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역주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 본초(本草)
  • 본초 015
메뉴닫기 메뉴열기

본초 015


治牛糞血者取竈中黃土二兩酒一升煎候冷灌之
Ⓒ 원문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牛矣血糞血叱同 피 病乙治療爲乎矣竈中黃土가마 아래  二兩乙酒一升果相和煎煮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6ㄴ

待冷牛口良中灌注爲乎事
Ⓒ 구결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의 주001)
의:
+의(처격 조사). 소의 똥에.
피조차 주002)
피조차:
피+조차(보조사). ‘조차, 마저, 까지’ 등은 기대했던 것보다 그 정도가 더 심한 것을 가리킬 때 쓰는 보조사들이다. 이 문맥에서는 현대어의 ‘조차’보다는 ‘까지’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나 을 주003)
나 을:
나[出]-+(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病)+을(대격 조사). 나는 병을.
고툐 주004)
고툐:
고티[治療]-+-오(연결 어미). 고치되.
가마 주005)
가마:
가마솥. ‘가마’가 이미 큰 솥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솥’의 의미가 약해져서 ‘솥’을 더 붙인 것이 ‘가마솥’이란 형태이다.
아래  두 을 주006)
 두 을:
흙 두 냥을.
술  되와 주007)
술  되와:
술 한 되와
섯거 주008)
섯거:
[混]-+-어(연결 어미). 섞어. 혼합하여.
글혀 주009)
글혀:
긇[沸]-+-이(사동접미사)-+-어(연결 어미). 끓여. ‘긇-’이 ‘끓-’이 된 것은 경음화에 의한 것이다.
거 이베 주010)
이베:
입+에(처격 조사). 입에.
브라 주011)
브라:
[灌(관)]-+-+-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부으라.
Ⓒ 언해 | 중종 명찬 / 1541년(중종 36) 11월 일

소의 똥에 피까지 나는 병을 고칠 때에는 가마솥 아래에 있는 흙 두 냥을 술 한 되와 섞어 끓인 뒤에 차지면(식으면) 입에 부으라.
Ⓒ 역자 | 임홍빈 / 2009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의:+의(처격 조사). 소의 똥에.
주002)
피조차:피+조차(보조사). ‘조차, 마저, 까지’ 등은 기대했던 것보다 그 정도가 더 심한 것을 가리킬 때 쓰는 보조사들이다. 이 문맥에서는 현대어의 ‘조차’보다는 ‘까지’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주003)
나 을:나[出]-+(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病)+을(대격 조사). 나는 병을.
주004)
고툐:고티[治療]-+-오(연결 어미). 고치되.
주005)
가마:가마솥. ‘가마’가 이미 큰 솥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솥’의 의미가 약해져서 ‘솥’을 더 붙인 것이 ‘가마솥’이란 형태이다.
주006)
 두 을:흙 두 냥을.
주007)
술  되와:술 한 되와
주008)
섯거:[混]-+-어(연결 어미). 섞어. 혼합하여.
주009)
글혀:긇[沸]-+-이(사동접미사)-+-어(연결 어미). 끓여. ‘긇-’이 ‘끓-’이 된 것은 경음화에 의한 것이다.
주010)
이베:입+에(처격 조사). 입에.
주011)
브라:[灌(관)]-+-+-으(조음소)-+-라(명령형 어미). 부으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