을 가매 드리우노라(범이 거꾸러진 듯하며 용이 엎어진 듯하여 가시나무 사이에 버려 있는데, 눈물 흔적과 핏방울을 가슴에 드리우노라.)〈두시(초) 6:41ㄴ〉.
주156)
드니라 : 들[入]-+-(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라(어말 어미). 드는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