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산거사요(山居四要)
  • 산거사요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산거사요 001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14ㄱ

山居四要 주001)
산거사요(山居四要):
≪산거사요(山居四要)≫. 조선 전기에 나온 의서(醫書)의 하나. 보물 제1207호. 목판본 4권 1책. 인천 가천문화재단 소장. 이 책은 원나라의 왕여무(王汝懋)가 양우(楊瑀)가 지은 ≪산거사요≫를 증보하여 편집한 것이다. 산촌에 사는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알아야 할 4가지 요강, 즉 섭생지요(攝生之要), 양생지요(養生之要), 위생지요(衛生之要), 치생지요(治生之要)를 74항목으로 분류하고, 각 항목 밑에 해당 사례 및 대증처방 등을 기술하였다.([59] 참조)
羊廐高作日日淨掃巳時放養未時還入不令食露草若食露草則生病
Ⓒ 원문 | 양우(중) / 1541년(중종 36) 11월 일

羊矣廐乙高作爲遣每日淨掃爲乎矣巳時量良中放養爲如可未時量良中驅入爲旀着露草乙良養飼安徐爲齊一飼之爲在如中生病爲臥乎事
Ⓒ 구결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의 오희 주002)
오희양:
외양간.
놉시 주003)
놉시:
놉-+-(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높직히.
오 주004)
오:
만들고. ‘오’는 연결어미 ‘-고’에서 ‘ㄱ’이 떨어진 것임. 이를 ‘ㄱ’ 묵음화 또는 ‘ㄱ’ 탈락 현상이라고 한다.
날마다 조히 주005)
조히:
좋-+-이(부사 파생 접미사). 깨끗이.
며 주006)
며:
[掃]-+-며(연결 어미). 쓸며.
시예 주007)
시예:
시(巳時)+예(처격 조사). 십이시(十二時)의 여섯째 시, 즉 오전 아홉 시부터 열한 시까지이거나, 이십사시(二十四時)의 열한째 시, 즉 오전 아홉 시 반부터 열 시 반까지에 해당한다.
내여 주008)
내여:
내어. 안에 있던 것을 밖에 있도록 하다.
노하 머기다가 주009)
노하 머기다가:
놓[放]-+-아(연결 어미) 먹-+-이(사동 접미사)-+-다가(연결 어미). 방목하다가.
미시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14ㄴ

주010)
미시예:
미시(未時)+에(처격 조사). 십이시(十二時)의 여덟째 시, 즉 오후 한 시부터 세 시까지이거나, 이십사시(二十四時)의 열다섯째 시, 즉 오후 한 시 반부터 두 시 반까지이다.
도로 드리고 주011)
드리고:
들-+-이(사동 접미사)-+-고(연결 어미). 들이고. 들어오게 하고.
이 주012)
이:
이슬[露].
마 주013)
마:
맞-+-(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맞은.
프 주014)
프:
플+(대격 조사). ‘플’이 ‘풀’이 된 것은 순음화에 의한 것임.
머기디 말라 다가 주015)
다가:
만일.
머기면  드니라 주016)
드니라:
들[入]-+-(현재 선어말 어미)-+-니라(종결 어미). 드느니라.
Ⓒ 언해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양의 오양간을 높직이 만들고 날마다 깨끗하게 쓸며, 사시에 밖에 내어놓아 풀을 먹이다가 미시에 도로 들어오게 하고 이슬 맞은 풀은 먹이지 말라. 만약 먹이면 병드느니라.
Ⓒ 역자 | 임홍빈 / 2009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산거사요(山居四要):≪산거사요(山居四要)≫. 조선 전기에 나온 의서(醫書)의 하나. 보물 제1207호. 목판본 4권 1책. 인천 가천문화재단 소장. 이 책은 원나라의 왕여무(王汝懋)가 양우(楊瑀)가 지은 ≪산거사요≫를 증보하여 편집한 것이다. 산촌에 사는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알아야 할 4가지 요강, 즉 섭생지요(攝生之要), 양생지요(養生之要), 위생지요(衛生之要), 치생지요(治生之要)를 74항목으로 분류하고, 각 항목 밑에 해당 사례 및 대증처방 등을 기술하였다.([59] 참조)
주002)
오희양:외양간.
주003)
놉시:놉-+-(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높직히.
주004)
오:만들고. ‘오’는 연결어미 ‘-고’에서 ‘ㄱ’이 떨어진 것임. 이를 ‘ㄱ’ 묵음화 또는 ‘ㄱ’ 탈락 현상이라고 한다.
주005)
조히:좋-+-이(부사 파생 접미사). 깨끗이.
주006)
며:[掃]-+-며(연결 어미). 쓸며.
주007)
시예:시(巳時)+예(처격 조사). 십이시(十二時)의 여섯째 시, 즉 오전 아홉 시부터 열한 시까지이거나, 이십사시(二十四時)의 열한째 시, 즉 오전 아홉 시 반부터 열 시 반까지에 해당한다.
주008)
내여:내어. 안에 있던 것을 밖에 있도록 하다.
주009)
노하 머기다가:놓[放]-+-아(연결 어미) 먹-+-이(사동 접미사)-+-다가(연결 어미). 방목하다가.
주010)
미시예:미시(未時)+에(처격 조사). 십이시(十二時)의 여덟째 시, 즉 오후 한 시부터 세 시까지이거나, 이십사시(二十四時)의 열다섯째 시, 즉 오후 한 시 반부터 두 시 반까지이다.
주011)
드리고:들-+-이(사동 접미사)-+-고(연결 어미). 들이고. 들어오게 하고.
주012)
이:이슬[露].
주013)
마:맞-+-(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맞은.
주014)
프:플+(대격 조사). ‘플’이 ‘풀’이 된 것은 순음화에 의한 것임.
주015)
다가:만일.
주016)
드니라:들[入]-+-(현재 선어말 어미)-+-니라(종결 어미). 드느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